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장애 학생들이 아직도 성인생활에 성곡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와 관련하여, 보다 나은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필연적 과제는 장애 청소년들이 학교 졸업 수에 보다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장애 학생들이 아직도 성인생활에 성곡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와 관련하여, 보다 나은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필연적 과제는 장애 청소년들이 학교 졸업 수에 보다 자...
많은 장애 학생들이 아직도 성인생활에 성곡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와 관련하여, 보다 나은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필연적 과제는 장애 청소년들이 학교 졸업 수에 보다 자립적이고 책임있는 사회구성원이 되도록 졸업 전부터 전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환 교육의 정의, 모형 및 구성요소와 전환교육 계획 및 실행의 근간이 되는 진로교육의 본질 과 지역사회중심 전환 교육 프로그램 지도절차에 관하여 검터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전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실천 과제들이 무엇인지 종합적으로 재조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진로/전환 교육의 기본 개념, 전환 교육 과정 중심의 최근 전환 교육 모형들의 특성, 생활 기능 중심 교육의 핵심요소, 지역사회중심 직업탐색 접근 방법, 전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전문인들의 역할 등을 검토한 결과, 학업성취 중심 교육으로부터의 인식 변화, 교과중심 교육과정에 진로 교육 교육과정 주입하기, 하향식 접근방법에 따른 생활연령중심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개발 , 유아기부터 성인기에 이르는 평생 교육 체제의 실천, 전환 지향적인IEP개발, 수행능력을 갖춘 전환교육교사 인력 개발, 학교-가정-지역간사회기관 간의 밀접한 상호작용에 근거한 특수교사-전문인들간 협력체계로의 개선, 교육기관-재활복지기관간 업무 연계성 부재 개선을 위한 정부 부처간 협력체계 구축방안마련등 적어도 여덟 가지 측면에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고찰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 survey results report that man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still not engaged In employment, education, or other productive activities after leaving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omprehensively the basic concept and recent ...
Recent survey results report that man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still not engaged In employment, education, or other productive activities after leaving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omprehensively the basic concept and recent service models of transition education, the essence of lift-centered career education, and the guidelines of community-based job exploration procedure, which are the bases of transiti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n order to examine practical solutions for putting transition education into practice successfully in Korea.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indicate the needs for the improvement and reformation of at least the following eight aspects: breaking from academic skills oriented education and focusing on lift, affective, and employment skills; infusing career education curriculum into traditional subject matter; developing chronological age appopriate, ecological curriculum according to top-down approach; putting lifelong education system from early childhood through adulthood into practice; developing IEP that reflects the student's vision for the future and his/her adult lift; preparing special educators with transition education competencies for taking their primary role in planning each student's realistic transition goals; promoting teaming and collaboration among schools, parents, and community agencies/employers; and sharing responsibilities among the Ministries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ealth and Welfare, and Labor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agencies.
목차 (Table of Contents)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그래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의 이론적 근거와 적용
중도 및 복합장애아동의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
장애아 보육 프로그램 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pecial Education Research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7 | 1.77 | 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9 | 1.64 | 1.895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