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기업들에서는 물론이고 최근 우리나라의 대기업들 사이에 유행하고 있는 경영혁신기법인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을 포스트 모더니즘의 문예사조와 조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기업들에서는 물론이고 최근 우리나라의 대기업들 사이에 유행하고 있는 경영혁신기법인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을 포스트 모더니즘의 문예사조와 조절...
이 논문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기업들에서는 물론이고 최근 우리나라의 대기업들 사이에 유행하고 있는 경영혁신기법인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을 포스트 모더니즘의 문예사조와 조절이론가들이 주장하는 포스트 포드주의 생산양식과 비교하여, 동시대적 정서구조와 시대정신 그리고 정치경제적 사고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동질성을 찾고, 지금까지 단순히 정보기술을 이용한 경영혁신기법으로만 인식되고 있는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을 포스트 모던 경영학의 핵심으로 파악하려는 것이다.
사회의 각 부문은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는다. 따라서 한 부문의 변화는 다른 부문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18세기 중반 이후의 모더니즘은 예술분야뿐만 아니라, 경제분야 즉 생산양식에서도 테일러주의와 포드주의, 그리고 페이욜의 경영관리원칙과 베버의 관료주의 등으로 확립된다. 그러나 1968년 이후 철학과 미학 그리고 문학에 있어서 모더니즘은 포스트 모더니즘으로 대체되면서 사회의 각 분야는 급속한 변화에 휩싸였고, 1970년대 초반부터 포드주의의 축적체제는 위기를 맞았다. 특히 사회분야에 있어서는 ME(극소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른 노동의 소외문제가 다시 등장하고, 경제학에서는 포드주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조절이론이 등장하였다.
기업사회와 경영학에서는 대량생산과 과소소비로 발생한 이윤율 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리엔지니어링 기법이 선풍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예술·사회·경제 경영학의 이러한 추세는 상호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포스트 모더니즘, 후기산업사회, 정보화사회(제3의 물결), 지식사회,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로 표현되는 20세기 후반의 공통적인 조류인 것을 고찰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Diffusion Research in Mark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