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종태, "지하댐 건설에 따른 유역 내 지하수위 변화 특성 해석" 대한지질공학회 19 (19): 227-233, 2009
2 김종태, "지하댐 건설로 인한 지하수 증가량 계산 및 유황 분석" 대한지질공학회 24 (24): 91-99, 2014
3 김남원,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을 이용한 무심천 유역의 수문과정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40 (40): 419-430, 2007
4 정일문, "제주 지역 지표수-지하수 연계 해석" 한국환경과학회 18 (18): 1017-1026, 2009
5 원광재, "기상학적, 농업학적,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한 청미천 유역의 가뭄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9 (49): 509-518, 2016
6 "http://churchwilnerotary.org"
7 Kim, N. W.,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Global Applications" World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2009
8 Arnold, J. G., "SWAT2000: Current capabilities and research opportunities in applied watershed modeling" 19 (19): 563-572, 2005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Long-term comprehensive plan for water resources" 2011
10 Goran Hanson, "Ground-Water Dams for Rural-Water Supplies in Developing Countries" Wiley 24 (24): 497-506, 1986
1 김종태, "지하댐 건설에 따른 유역 내 지하수위 변화 특성 해석" 대한지질공학회 19 (19): 227-233, 2009
2 김종태, "지하댐 건설로 인한 지하수 증가량 계산 및 유황 분석" 대한지질공학회 24 (24): 91-99, 2014
3 김남원,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을 이용한 무심천 유역의 수문과정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40 (40): 419-430, 2007
4 정일문, "제주 지역 지표수-지하수 연계 해석" 한국환경과학회 18 (18): 1017-1026, 2009
5 원광재, "기상학적, 농업학적,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한 청미천 유역의 가뭄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9 (49): 509-518, 2016
6 "http://churchwilnerotary.org"
7 Kim, N. W.,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Global Applications" World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2009
8 Arnold, J. G., "SWAT2000: Current capabilities and research opportunities in applied watershed modeling" 19 (19): 563-572, 2005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Long-term comprehensive plan for water resources" 2011
10 Goran Hanson, "Ground-Water Dams for Rural-Water Supplies in Developing Countries" Wiley 24 (24): 497-506, 1986
11 Kim, H. S., "Evaluation of drought (2014-2015)" 49 (49): 61-75, 2016
12 Kim, N. W.,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356 : 1-1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