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大韓放射線醫學會五十年史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227898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대한방사선의학회 창립 50주년 기념사업 조직위원회 , 1995

      • 발행연도

        199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16.07/57/0605195 판사항(21)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大韓放射線醫學會五十年史 / [대한방사선의학회 50년사 편찬위원회 편].

      • 형태사항

        552 p. : 삽도 (일부 색채), 초상화 ; 27 cm.

      • 소장기관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의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의학문헌정보센터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 연세대학교 의학도서관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발간사 / 한만청
      • 기념사 / 정덕환 ; 서정호
      • 편찬사 / 함창곡
      • 제1부 시대별 변천
      • 목차
      • 발간사 / 한만청
      • 기념사 / 정덕환 ; 서정호
      • 편찬사 / 함창곡
      • 제1부 시대별 변천
      • 제1장 태동(1911-1945) = 13
      • 제1절 방사선의학의 도입 = 13
      • 제2절 조선뢴트겐협회기(1932-1945) = 16
      • 제2장 정립(1946-1970) = 20
      • 제1절 대한방사선의학회의 창립 = 20
      • 제2절 6·25동란과 서양학문의 도입 = 22
      • 제3절 전문의제도 시작 = 29
      • 제4절 대한방사선의학회지 발간 = 32
      • 제5절 필름파동과 대한X선검진협회 창립 = 34
      • 제3장 발전(1971-1983) = 36
      • 제1절 시대적 배경 = 36
      • 제2절 X선 검진필름의 고유판독권 인정 = 36
      • 제3절 학술대회의 발전 = 38
      • 제4절 이사장중심 제도의 도입 = 40
      • 제5절 중재적방사선과학의 태동 = 44
      • 제6절 장비의 현대화 = 46
      • 제7절 교육의 발전 = 49
      • 제8절 대한치료방사선과학회의 독립 = 51
      • 제9절 기타 = 52
      • 제4장 도약(1984-현재) = 53
      • 제1절 시대적 배경 = 53
      • 제2절 학회 조직 및 회원의 변화 = 54
      • 제3절 방사선과 장비 현황 = 57
      • 제4절 학술대회 및 집담회 = 61
      • 제5절 진단방사선과학의 세부전공학 및 연구회 탄생 = 64
      • 제6절 교육 = 65
      • 제7절 전문의고시 제도 = 68
      • 제8절 대한방사선의학회지 체제 개선 = 69
      • 제9절 국제화 = 70
      • 제10절 대한방사선의학회 창립 50주년 기념사업 = 73
      • 제2부 분야별 변천
      • 제1장 학회 조직 = 77
      • 제1절 대한방사선의학회의 창립 = 77
      • 제2절 학회조직의 변천 = 80
      • 제3절 지회 및 연구회 = 86
      • 제4절 기타 = 88
      • 제2장 교육 = 90
      • 제1절 학생교육 = 90
      • 제2절 전문의 제도 = 95
      • 제3절 수련제도 = 100
      • 제4절 기타 = 113
      • 제3장 학술활동 = 117
      • 제1절 학술대회 = 117
      • 제2절 학회지 = 130
      • 제3절 저술 및 연구활동 = 135
      • 제4절 집담회 = 142
      • 제5절 시상 = 143
      • 제4장 방사선기기 및 진료 = 155
      • 제1절 해방전 = 155
      • 제2절 해방이후-1950년대 = 157
      • 제3절 1960년대 = 158
      • 제4절 1970년대 = 159
      • 제5절 1980년대-현재 = 161
      • 제5장 국제교류 = 164
      • 제1절 학술대회의 국제화 = 164
      • 제2절 연수 교육의 국제화 = 166
      • 제3절 국제학회 활동 = 167
      • 제4절 국제학회의 국내 개최 = 172
      • 제5절 저술의 국제화 = 177
      • 제6장 재정 = 180
      • 제1절 수입 = 180
      • 제2절 지출 = 185
      • 제3절 재정의 규모 = 185
      • 제7장 개원의 활동 = 187
      • 제1절 개원가의 연혁 = 187
      • 제2절 개원가의 특수장비 현황 = 197
      • 제8장 연구회 활동 = 198
      • 제1절 연혁 = 198
      • 제2절 학술활동 = 201
      • 제3절 연구회 활성화 및 지원 = 207
      • 제9장 지회활동 = 208
      • 제1절 부산·경남지회 = 208
      • 제2절 대구·경북지회 = 209
      • 제3절 광주·전남지회 = 210
      • 제4절 대전·충남지회 = 211
      • 제5절 전북지회 = 212
      • 제6절 강원지회 = 212
      • 제7절 제주지회 = 213
      • 제8절 충북지회 = 214
      • 제10장 재미한인방사선의사의 활동 = 215
      • 제1절 초기의 활동 = 215
      • 제2절 KRSNA의 창립 = 216
      • 제3절 KRSNA의 활동 = 216
      • 제4절 KRSNA의 역대 회장 = 220
      • 제11장 기타 = 224
      • 제1절 진단방사선 관련법규 = 224
      • 제2절 의료보험 = 227
      • 제3절 방사선재해 및 사건 = 233
      • 제3부 인물사
      • 제1장 대한방사선의학회 역대 회장 = 239
      • 제2장 대한방사선의학회 역대 이사장 = 250
      • 제4부 대한방사선의학회의 현재 = 255
      • 제5부 사진으로 보는 대한방사선의학회 50년 = 265
      • 제6부 병원별 방사선과의 역사
      • 제1장 대학병원 = 347
      • (1) 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47
      • (2)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53
      • (3)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56
      • (4)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59
      • (5)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63
      • (6)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65
      • (7)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69
      • (8)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74
      • (9)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77
      • (10) 대구 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79
      • (11)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81
      • (12)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84
      • (13)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86
      • (1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88
      • (15)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94
      • (16)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398
      • (17)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00
      • (18)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06
      • (19)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08
      • (20)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11
      • (21)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14
      • (22)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17
      • (23)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20
      • (24)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26
      • (25)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28
      • (26)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32
      • (27)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34
      • (28)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37
      • (29)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40
      • (30)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43
      • (31)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446
      • (32)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449
      • 제2장 종합병원 = 454
      • (1) 고려병원 진단방사선과 = 454
      • (2) 국군수도병원 진단방사선과 = 456
      • (3) 국립경찰병원 진단방사선과 = 457
      • (4) 국립의료원 진단방사선과 = 459
      • (5) 대구 파티마병원 진단방사선과 = 463
      • (6) 메리놀병원 진단방사선과 = 464
      • (7) 삼성서울병원 진단방사선과 = 466
      • (8) 서울을지병원 진단방사선과 = 468
      • (9) 서울적십자병원 진단방사선과 = 470
      • (10) 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진단방사선과 = 472
      • (11) 원자력병원 진단방사선과 = 473
      • (12) 인천기독병원 진단방사선과 = 476
      • (13) 전주예수병원 진단방사선과 = 479
      • (14) 중앙길병원 진단방사선과 = 481
      • (15) 한국보훈병원 진단방사선과 = 484
      • 제7부 유관학회 및 단체
      • 제1장 관련학회 = 489
      • 제1절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과학회 = 489
      • 제2절 대한방사선방어학회 = 494
      • 제3절 대한방사선사협회 = 497
      • 제4절 대한초음파의학회 = 500
      • 제5절 대한치료방사선과학회 = 503
      • 제6절 대한핵의학회 = 506
      • 제7절 한국의학물리학회 = 511
      • 제2장 관련단체 = 514
      • 제1절 대한X선검진협회 = 514
      • 제2절 한국방사선의학재단 = 526
      • 제8부 방사선 의학산업
      • 제1장 역사 = 531
      • 제2장 현황 = 538
      • 편찬후기 = 5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