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윤정,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을 활용한 연결어미 ‘-느라고’ 수업 효과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1 (21): 295-320, 2014
2 성지연, "형태 초점 교수를 통한 한국어 내포문 교육 연구 : 관형사절과 명사절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3 성지연, "형태 초점 교수를 통한 ‘-더-’ 관련 문법 항목 교육 연구" 중앙어문학회 60 : 337-366, 2014
4 다카치토모나리, "현대 한국어 관형절 어미 기능에 대한 시론" 한국언어학회 33 (33): 629-664, 2008
5 마쯔자키 마히루, "한국어 읽기 질문 유형 분석 연구: 고급 과정 교재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41) : 111-137, 2009
6 우형식,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형태 초점 접근법을 적용하는 문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6 : 99-128, 2012
7 마에무라 카즈아키, "한국어 교재에서의 Focus on Form의반영 현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1-58, 2018
8 성지연,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법 교육 항목 선정과 제시에 대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7 (47): 127-157, 2014
9 곽지영, "한국어 교수법의 실제"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10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 경희대학교출판국 2001
1 정윤정,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을 활용한 연결어미 ‘-느라고’ 수업 효과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1 (21): 295-320, 2014
2 성지연, "형태 초점 교수를 통한 한국어 내포문 교육 연구 : 관형사절과 명사절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3 성지연, "형태 초점 교수를 통한 ‘-더-’ 관련 문법 항목 교육 연구" 중앙어문학회 60 : 337-366, 2014
4 다카치토모나리, "현대 한국어 관형절 어미 기능에 대한 시론" 한국언어학회 33 (33): 629-664, 2008
5 마쯔자키 마히루, "한국어 읽기 질문 유형 분석 연구: 고급 과정 교재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41) : 111-137, 2009
6 우형식,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형태 초점 접근법을 적용하는 문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6 : 99-128, 2012
7 마에무라 카즈아키, "한국어 교재에서의 Focus on Form의반영 현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1-58, 2018
8 성지연,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법 교육 항목 선정과 제시에 대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7 (47): 127-157, 2014
9 곽지영, "한국어 교수법의 실제"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10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 경희대학교출판국 2001
11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 건국대학교출판부 2005
12 강동호, "한국 영어 학습자의 관점에서 본 통합과 분리 형태초점교수법"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23-130, 2018
13 조윤경, "통합 및 분리 형태초점 교수법과 학습자의 사전 문법지식 수준이 목표언어형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과학회 24 (24): 149-171, 2017
14 이창희, "입력과 출력 중심의 형태 초점 교수법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문법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83-903, 2016
15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16 최정순, "의사소통적 한국어 구어 능력 개발을 위한 제언" 국어교육연구소 (18) : 91-122, 2006
17 원진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방향" 99 : 31-54, 1999
18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연세대학교출판부 2007
19 성균어학원, "배우기 쉬운 한국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7
20 신현숙, "관형형 어미의 의미 분석" 1998
21 白畑知彦, "第二言語習得研究:理論から研究まで" 研究社 2010
22 小柳かおる, "日本語教育のための新しい言語習得概論" 東京: スリ―エ―ネットワ―ク 2004
23 Brown, H.,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earson Education Korea 2007
24 Long, M., "Modeling and assessing second language development" Multilingual Matters 77-79, 1985
25 Izumi, S., "Comprehrnsion and production processe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 In search of the psycholinguistic rationale of the output hypothesis" 24 : 168-196, 2003
26 Ann Malamah-Thomas, "Classroom interaction" Oxford language teaching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