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 Study on Minimum Cabin Crew Requirements for Korean Low Cost Air Carri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8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3년간 우리나라의 저비용항공사는 총 6개사(소형항공운송업 항공사 포함 8개사)로서 국내시장 점유 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및 미국령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에도 약 ...

      최근 3년간 우리나라의 저비용항공사는 총 6개사(소형항공운송업 항공사 포함 8개사)로서 국내시장 점유 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및 미국령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에도 약 3개 항공사가 저비용항공사로 출범하고자 항공운송사업증명을 신청한 상태로서 이 확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국내 및 외국의 저비용항공사의 공격적인 항공사 운영 실태에 대응하며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각 저비용항공사는 객실서비스 증진에 많은 전략을 강구하고 있다. 따라서 객실승무원의 업무량이 확장세에 비례하여 증가되어 안전업무 수행 능력과 직결되는 피로를 가중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승객 좌석 50석 당 최소 1인의 객실승무원이 탑승하도록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에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모든 저비용항공사에는 최소 객실승무원만 탑승하고 있다. 때로는 객실승무원의 주 업무인 비상 시 비상탈출에 필요한 비상구(창문형 비상구 제외)에 착석이 불가능하게 되어 비상 시 승객의 혼란을 야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또한 최소 객실승무원 중 1인이 부상 등으로 업무수행 불능상태가 되면 비상탈출 업무를 수행하는데 큰 장애요소로 작용하게 되고, 정상상황에서도 최소 객실승무원의 성원을 이룰 수 없으므로 위규가 되어, 모든 승객이 다른 가용한 항공사 비행편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6에는 최소 객실승무원의 수를 정할 때 안전하고 신속한 비상탈출을 위하여 승객좌석 수 또는 탑승 승객 수만을 기반으로 정하도록 국제표준으로 규정하고 있다. 객실안전의 강화 및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객실승무원의 다양한 업무특성(서비스, 안전, 보안, 응급처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로 및 비상구 착석(창문형 비상구 제외)을 최소 객실승무원 수 산정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항공사 관리.감독 차원에서도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업무량에 기인한 피로, 비상구 착석불가 상황 등을 검토하여 최소 객실승무원 수 규정에 반영함으로써 승객과 승무원의 객실안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3 years, Korea's low-cost airlines have expanded their areas of passenger transportation not only to domestic market but also to Japan, China, Southeast Asia and US territory as a total of 6 companies (8 airlines including small air operatio...

      In recent 3 years, Korea's low-cost airlines have expanded their areas of passenger transportation not only to domestic market but also to Japan, China, Southeast Asia and US territory as a total of 6 companies (8 airlines including small air operation business carriers). Currently, three more airlines have filed for air transportation business certification as future low-cost carriers, and this expansion is expected to continue. To cope with the aggressive airline oper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low-cost carriers and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each low-cost airline is taking a number of strategies for promoting cabin service. Therefore, the workload of the cabin crew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expansion, and the fatigu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safety task performance is increased. It is stipulated in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Korea Aviation Safety Act that at minimum, one cabin crew is required per 50 passenger seating capacity, and all low cost carriers are boarding only the minimum cabin crew. Sometimes it is impossible for them to sit in a floor level emergency exit for evacuation, which is the main task of the cabin crew, and this can cause confusion among evacuating passenger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n addition, if one of the minimum cabin crew becomes incapacitated due to an injury or the like, it will become a serious impediment in performing emergency evacuation duties. Even in the normal situation, since it will be violating the Act prescription on the minimum cabin crew complement, passengers will have to move to another available airline flights, encountering extreme inconvenience. Annex 6 to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specifies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minimum number of cabin crew shall be based only on the number of passenger seats or passengers on board for safe and expeditious emergency evacuation. Thereby in order to enhanc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and the crew on boa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abin crew's fatigue that may occur in the various job characteristics (service, safety, security, first aid)and floor level emergency exit seating in calculating the minimum number of cabin crew. And it is also deemed necessary for the government's regulatory body to enhance the cabin safety for passengers and crew when determining the number of minimum cabin crew by reflecting the cabin crew's workload leading to their fatigue and unavailability to be seated in a floor level emergency exit on low cost carrie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