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신입사원 역량에 대한 관광 산업체 인사담당자와 대학생의 인식차이 = The Perception Differences about New Employees’ Competency in Tourism Industry Between Human Resource Practitioners and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50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mis to examine the different perception on new employees’ competency between HRD practitioners and senior students majoring in Hospitality & Tourism at Universities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s. To identify the different perceptions, ...

      This study amis to examine the different perception on new employees’ competency between HRD practitioners and senior students majoring in Hospitality & Tourism at Universities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s. To identify the different percep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4 of human resource practitioners and 128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hospitality and tourism.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tst, HR practitioners’ perception on the competency of integrity, applic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Seconds, hotel HR practitioners’ perception on the current level of new employees were higher th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s well a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new employees. Third. the level of importance of competency by HR practitioners descended from cooperation, interpersonal skills, foreign language skills, application ability, global mindset, flexibility. Regarding satisfaction of competency, HRD practitioners were more satisfied than senior college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관광 산업체 신입사원의 역량에 관한 산업체 인사담당자와 부산·경남지역의 호텔·관광전공 4학년 대학생들 간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관광 산업체 취업을 희망하는 호텔...

      본 연구는 관광 산업체 신입사원의 역량에 관한 산업체 인사담당자와 부산·경남지역의 호텔·관광전공 4학년 대학생들 간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관광 산업체 취업을 희망하는 호텔·관광 전공학생들에게 핵심역량 개발의 방향성과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조사는 관광 산업체(호텔업, 여행업, 외식업)의 인사담당자 174명과 호텔·관광 전공 대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에서 인사담당자들과 호텔·관광 전공 학생들이 신입사원에게 요구되는 역량항목 중요도 순위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19개의 역량항목 중 인사담당자와 전공학생 간 차이는 호텔과 외식업은 5개, 여행업은 4개 역량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호텔 인사담당들은 대학생들 보다 창의력, 도전정신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용모· 복장, 외국어구사능력, 성실성은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것만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사 인사담당자들은 호텔·관광 전공 4학년 학생들 보다 창의력, 윤리의식, 국제감각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반면 문제해결능력은 학생들보다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 만족도에 관한 한 관광 산업체 인사담당자들의 만족도는 높은 반면 호텔·관광 전공 학생들의 만족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욱, "호텔기업의 진정성 리더십이 흡수역량과 학습조직에 미치는 영향-흡수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산업학회 42 (42): 21-46, 2017

      2 이상경, "호텔기업의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역량 및 조직공정성 지각수준 집단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3 김민수, "호텔 신입사원의 수행역량 조사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4 (14): 19-38, 2005

      4 김영미, "호텔 내 부서별 근무자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주요 역량 분석"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17-38, 2009

      5 시사위크, "취업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얼마?"

      6 김영미, "창의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역량중심 비교과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20 (20): 1987-1993, 2016

      7 최현주, "외식산업 전문인력의 역량 유형별 사용 빈도 및 중요도 인식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201-209, 2007

      8 유성상, "역량기반 대학교육 담론의 한계 및 대안적 논의 탐색" 원격교육연구소 11 (11): 21-52, 2015

      9 조형건, "여행사의 핵심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 : 경쟁우위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1

      10 전자신문, "스펙태클 채용...기업 능력중심 채용 이끌어"

      1 김태욱, "호텔기업의 진정성 리더십이 흡수역량과 학습조직에 미치는 영향-흡수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산업학회 42 (42): 21-46, 2017

      2 이상경, "호텔기업의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역량 및 조직공정성 지각수준 집단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3 김민수, "호텔 신입사원의 수행역량 조사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4 (14): 19-38, 2005

      4 김영미, "호텔 내 부서별 근무자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주요 역량 분석"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17-38, 2009

      5 시사위크, "취업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얼마?"

      6 김영미, "창의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역량중심 비교과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20 (20): 1987-1993, 2016

      7 최현주, "외식산업 전문인력의 역량 유형별 사용 빈도 및 중요도 인식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201-209, 2007

      8 유성상, "역량기반 대학교육 담론의 한계 및 대안적 논의 탐색" 원격교육연구소 11 (11): 21-52, 2015

      9 조형건, "여행사의 핵심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 : 경쟁우위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1

      10 전자신문, "스펙태클 채용...기업 능력중심 채용 이끌어"

      11 동아일보, "숨 멎는 고용쇼크... 청년실업률 역대 최악"

      12 강영덕, "랜드 오퍼레이터의 역량이 여행사의 경영성과와 장기거래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20 (20): 1-22, 2016

      13 조규락, "대학의 취업준비생과 기업의 채용담당자가 인식하는 구직역량 차이 비교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16 (16): 157-185, 2014

      14 이은화,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51-67, 2011

      15 장욱희, "대학생의 역량과 구직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3 (33): 31-59, 2009

      16 황경수,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인식 분석 - J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131-162, 2015

      17 양승실,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9): 145-170, 2006

      18 강성원,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19 고미영, "관광인적자원의 역량개발을 위한 관광교육과정 개선방안" 관광연구소 25 (25): 111-127, 2013

      20 고재승, "고객이 지각하는 호텔종사원의 핵심역량이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산업학회 40 (40): 121-144, 2015

      21 Tesone, D. V., "Toward a definition of entry-level job competencies : Hospitality manager perspectives" 7 (7): 65-80, 2006

      22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28 (28): 1-14, 1973

      23 Johanson, M., "Revealing key competencies of hospitality graduates demanded by industry : A 25-year review" 23 (23): 43-47, 2010

      24 Millar, M., "Hospitality & tourism educators vs. the industry: A competency assessment" 22 (22): 38-49, 2010

      25 이승우, "Examining the Gap between Students and Recruiters on Employees’ Competencies: Focusing on USA Students and Mangers"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1 (21): 1-16, 2012

      26 Mayo, C., "Essential competencies needed by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graduates as determined by industry professionals and hospitality educators" 9 (9): 5-16, 2005

      27 Jiang, L., "Comparing students' and managers' perceptions of essential entry-level management competencie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An empirical study" 20 (20): 32-46, 2017

      28 양진연, "4년제 대학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관광 산업체 산학협력 담당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산업학회 40 (40): 155-178,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0-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 Korean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2 2.12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2 1.69 2.283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