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 <인셉션>과 문학치료학 = The Film, < Inception > and the Literary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05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인셉션>의 주요 발상이나 개념이 어떤 문학치료적인 함의가 있으며, 그에 대해 문학치료학에서는 어떤 접근이 이루어졌는지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우선, 영화의 `꿈`과 문학치료학의 `꿈`을 비교해 보았다. 영화에서는 공유하는 꿈과 그 속에서의 생생한 체험을 통해 인물의 생각이 변하였고, 그 삶의 계획이 이전과 달라졌다. 문학치료학에서도 남의 꿈이라도 자기 것처럼 여길 때 사람과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문학치료학은 꿈과 문학의 형성 원리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고 가정한다. 즉, 작가의 백일몽과 같은 문학작품도 심도 있게 체험하고 자기 것으로 삼는다면 독자 자신 및 독자의 삶이 변화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둘째, 영화 속 인물의 서사적 삶을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영화에서 인셉션의 표적 인물이 되는 피셔는, 순응의 자녀서사를 가지고 있으나 아버지의 법이 너무 높아 자책하는 내향적인 인물이다. 피셔는 아버지가 죽은 후에 아버지의 뜻을 따라 회사를 경영해 보고자 하는 자기 기획을 품었다. 이러한 자기 기획도 넓은 의미에서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가 될 수 있다. 문학치료학은 유사한 상황에서 반복되는 인지적, 정서적 방응이나 행동 방식을 자기서사의 발현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기초서사 영역으로 자기서사를 분류하여 문제적 상황이나 심리적 문제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게 해준다. 셋째, 영화의 `인셉션 과정`과 문학치료학의 `문학치료 과정`을 비교하였다. 영화는 인셉션의 대상이 되는 생각이 문학적 형상을 갖추어야 한다고 보는 한편, 문학적 감동과 내면화가 정신적 변화와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또한, 인셉션의 과정은 기존의 자기서사에 대해 의심하고(1단계), 새로운 자기서사를 쓰기 위한 힘을 기르고(2단계), 새로운 자기서사를 완성하는(3단계)로 구성되었다. 이는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 변화 과정, 즉, 다른 선택 가능성에 대한 이해, 자기서사와의 거리두기, 새로운 서사의 길내기 등의 단계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인셉션>의 주요 발상이나 개념이 어떤 문학치료적인 함의가 있으며, 그에 대해 문학치료학에서는 어떤 접근이 이루어졌는지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우선, 영화의 `꿈`과 문학...

      이 연구는 <인셉션>의 주요 발상이나 개념이 어떤 문학치료적인 함의가 있으며, 그에 대해 문학치료학에서는 어떤 접근이 이루어졌는지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우선, 영화의 `꿈`과 문학치료학의 `꿈`을 비교해 보았다. 영화에서는 공유하는 꿈과 그 속에서의 생생한 체험을 통해 인물의 생각이 변하였고, 그 삶의 계획이 이전과 달라졌다. 문학치료학에서도 남의 꿈이라도 자기 것처럼 여길 때 사람과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문학치료학은 꿈과 문학의 형성 원리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고 가정한다. 즉, 작가의 백일몽과 같은 문학작품도 심도 있게 체험하고 자기 것으로 삼는다면 독자 자신 및 독자의 삶이 변화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둘째, 영화 속 인물의 서사적 삶을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영화에서 인셉션의 표적 인물이 되는 피셔는, 순응의 자녀서사를 가지고 있으나 아버지의 법이 너무 높아 자책하는 내향적인 인물이다. 피셔는 아버지가 죽은 후에 아버지의 뜻을 따라 회사를 경영해 보고자 하는 자기 기획을 품었다. 이러한 자기 기획도 넓은 의미에서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가 될 수 있다. 문학치료학은 유사한 상황에서 반복되는 인지적, 정서적 방응이나 행동 방식을 자기서사의 발현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기초서사 영역으로 자기서사를 분류하여 문제적 상황이나 심리적 문제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게 해준다. 셋째, 영화의 `인셉션 과정`과 문학치료학의 `문학치료 과정`을 비교하였다. 영화는 인셉션의 대상이 되는 생각이 문학적 형상을 갖추어야 한다고 보는 한편, 문학적 감동과 내면화가 정신적 변화와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또한, 인셉션의 과정은 기존의 자기서사에 대해 의심하고(1단계), 새로운 자기서사를 쓰기 위한 힘을 기르고(2단계), 새로운 자기서사를 완성하는(3단계)로 구성되었다. 이는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 변화 과정, 즉, 다른 선택 가능성에 대한 이해, 자기서사와의 거리두기, 새로운 서사의 길내기 등의 단계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film, < Inception > and the theory of literary therapy. The two exist in different areas, but they share the assumptions that everybody has their own stories which direct and shape their decisions and acts. The film title, `inception` means that seeding the new idea which is formed as a story in a targeted one`s mind. Meanwhile, the literary therapy`s main process of treatment is to change the story which located in the mind and cause troubles in the real life. First, the dream is very important for the two. < Inception > uses dreams for changing one`s ideas. Dream experts, Cobe`s team plan, plot, and concrete dreams in various levels for successful inception. The literary therapy considers literatures as dreams which can make changes and substitute audience`s ideas and patterns of thinking. Second, the two have the assumption of existing stories in everybody`s mind. The literary therapy calls the stories `self-epic`, because it has the structure of `beginning, middle, and end`. And the theory provides the methods to analyze self-epics and the crucial problems of them. Thir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elf-epic` has structural homology. The process of inception start from the doubt about his existing self-epic(step 1), raising the power to write a new one(step 2), completing new self-epic by the catharsis(step 3) This process is similar to the literary therapeutic one: understanding the different possibilities of self-epic(step 1), putting some distance between his established one and new one(step 2), making new ways for fresh self-epic.
      번역하기

      This Study compared the film, < Inception > and the theory of literary therapy. The two exist in different areas, but they share the assumptions that everybody has their own stories which direct and shape their decisions and acts. The film title...

      This Study compared the film, < Inception > and the theory of literary therapy. The two exist in different areas, but they share the assumptions that everybody has their own stories which direct and shape their decisions and acts. The film title, `inception` means that seeding the new idea which is formed as a story in a targeted one`s mind. Meanwhile, the literary therapy`s main process of treatment is to change the story which located in the mind and cause troubles in the real life. First, the dream is very important for the two. < Inception > uses dreams for changing one`s ideas. Dream experts, Cobe`s team plan, plot, and concrete dreams in various levels for successful inception. The literary therapy considers literatures as dreams which can make changes and substitute audience`s ideas and patterns of thinking. Second, the two have the assumption of existing stories in everybody`s mind. The literary therapy calls the stories `self-epic`, because it has the structure of `beginning, middle, and end`. And the theory provides the methods to analyze self-epics and the crucial problems of them. Thir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elf-epic` has structural homology. The process of inception start from the doubt about his existing self-epic(step 1), raising the power to write a new one(step 2), completing new self-epic by the catharsis(step 3) This process is similar to the literary therapeutic one: understanding the different possibilities of self-epic(step 1), putting some distance between his established one and new one(step 2), making new ways for fresh self-epi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찬부, "현대정신분석비평" 민음사 1996

      2 Schatz, Thomas,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나래 1995

      3 Freud, Sigmund, "창조적인 작가와 몽상" 열린책들 1996

      4 미국정신분석학회, "정신분석 용어사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5 정운채,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과 공감 및 감동의 원리로서의 서사의 공명" 한국문학치료학회 25 : 361-381, 2012

      6 정운채, "인간관계의 발달 과정에 따른 기초서사의 네영역과 <구운몽>분석시론" 한국문학치료학회 3 : 7-36, 2005

      7 정운채, "오줌 꿈을 사는 이야기의 전승 양상과 문학치료학적 의미" 국문학회 5 : 2001

      8 "영화 <인셉셥>"

      9 정운채, "서사의 힘과 문학치료방법론의 밑그림"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8) : 159-176, 2004

      10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9 : 247-278, 2008

      1 박찬부, "현대정신분석비평" 민음사 1996

      2 Schatz, Thomas,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나래 1995

      3 Freud, Sigmund, "창조적인 작가와 몽상" 열린책들 1996

      4 미국정신분석학회, "정신분석 용어사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5 정운채,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과 공감 및 감동의 원리로서의 서사의 공명" 한국문학치료학회 25 : 361-381, 2012

      6 정운채, "인간관계의 발달 과정에 따른 기초서사의 네영역과 <구운몽>분석시론" 한국문학치료학회 3 : 7-36, 2005

      7 정운채, "오줌 꿈을 사는 이야기의 전승 양상과 문학치료학적 의미" 국문학회 5 : 2001

      8 "영화 <인셉셥>"

      9 정운채, "서사의 힘과 문학치료방법론의 밑그림"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8) : 159-176, 2004

      10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9 : 247-278, 2008

      11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와 문학연구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21 : 233-252, 2011

      12 나지영,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 개념 검토" 한국문학치료학회 13 : 35-58, 2009

      13 Verena, Kast, "꿈-당신을 변화시키는 무의식의 힘" 프로네시스 2007

      14 정운채, "고전문학 교육과 문학치료" 한국어교육학회 (113) : 103-126, 2004

      15 Brogaard, Berit, "Lucid Dreaming and Self-Realization- An Interview with dream expert Beverly D'Urso about lucid dream" Psychology Today

      16 Hiscock, John, "Inception: Christopher Nolan interview"

      17 Clyman, Jeremy, "Inception, PartⅡ: A Psychologically "Real" Dream World -Illuminating the real-world research underlying Nolan's dream world" Psychology Today

      18 Clyman, Jeremy, "Inception, Part Ⅲ: A Filmmaker Disguised As a Psychologist" Psychology Today

      19 Antrobus, J., "Encyclopedia of Sleep and Dreaming" 1993

      20 Paul, I. A., "Desiring-Machines in American Cinema: What Inception tells us about our experience of reality and film" 56 : 2010

      21 Clyman, Jeremy, "A Box Office Breaker and National IQ Barometer-What box office hits say about national intelligence" Psychology Today

      22 정운채, "<만복사저포기>의 문학치료학적 독해"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 :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1 1.23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