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추사 김정희의 서독(書牘)에 담긴 사유양식과 정신세계에 대한 일 고찰 = A study on Kim jeong hee`s thought and Life in his` Letters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추사의 서독(간찰)이 지닌 사유양식과 정신세계를 탐색하기 위해 경학 연찬의 논리적 서독, 선사상을 담은 서독, 인간적 특성을 드러낸 서독 등의 세 부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추사는 대개 초기에는 경학을 연찬하면서 고증학적의 인식을 매우 명료하게 제시하고 상대방을 설복시키는 언사를 구사했다. 그리고 뒤에는 선사상을 수용하면서 대상에 대한 조망적 관점을 확보하여 여유와 해학의 언어를 구사했다. 그리고 일부 서찰에서는 현실의 모순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거나 소외를 경험하는 타자에 대한 동정의 뜻을 완곡하게 담기도 했다. 특히 추사의 경학설을 담은 서독은 ① 사설(師說)과 가법(家法)의 중시 ② 박종(博綜)의 추구 ③ 집일(輯佚)의 방법에 대한 관심 ④ 단주(段注)에 대한 비판적 검토 ⑤ 고체(固滯)함과 고체(固滯)하지 않음의 절충 등의 면에서 청대 고증학의 방법을 받아들이면서도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것은 추사가 초기부터 선험적 논리를 준용하고 기성의 개념을 조작하는 방법이 아니라 경문의 자구를 문헌 교합을 통해 의미 해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경문의 의리를 탐색하는 방법을 추구했음을 잘 말해 준다. 그리고 청대의 고증학에서 영향을 받아 사설(師說)과 가법(家法)을 중시하고 집일(輯佚)의 방법에 대해 관심을 두었지만, 청대의 학술도 상대화해서 박종(博綜)을 추구하고 고체(固滯)함과 고체(固滯)하지 않음의 절충을 선언하였다는 점에서 독자적 학문방법을 모색하려는 고심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에 비해 선사상을 담은 서찰은 객관 사물과 사실의 외관에 구애받지 않고 객체를 종람(縱覽)하면서 주관적 이해를 침투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일견 학문적 담론을 주로 행한 초기의 서독과 무관한 듯 보이지만, 실은 독자적 사색을 추구하는 의식이 그러한 글쓰기에 잘 나타나 있으며, 그 점에서 초기의 학문 담론의 서독이 드러낸 사유방법 및 정신세계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추사는 현실에 대한 문제를 언급한 서독이나 지인 등에게 부친 서독에서 결코 스스로의 감정을 억제하고 객관과 거리를 둔 `목석`으로서가 아니라 현실이나 타자의 존재를 주체와의 진정한 관계 속에서 재구성하였다. 이 점도 역시 초기의 서독에서 나타난 독자적 사색의 사유방법 및 정신세계와 연관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앞으로 추사의 서독(간찰)들을 계년화(繫年化)하고 관련 사실을 고증하며, 수수자(收受者)의 서한을 집록하여 추사의 예술세계와 정신세계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켜 나아야 할 것이다. 또한 언문 간찰에 대한 연구도 새롭게 진행시켜, 한문 서독과의 관련성 및 그 독자성을 면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추사의 서독(간찰)이 지닌 사유양식과 정신세계를 탐색하기 위해 경학 연찬의 논리적 서독, 선사상을 담은 서독, 인간적 특성을 드러낸 서독 등의 세 부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

      본고에서는 추사의 서독(간찰)이 지닌 사유양식과 정신세계를 탐색하기 위해 경학 연찬의 논리적 서독, 선사상을 담은 서독, 인간적 특성을 드러낸 서독 등의 세 부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추사는 대개 초기에는 경학을 연찬하면서 고증학적의 인식을 매우 명료하게 제시하고 상대방을 설복시키는 언사를 구사했다. 그리고 뒤에는 선사상을 수용하면서 대상에 대한 조망적 관점을 확보하여 여유와 해학의 언어를 구사했다. 그리고 일부 서찰에서는 현실의 모순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거나 소외를 경험하는 타자에 대한 동정의 뜻을 완곡하게 담기도 했다. 특히 추사의 경학설을 담은 서독은 ① 사설(師說)과 가법(家法)의 중시 ② 박종(博綜)의 추구 ③ 집일(輯佚)의 방법에 대한 관심 ④ 단주(段注)에 대한 비판적 검토 ⑤ 고체(固滯)함과 고체(固滯)하지 않음의 절충 등의 면에서 청대 고증학의 방법을 받아들이면서도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것은 추사가 초기부터 선험적 논리를 준용하고 기성의 개념을 조작하는 방법이 아니라 경문의 자구를 문헌 교합을 통해 의미 해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경문의 의리를 탐색하는 방법을 추구했음을 잘 말해 준다. 그리고 청대의 고증학에서 영향을 받아 사설(師說)과 가법(家法)을 중시하고 집일(輯佚)의 방법에 대해 관심을 두었지만, 청대의 학술도 상대화해서 박종(博綜)을 추구하고 고체(固滯)함과 고체(固滯)하지 않음의 절충을 선언하였다는 점에서 독자적 학문방법을 모색하려는 고심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에 비해 선사상을 담은 서찰은 객관 사물과 사실의 외관에 구애받지 않고 객체를 종람(縱覽)하면서 주관적 이해를 침투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일견 학문적 담론을 주로 행한 초기의 서독과 무관한 듯 보이지만, 실은 독자적 사색을 추구하는 의식이 그러한 글쓰기에 잘 나타나 있으며, 그 점에서 초기의 학문 담론의 서독이 드러낸 사유방법 및 정신세계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추사는 현실에 대한 문제를 언급한 서독이나 지인 등에게 부친 서독에서 결코 스스로의 감정을 억제하고 객관과 거리를 둔 `목석`으로서가 아니라 현실이나 타자의 존재를 주체와의 진정한 관계 속에서 재구성하였다. 이 점도 역시 초기의 서독에서 나타난 독자적 사색의 사유방법 및 정신세계와 연관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앞으로 추사의 서독(간찰)들을 계년화(繫年化)하고 관련 사실을 고증하며, 수수자(收受者)의 서한을 집록하여 추사의 예술세계와 정신세계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켜 나아야 할 것이다. 또한 언문 간찰에 대한 연구도 새롭게 진행시켜, 한문 서독과의 관련성 및 그 독자성을 면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studied on Kim jeong hee`s thought and life in his` letters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For this work, I divided into three classes his letters: the logical letters, the letters expressed his thought of Zen(禪), and the letters displayed his humanity. In the early years, he mainly researche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en, he very logically explained his thought of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and he attempted to persuade a recipient in letters. The logical letters show us that he adopted a Ching(淸)`s methodology of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that take a serious view of interpretation founded close investigation of word and literature,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surmount Chings methodology and construct his own methodology. After that time, he displayed inclination toward contemplation and expressed composure and humorous words, because he adopted thought of Zen. Meanwhile, In some letters, he criticized contradictory society in a roundabout way, and he circumambulated sympathy for people became estranged from society. These letters is likely to irrelevant to the logical letters. But, This letters show us that he pursued and expressed process of his own thinking and speculation of oneself-world relations by writing letter. Then, We can understand these letters have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logical letters in this point Hereafter, we have to rearrange his letters and addresser or recipient`s letters in regular sequence and investigated matters relevant to his letters so that we study his thought and life in depth. In addition to, we have to research the relation and originality between his` letters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and one written by korean(hangeul).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studied on Kim jeong hee`s thought and life in his` letters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For this work, I divided into three classes his letters: the logical letters, the letters expressed his thought of Zen(禪), and the letters dis...

      In this paper, I studied on Kim jeong hee`s thought and life in his` letters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For this work, I divided into three classes his letters: the logical letters, the letters expressed his thought of Zen(禪), and the letters displayed his humanity. In the early years, he mainly researche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en, he very logically explained his thought of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and he attempted to persuade a recipient in letters. The logical letters show us that he adopted a Ching(淸)`s methodology of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that take a serious view of interpretation founded close investigation of word and literature,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surmount Chings methodology and construct his own methodology. After that time, he displayed inclination toward contemplation and expressed composure and humorous words, because he adopted thought of Zen. Meanwhile, In some letters, he criticized contradictory society in a roundabout way, and he circumambulated sympathy for people became estranged from society. These letters is likely to irrelevant to the logical letters. But, This letters show us that he pursued and expressed process of his own thinking and speculation of oneself-world relations by writing letter. Then, We can understand these letters have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logical letters in this point Hereafter, we have to rearrange his letters and addresser or recipient`s letters in regular sequence and investigated matters relevant to his letters so that we study his thought and life in depth. In addition to, we have to research the relation and originality between his` letters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and one written by korean(hangeu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경호, "한자학" 보고사 2007

      2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3 高亨坤, "추사의‘白坡妄證 十五條’에 대하여" 14 : 1975

      4 과천문화원, "추사와 한중교류 - 후지츠카 기증 추사 자료전 Ⅱ" 2007

      5 김상엽, "추사 김정희와 소치 허련" 추사연구회 (5) : 295-310, 2007

      6 심경호, "추사 김정희와 고증학" 추사연구회 (5) : 257-292, 2007

      7 과천시?경기문화재단, "추사 글씨 귀향전 - 후지츠카 기증 추사 자료전" 2006

      8 全海宗, "청대학술과 완당" 성균관대 1 : 1963

      9 유홍준, "완당평전" 학고재 2002

      10 閔泰植, "완당의 학풍과 서예" 중앙대 18 : 1978

      1 심경호, "한자학" 보고사 2007

      2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3 高亨坤, "추사의‘白坡妄證 十五條’에 대하여" 14 : 1975

      4 과천문화원, "추사와 한중교류 - 후지츠카 기증 추사 자료전 Ⅱ" 2007

      5 김상엽, "추사 김정희와 소치 허련" 추사연구회 (5) : 295-310, 2007

      6 심경호, "추사 김정희와 고증학" 추사연구회 (5) : 257-292, 2007

      7 과천시?경기문화재단, "추사 글씨 귀향전 - 후지츠카 기증 추사 자료전" 2006

      8 全海宗, "청대학술과 완당" 성균관대 1 : 1963

      9 유홍준, "완당평전" 학고재 2002

      10 閔泰植, "완당의 학풍과 서예" 중앙대 18 : 1978

      11 徐坰遙, "완당사상의 실학적 특징" 8 : 1979

      12 이우성, "실학연구서설 in: 실학연구입문" 일조각 1973

      13 소치연구회, "소치연구" 학고재 2003

      14 김규선, "새로 발굴한 6편의 추사 간찰" 추사연구회 (5) : 311-318, 2007

      15 심경호, "산문기행" 이가서 2007

      16 과천문화원, "붓 천 자루와 벼루 열 개를 모두 닳아 없애고 - 추사의 작은 글씨" 2005

      17 이우성, "김추사 및 중인층의 성령론" 5 : 127-138, 1980

      18 정혜린, "김정희의 청대 한송절충론 수용 연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31 : 224-225, 2003

      19 南相樂, "김정희의 철학사상과 예술론 고찰" 성균관대 30 : 1995

      20 高在旭, "김정희의 실학사상과 청대고증학" 10 : 1993

      21 徐坰遙, "김완당의 학예와 존고정신" 11 : 1978

      22 김정희, "국역완당전집" 솔출판사 1995

      23 심경호, "간찰:선비의 마음을 읽다" 한얼미디어 2006

      24 劉復烈, "韓國繪畵大觀" 文敎院 1969

      25 崔完秀, "秋史集" 玄岩社 1976

      26 金泳鎬, "槿域書畵徵"

      27 김명숙, "彛齋 權敦仁(1783-1859)의 정치활동과 정치론" 한국사상문화학회 38 (38): 161-193,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2 1.77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