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통화대체 함수에 대한 통화론적 접근 = A Monetary Model of Currency Substitu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27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cy substitution refers to the resident's substitu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urrency. It was in the mid 1970s that the currency substitution theory was first developed. It was to explain the instability in the money demand function, which might cause the in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The discussion of currency substitution has revised in the late 1990s. Their issue of currency substitution was analyzed in the context of Latin American countries. In their case, it was 100% currency substitution, put differently, dollarization. Dollarization was proposed to prevent a currency crisis in those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 however, currency substitution can be examined as the country is concerned about lessened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rather than about prevention of currency crisis.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imate Korea's currency substitution function. We derived a theoretical equation for a country's currency substitution by using the conditions of money market equilibrium.
      We used the monthly data taking the sample period of March 1990 through September 2004. To get aroun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shortage of data and short-term period, we used a partial adjustment model.
      According to our estimation results, all exogenous variables including the lagged dependent variable well explained Korea's currency substitution phenomenon. We used the resident's foreign currency deposits and the country's foreign reserves as the foreign currency variable. We also used the import-GDP ratio as the country's openness variable. Interestingly, the openness variable explained currency substitution much better than the real GDP variable.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obvious. As Korea is getting more open, currency substitution phenomenon will be more prevailing. Then the country's monetary policy will be less effective unless the government finds other instruments.
      번역하기

      Currency substitution refers to the resident's substitu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urrency. It was in the mid 1970s that the currency substitution theory was first developed. It was to explain the instability in the money demand function, which...

      Currency substitution refers to the resident's substitu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urrency. It was in the mid 1970s that the currency substitution theory was first developed. It was to explain the instability in the money demand function, which might cause the in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The discussion of currency substitution has revised in the late 1990s. Their issue of currency substitution was analyzed in the context of Latin American countries. In their case, it was 100% currency substitution, put differently, dollarization. Dollarization was proposed to prevent a currency crisis in those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 however, currency substitution can be examined as the country is concerned about lessened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rather than about prevention of currency crisis.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imate Korea's currency substitution function. We derived a theoretical equation for a country's currency substitution by using the conditions of money market equilibrium.
      We used the monthly data taking the sample period of March 1990 through September 2004. To get aroun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shortage of data and short-term period, we used a partial adjustment model.
      According to our estimation results, all exogenous variables including the lagged dependent variable well explained Korea's currency substitution phenomenon. We used the resident's foreign currency deposits and the country's foreign reserves as the foreign currency variable. We also used the import-GDP ratio as the country's openness variable. Interestingly, the openness variable explained currency substitution much better than the real GDP variable.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obvious. As Korea is getting more open, currency substitution phenomenon will be more prevailing. Then the country's monetary policy will be less effective unless the government finds other instru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통화대체는 거주자가 국내화폐와 외국화폐 중 한 개를 선택하는 것을 가리키는데 통화대체 이론이 처음 나온 것은 1970년대 중반이었다. 화폐수요함수의 불안정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으로서 통화대체 이론은 그 당시 세계적 추세인 자본자유화에 편승하여 거주자가 국내화폐와 함께 외국화폐를 보유하게 된 사실을 잘 반영하는 이론이었다. 통화대체 현상이 주는 한 가지 큰 정책적 시사점은 화폐수요의 불안정 때문에 화폐공급정책의 효과가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었다.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통화대체 함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화폐시장 균형조건을 이용하여 통화대체에 관한 이론방정식을 도출하였다. 분석기간은 1990년 3월부터 2004년 9월까지의 월별자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료수의 부족과 짧은 분석기간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고려하기 위하여 부분조정모형 (partial adjustment model)을 이용하였다.분석결과에 의하면 시차 종속변수를 포함한 모든 외생변수들이 한국의 통화대체 현상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화대체의 대용변수로서 거주자외화예금과 외환보유고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국가의 경제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對 GDP 수입비율을 이용하였다. 통화대체 변수로서는 실질GDP 변수보다 경제개방도가 통화대체를 더 잘 설명하고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로서 지적할 수 있는 점은 한국경제가 보다 개방화됨에 따라 통화대체 현상은 보다 더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며 이때 통화정책 당국이 다른 정책수단을 쓰지 않으면 통화정책의 효력은 감소할 것이다.
      번역하기

      통화대체는 거주자가 국내화폐와 외국화폐 중 한 개를 선택하는 것을 가리키는데 통화대체 이론이 처음 나온 것은 1970년대 중반이었다. 화폐수요함수의 불안정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이...

      통화대체는 거주자가 국내화폐와 외국화폐 중 한 개를 선택하는 것을 가리키는데 통화대체 이론이 처음 나온 것은 1970년대 중반이었다. 화폐수요함수의 불안정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으로서 통화대체 이론은 그 당시 세계적 추세인 자본자유화에 편승하여 거주자가 국내화폐와 함께 외국화폐를 보유하게 된 사실을 잘 반영하는 이론이었다. 통화대체 현상이 주는 한 가지 큰 정책적 시사점은 화폐수요의 불안정 때문에 화폐공급정책의 효과가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었다.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통화대체 함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화폐시장 균형조건을 이용하여 통화대체에 관한 이론방정식을 도출하였다. 분석기간은 1990년 3월부터 2004년 9월까지의 월별자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료수의 부족과 짧은 분석기간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고려하기 위하여 부분조정모형 (partial adjustment model)을 이용하였다.분석결과에 의하면 시차 종속변수를 포함한 모든 외생변수들이 한국의 통화대체 현상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화대체의 대용변수로서 거주자외화예금과 외환보유고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국가의 경제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對 GDP 수입비율을 이용하였다. 통화대체 변수로서는 실질GDP 변수보다 경제개방도가 통화대체를 더 잘 설명하고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로서 지적할 수 있는 점은 한국경제가 보다 개방화됨에 따라 통화대체 현상은 보다 더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며 이때 통화정책 당국이 다른 정책수단을 쓰지 않으면 통화정책의 효력은 감소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원암, ""外換集中制 停止 通貨對替" 2 (2): 137-149, 1995

      2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3 이윤재, "한국의 화폐대체에 관한 실증연구" 4 (4): 1998

      4 유지성, "통화대체환율결정에 관한 小考 경제연구" 21-32, 1993

      5 주한광, "不確實性 및 換率과 韓國의 貨幣需要函數" 8 (8): 2002

      6 London, "the Balance of Payments"

      7 Tanzi, "and Currency Substitution in Developing Economics A Discussion of Some Major Issues" 1982

      8 Robert Z,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9-298,

      9 "Theory and Implications of Currency Substitution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12-30, 1981

      10 Girton L, "Theory and Implications of Currency Substitution" 1976

      1 박원암, ""外換集中制 停止 通貨對替" 2 (2): 137-149, 1995

      2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3 이윤재, "한국의 화폐대체에 관한 실증연구" 4 (4): 1998

      4 유지성, "통화대체환율결정에 관한 小考 경제연구" 21-32, 1993

      5 주한광, "不確實性 및 換率과 韓國의 貨幣需要函數" 8 (8): 2002

      6 London, "the Balance of Payments"

      7 Tanzi, "and Currency Substitution in Developing Economics A Discussion of Some Major Issues" 1982

      8 Robert Z,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9-298,

      9 "Theory and Implications of Currency Substitution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12-30, 1981

      10 Girton L, "Theory and Implications of Currency Substitution" 1976

      11 Johnson, "The Monetary Approach to Balance of Payments Theory" 1972

      12 In Michael B, "The Economics of the"

      13 "The Economics of Exchange Rates" 1978

      14 McKinnon, "The Dollar Exchange Rate as Monetary Indicator Reply to Radcliffe" 1983

      15 Money, "Some Evidence for Canada Journal of Money"

      16 by Canto, "Review of currency substitution theory and evidence from Latin America Journal of Money" 1989

      17 "Political Economy" 85 617-625

      18 Frenkel, "Openness and the Demand for International Reserves" 1974

      19 balance model, "Journal of Policy Modeling"

      20 Canadian Dollar, "Journal of Money"

      21 Girton-Roper Monetary Model, "Journal of Money"

      22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2" 111-133,

      23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24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25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6 Johnson, "In Further Essays in Monetary Economics edited by Harry G"

      27 "GMM Estimates of Currency Substitution between the" 1994

      28 "Exchange Market Pressure in Korea An Application of the" 1985

      29 "Determination Under Currency Substitution and Rational Expectations"

      30 Tarik H. Alami, "Currency substitution versus dollarization A portfolio" 2001

      31 Mohamed, "Currency Substitution in Egypt and the Yemen Arab Republic" 1988

      32 McKinnon, "Currency Substitution and Instability in the World" 1982

      33 O. Cevdet Akay, "C. Emre Alper, and Meral Karasulu" 1997

      34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Monetary Stabilization" 1984

      35 Kim, "A Partial Adjustment Approach to the Balance of Payments in" Inchul 1983

      36 Calvo, "A Model of Exchange Rate" 19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0.89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