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곤충생태환경을 중심으로 한 비오톱지도(Biotops Map) 제작과 녹지공간디자인 연구 -충주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46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급격한 근대화 및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도시는 체계적으로 계획을 추진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곤충 생태계를 중심으로 한 비오톱지도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로써 곤충상 조사를 통해 도시의 녹지공간 조성 방안애 대한 디자인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이며, 연구결과는 도시의 녹지 공간디자인 활용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기존 연구가 주로 식생상을 중심으로 비오톱지도가 작성되었는데 반해 본 연구의 차별성은 곤충상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과 디자인분야에서의 접근 및 활용에 대한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대상지는 충청북도 충주시로 도시의 녹지율이 비교적 낮은 도시이다. 충주시에 곤충생태계조사를 위해 트랩을 30곳에 설치하였고 채집된 곤충의 특성을 바탕으로 도시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녹지공간을 파악하였으며, 산림 비오톱과 수변 비오톱의 연계를 통해 도심속 비오톱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계획하였다. 충주시 비오톱 특성에 따란 총 30곳에서 총 3회의 곤충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오톱 공간구조를 분석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충주시의 핵심적 비오톱 공간은 대가미 근린공원이 되어야 하며, 대가미 공원을 중심축으로 X형의 도시 비오톱 라인이 형성 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활요을 위해 디자인적 측면에서의 비오톱 라인 형성과정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급격한 근대화 및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도시는 체계적으로 계획을 추진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곤충 생태계를 중심으로 한 비오톱지도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로써 곤충상 조사...

      급격한 근대화 및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도시는 체계적으로 계획을 추진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곤충 생태계를 중심으로 한 비오톱지도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로써 곤충상 조사를 통해 도시의 녹지공간 조성 방안애 대한 디자인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이며, 연구결과는 도시의 녹지 공간디자인 활용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기존 연구가 주로 식생상을 중심으로 비오톱지도가 작성되었는데 반해 본 연구의 차별성은 곤충상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과 디자인분야에서의 접근 및 활용에 대한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대상지는 충청북도 충주시로 도시의 녹지율이 비교적 낮은 도시이다. 충주시에 곤충생태계조사를 위해 트랩을 30곳에 설치하였고 채집된 곤충의 특성을 바탕으로 도시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녹지공간을 파악하였으며, 산림 비오톱과 수변 비오톱의 연계를 통해 도심속 비오톱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계획하였다. 충주시 비오톱 특성에 따란 총 30곳에서 총 3회의 곤충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오톱 공간구조를 분석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충주시의 핵심적 비오톱 공간은 대가미 근린공원이 되어야 하며, 대가미 공원을 중심축으로 X형의 도시 비오톱 라인이 형성 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활요을 위해 디자인적 측면에서의 비오톱 라인 형성과정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drastic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ities cannot push ahead with the plan systematically. As a research on the production method of biotope map around insect ecosystem, this study researched the design approach of creating urban green space through entomofauna investigation, and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the application plan of urban green space design.
      The difference of this study is in how it was progressed around entomofauna and suggested the approach and application plans in design field whereas other existing researches prepared the biotope map mainly around vegetation.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is Chungju-si, Chungchongbuk-do of relatively low green space ratio. For insect ecosystem investigation in Chungju-si, this study installed traps in 30 locations, investigated the green space that performs a key role of citi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insects, and planned the formation of biotope line in cities by connecting the forest biotope with waterside biotope. Total 30 insect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30 locations according to the biotope characteristic of Chungju-si, and analyzed the biotope space structure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core biotope space in Chungju-s
      번역하기

      Due to the drastic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ities cannot push ahead with the plan systematically. As a research on the production method of biotope map around insect ecosystem, this study researched the design approach of cr...

      Due to the drastic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ities cannot push ahead with the plan systematically. As a research on the production method of biotope map around insect ecosystem, this study researched the design approach of creating urban green space through entomofauna investigation, and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the application plan of urban green space design.
      The difference of this study is in how it was progressed around entomofauna and suggested the approach and application plans in design field whereas other existing researches prepared the biotope map mainly around vegetation.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is Chungju-si, Chungchongbuk-do of relatively low green space ratio. For insect ecosystem investigation in Chungju-si, this study installed traps in 30 locations, investigated the green space that performs a key role of citi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insects, and planned the formation of biotope line in cities by connecting the forest biotope with waterside biotope. Total 30 insect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30 locations according to the biotope characteristic of Chungju-si, and analyzed the biotope space structure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core biotope space in Chungju-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