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서비스디자인 접점의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트랜스미디어, 웹2.0, 웹3.0의 특성 중심으로 = A Study for Using of Media in Service Design Touchpoint-according to the Media Paradigm Shif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3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user's lifestyle and way of communication have evolv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paradigm with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refore the user claims these were reflected in the various services that they meet. To respond to the change, it is demanded to understand their changed lifestyle and satisfy their needs with a touchpoint between the service and users to give them perfect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seeks out rapidly changing trend and using of media that can reflect the aspects of users in a service design touchpoint. For this, this study establishes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media paradigm as nine factors and categorizes them into their traits. The more likely cases as a touchpoint a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ir changes. As a result, technological traits of media stimulate users' behavior according to purpose of service and it can be founded that their experiences happen by this. Also, touchpoint of service design can make their experience positive by stimulating three factors of its traits-sense, experience, sensitivity, and flow.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paves the way for a reflection of media paradigm shift on future touchpoint by suggesting characteristics of changes that are needed to using of media in service design touchpoint. It is expected that a proper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paradigm shift and utilization of various media to be more effective for users, satisfy their needs positively and realize their total experience.
      번역하기

      Recently user's lifestyle and way of communication have evolv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paradigm with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refore the user claims these were reflected in the various services that they meet. To respond to the change, it is ...

      Recently user's lifestyle and way of communication have evolv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paradigm with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refore the user claims these were reflected in the various services that they meet. To respond to the change, it is demanded to understand their changed lifestyle and satisfy their needs with a touchpoint between the service and users to give them perfect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seeks out rapidly changing trend and using of media that can reflect the aspects of users in a service design touchpoint. For this, this study establishes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media paradigm as nine factors and categorizes them into their traits. The more likely cases as a touchpoint a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ir changes. As a result, technological traits of media stimulate users' behavior according to purpose of service and it can be founded that their experiences happen by this. Also, touchpoint of service design can make their experience positive by stimulating three factors of its traits-sense, experience, sensitivity, and flow.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paves the way for a reflection of media paradigm shift on future touchpoint by suggesting characteristics of changes that are needed to using of media in service design touchpoint. It is expected that a proper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paradigm shift and utilization of various media to be more effective for users, satisfy their needs positively and realize their total experi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술의 발달로 인한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의해 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진화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서비스를 접할 때에 이러한 변화가 반영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변화된 라이프스타일을 이해하고 니즈를 충족시키는 최적의 경험을 서비스와 사용자가 만나는 접촉점에서 이끌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접점(touchpoints)에 있어서 급변하는 미디어 상황과 사용자의 양상을 반영할 수 있는 미디어의 활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 특성을 9가지의 요인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성격적 특성으로 카테고리화하였다. 또한 접점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은 사례들을 수집하여 변화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접점의 미디어 활용에 있어 미디어의 '기술적 특성'은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사용자의 행위'를 자극하고, 이러한 자극이 '사용자의 경험'을 유도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서비스디자인 접점에서의 미디어 활용은 사용자 경험 특성인 ‘감각체험, 감성, 몰입’ 세 요소를 자극시켜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을 긍정적으로 고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패러다임의 과도기적 현상을 보이는 현시대에 있어 서비스디자인 접점의 미디어 활용을 위해 필요한 변화 특성들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접점에서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접점에 있어 패러다임의 변화 특성과 다양한 미디어 활용의 적절한 접목은 사용자의 욕구를 더욱 효과적·긍정적으로 충족시키고 총체적 경험을 실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기술의 발달로 인한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의해 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진화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서비스를 접할 때에 이러한 변화가 반영되기를 요...

      기술의 발달로 인한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의해 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진화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서비스를 접할 때에 이러한 변화가 반영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변화된 라이프스타일을 이해하고 니즈를 충족시키는 최적의 경험을 서비스와 사용자가 만나는 접촉점에서 이끌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접점(touchpoints)에 있어서 급변하는 미디어 상황과 사용자의 양상을 반영할 수 있는 미디어의 활용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 특성을 9가지의 요인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성격적 특성으로 카테고리화하였다. 또한 접점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은 사례들을 수집하여 변화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접점의 미디어 활용에 있어 미디어의 '기술적 특성'은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사용자의 행위'를 자극하고, 이러한 자극이 '사용자의 경험'을 유도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서비스디자인 접점에서의 미디어 활용은 사용자 경험 특성인 ‘감각체험, 감성, 몰입’ 세 요소를 자극시켜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을 긍정적으로 고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패러다임의 과도기적 현상을 보이는 현시대에 있어 서비스디자인 접점의 미디어 활용을 위해 필요한 변화 특성들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접점에서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접점에 있어 패러다임의 변화 특성과 다양한 미디어 활용의 적절한 접목은 사용자의 욕구를 더욱 효과적·긍정적으로 충족시키고 총체적 경험을 실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훈, "참여 시대의 디지털 캠페인 전략" 디자인하우스 2013

      2 박원준, "유비쿼터스 환경 구현에 따른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한 탐색" 13 : 2010

      3 김거수, "웹3.0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1-11, 2013

      4 선 경, "웹3.0 시대 소비재 기업을 위한 웹사이트 디자인 제안 : 경동나비엔 웹사이트 구축사례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3

      5 백대민, "웹2.0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 UCC 생산과 유통 과정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성태, "스마트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ICT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7 표현명, "서비스 디자인 시대" 안그라픽스 2008

      8 이경진, "삼성 "제4의 물결·웹3.0 시대 주도""

      9 박창용,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영상 광고 제작 과정의 변화 : 롯데 칠성 음료 '2% 부족할 때' 광고캠페인 사례연구"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2

      10 김재명,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모션그래픽의 확장과 융합 현상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1 이상훈, "참여 시대의 디지털 캠페인 전략" 디자인하우스 2013

      2 박원준, "유비쿼터스 환경 구현에 따른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한 탐색" 13 : 2010

      3 김거수, "웹3.0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1-11, 2013

      4 선 경, "웹3.0 시대 소비재 기업을 위한 웹사이트 디자인 제안 : 경동나비엔 웹사이트 구축사례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3

      5 백대민, "웹2.0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 UCC 생산과 유통 과정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성태, "스마트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ICT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7 표현명, "서비스 디자인 시대" 안그라픽스 2008

      8 이경진, "삼성 "제4의 물결·웹3.0 시대 주도""

      9 박창용,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영상 광고 제작 과정의 변화 : 롯데 칠성 음료 '2% 부족할 때' 광고캠페인 사례연구"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2

      10 김재명,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모션그래픽의 확장과 융합 현상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11 장동련, "미디어 확장과 진화에 따른 트랜스브랜딩(Transbranding)" 한국디자인학회 26 (26): 433-461, 2013

      12 길영화, "디자인, 범죄예방을 선언하다" jungle

      13 편근철, "동네 어린이병원의 신선한 아이디어 Funspital"

      14 김민철, "델파이 방법을 이용한 농촌관광의 고객접점 도출 및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5 이석원, "나이키, 아이폰5S M7 이용한 앱도 공개"

      16 이정기, "광우병 촛불집회에 나타난 '미디어 2.0' 현상에 관한 연구 : 집회참여자들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17 장훈, "관찰을 통한 몰입이 가능한가?: TV 스포츠 경기 시청 중심으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6 (26): 31-49, 2012

      18 김문명, "고객접점채널에 따른 고객불만 표출행동이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SNS채널과 정서적 감정노동자를 중심으로 -" 국제e-비즈니스학회 13 (13): 205-225, 2012

      19 최경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만드는 기업들"

      20 정현원, "감성 평가를 위한 감성의 의미 재정립과 어휘 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26 (26): 17-25, 2007

      21 "Woodland Wiggle"

      22 팀 오라일리, "What is web 2.0"

      23 Stefan Moritz, "Service Design" KISD 23-, 2005

      24 Interbrand Korea, "Our Understanding On Best Korea Brands 2013" 24 : 2013

      25 Oliver Wainwright, "Giant tigers and rooftop teepees: the Royal London Hospital play spa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