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전기의 향악곡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삭대엽은 조선조 후기 한국전통음악의 변천과정을 살필 수 있는 좋은 대상이 된다. 그것은 이들 삭대엽의 악곡들이 조선조 후기에 발간된 여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3004
200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조 전기의 향악곡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삭대엽은 조선조 후기 한국전통음악의 변천과정을 살필 수 있는 좋은 대상이 된다. 그것은 이들 삭대엽의 악곡들이 조선조 후기에 발간된 여러 ...
조선조 전기의 향악곡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삭대엽은 조선조 후기 한국전통음악의 변천과정을 살필 수 있는 좋은 대상이 된다. 그것은 이들 삭대엽의 악곡들이 조선조 후기에 발간된 여러 고악보에 실려있어 각 시대별, 음악인별로 그 선율의 변천을 세부적으로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 삭대엽은 당시 정악의 대표곡이고, 정악은 순수 음악문화적 산물이므로 한국 전통음악 전체의 음악적 변천을 살피는데 중요한 대상곡이 된다.
본 연구는 17세기에 발간된 증보고금보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삭대엽이 현재까지 전승되어 오면서 변화되어온 과정을 삭대엽이 실린 모든 고악보를 역보하고, 비교 분석하여 밝혀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삭대엽이 실린 고악보를 수집 정리하고, 거문고와 양금 등 악기별로 구분하여 오선보로 역보하여, 이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수집 고악보의 삭대엽 선율에 기하여 각 고악보 및 해당 악곡의 연대순서를 살핀다.
각 고악보의 삭대엽 선율은 그 변화의 정도에 따라 시대구분을 하고, 각 시대별 삭대엽 선율의 특징을 규명한다. 이와 함께 삭대엽의 한 곡이 새로운 악곡으로 파생되는 과정을 규명하여 삭대엽을 구성하는 각 악곡들의 특징을 규명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에 따라 삭대엽의 변천과정의 원리와 파생곡을 만들어내는 방식을 규명한다.
아울러서 합자법 및 구음법 등 각 시대의 기보법도 병행 정리하고 시대별 특징을 밝힌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조선조 후기의 음악문화의 역사를 실재 음악의 변천과정으로 설명하는데 필요한 분석 연구결과를 제시할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의 결과로 만들어진 고악보의 오선보로 역보된 악보는 별도의 출판을 통해 관련 연구자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