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과 건강 과정표준’이라는 문헌 고찰을 통하여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체육 교육과정을 소개하교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체육 교육과정 운영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02656
2009
Korean
37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44-362(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과 건강 과정표준’이라는 문헌 고찰을 통하여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체육 교육과정을 소개하교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체육 교육과정 운영에 ...
이 연구는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과 건강 과정표준’이라는 문헌 고찰을 통하여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체육 교육과정을 소개하교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체육 교육과정 운영에 주변국의 한 사례로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체육과 건강 과정표준’을 통해 볼 때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체육 교육파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통합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내용체계는 서문, 과정 목표 내용 표준, 교수 내용, 실시 건의, 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학생의 건강을 촉진하고 운동에 대한 학생의 소질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데 초점을 두어 ‘건강 제일’과 ‘소질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체육교과의 성격이 ‘학과 중심’으로부터 ‘학생 발달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교육과정에 학생의 체질 및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심리 건강 사회 적응 능력의 신장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여 학생의 전인적 발달에 관심을 가졌다. 넷째, 체육 교육과정의 관리가 국가, 지방, 학교의 3급 관리형식으로 분권화되어 그 동안 국가 수준 체육 교육과정에 의존하여 수업을 해오던 교사틀의 재량권이 대폭적으로 늘어났고, 이에 따라 체육 교과에 조선 민족의 전통 종목을 살리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mplementary role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of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Course Standard" of Yanbian Korean Nationality Auton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mplementary role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of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Course Standard" of Yanbian Korean Nationality Autonomous Prefectur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irst,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Course Standard" was amended not only in name but also the contents system on large scale. It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Course objective, Standards of Content, Instructional Contents, Managerial Guidelines and Supplement,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integrated into a single document was written. Secondly,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Course Standard" is based on the "Health" and follows the ability to promote education in instructions. subsequently, It emphasizes on promotion of health and arouse interest in sports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Thirdly, Physical Educationsubject changed from "Department-centered" to "Student's Development-centered". While promoting physical fitness, it emphasized to improve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adaptations. Fourthly, teachers who all the while teach rely on a level of national curriculum were given discretionary power. Management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s divided into three degrees (national, local and school),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the each area in china, Fifthly,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Course Standard" is based on theories of the education process and developed strictly according to the procedures. Sixthly, As instructional Contents has been selected with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Course Standard" of Yanbian Korean Nationality Autonomous Prefecture and guidelines of Chi-lin province of china, We can find some ways to keep the tradition of korean people alive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옥숙, "한국과 중국 연변조선족의 유치원교사 교육관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 안양옥, "학교체육 위기의 역사적 조망과 극복가능성 탐색" 81 : 18-29, 2004
3 조순묵, "초등학교교육 반세기 그 반성과 전망. in: 학교교육 50년 반성과 전망" 협신사 503-535, 2004
4 유정애, "체육과 교육과정총론" 대한미디어 2007
5 문호준, "중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분석 및 개선점 탐색. 2004년도 서원대학교 특성화과제 연구보고서" 서원대학교 2004
6 최소자, "중국유치원 교육과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1
7 정아란, "중국연변 조선족자치주의 유아교육고찰"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8 장래필,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소학교 조선어문 교과서 내용의 주제 및 가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3
9 조점환,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교육정책 변천과 그 특색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3
10 이규은,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7 (17): 327-352, 2004
1 한옥숙, "한국과 중국 연변조선족의 유치원교사 교육관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 안양옥, "학교체육 위기의 역사적 조망과 극복가능성 탐색" 81 : 18-29, 2004
3 조순묵, "초등학교교육 반세기 그 반성과 전망. in: 학교교육 50년 반성과 전망" 협신사 503-535, 2004
4 유정애, "체육과 교육과정총론" 대한미디어 2007
5 문호준, "중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분석 및 개선점 탐색. 2004년도 서원대학교 특성화과제 연구보고서" 서원대학교 2004
6 최소자, "중국유치원 교육과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1
7 정아란, "중국연변 조선족자치주의 유아교육고찰"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8 장래필,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소학교 조선어문 교과서 내용의 주제 및 가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3
9 조점환,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교육정책 변천과 그 특색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3
10 이규은,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7 (17): 327-352, 2004
11 마윈펑, "중국 국가 기초 교육과정 설계의 방식과 특징 및 전망" 105-115, 2006
12 김춘근, "연변 조선문 교재 편찬사" 연변교육출판사 2007
13 吕卫东, "真水无香,渐修顿悟-参加第二届全国中小学体育教学观摩展示活动有感" 12 : 6-7, 2006
14 黄小平, "感悟 反思 展望" 6 : 11-12, 2006
15 延边教育局, "延边朝鲜族自治州 义务教育阶段新课程计划"
16 陈华卫, "对我国实施<中学体育与健康课程标准>现状的调查研究" 29 (29): 1689-1691, 2006
17 中国教育部, "基础教育课程改革纲要(试行)" (17) : 2001
18 惠志东, "在传授运动技能中,使用游戏化 情景化 教学方法的 影响因素" 1 : 16-, 2007
19 吉教基字, "吉林省义务教育阶段新课程计划" (19) : 2006
20 中国教育部, "关于深化教育改革 全面推进素质教育的决定" (9) : 1999
21 吉教基字, "关于开发和实施指导吉林中小学校本课程的建议" (21) : 2006
22 吉教基字, "关于建设吉林省基础教育地方课程的意见" (20) : 2006
23 毛振明, "关于完善 <體育与健康课程标准> 的建议" 14 (14): 3-6, 2007
24 延州教发, "关于在全州朝鲜族中小学开展朝鲜族民族文化教育的指导意见" (23) : 2007
25 赵超君, "体育课程学习目标的重新归类及其意义" 5 : 11-, 2005
26 季 浏, "体育课程与教学论" 广西师范大学出版社 2005
27 杨文辉, "体育教师适应<新课程标准>的对策研究" 2 : 27-28, 2005
28 陈秀华, "体育与健康课程标准的进展,问题与前瞻" 6 : 13-14, 2006
29 李 林, "体育与健康课程标准再审视" 1 : 40-, 2008
30 中国教育部, "体育与健康 课程标准(实验稿). 中华人民共和国制订" 北京师范大学出版社 2001
31 中国教育部, "义务教育课程设置试验方案" (28) : 2001
32 杨 波, "中英中小学体育课程比较研究" 33 (33): 12-14, 2007
33 王宝珠, "中小学体育与健康课程改革实验情况调查" 11 (11): 9-11, 2006
34 曲宗湖, "中国学校体育现状与发展战略研究报告"
초등 미술에서 미술의 개념 이해를 위한 미학적 접근 방안 연구
초등학교 영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초등학교의 일반학생과 영재학생들의 ‘곤충’에 대한 개념 인식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6-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3 | 1.544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