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동부유럽국가의 유로존 가입 수출 효과 분석 = Effects of Joining Euro Zone by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to Their Ex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90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화통합의 중요한 영향으로 수출규모 및 수출산업의 변화 가능성에 주목하고, 최근에 유로존에 가입한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등 4개국을 대상으로 유로존 가입의 결과 이들 국가에서 유로존으로의 수출 비중이 증가하였는지, 수출산업의 특화도에 어떤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4개국의 유로존 수출 비중이 증가했다는 증거를 찾기 어려웠고, 수출산업의 특화도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로존 수출 비중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로 비교대상이 되는 다른 중동부유럽국가들에 비해 이들 4개국은 유럽 재정위기 이후 유로존 수출에 유리한 통화 및 환율정책을 사용하지 못한데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수출산업특화도의 증가는 유로존 가입 이후 산업내 교역보다 산업간 교역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통화통합의 중요한 영향으로 수출규모 및 수출산업의 변화 가능성에 주목하고, 최근에 유로존에 가입한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등 4개국을 대상으로 유로...

      본 연구는 통화통합의 중요한 영향으로 수출규모 및 수출산업의 변화 가능성에 주목하고, 최근에 유로존에 가입한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등 4개국을 대상으로 유로존 가입의 결과 이들 국가에서 유로존으로의 수출 비중이 증가하였는지, 수출산업의 특화도에 어떤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4개국의 유로존 수출 비중이 증가했다는 증거를 찾기 어려웠고, 수출산업의 특화도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로존 수출 비중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로 비교대상이 되는 다른 중동부유럽국가들에 비해 이들 4개국은 유럽 재정위기 이후 유로존 수출에 유리한 통화 및 환율정책을 사용하지 못한데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수출산업특화도의 증가는 유로존 가입 이후 산업내 교역보다 산업간 교역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ining a currency union could cause changes in export volume and export industry structure. To study these effects of currency union, we consider the recent members of Euro zone such as Slovenia, Slovakia, Estonia, and Latvia. We analyze whether the proportion of exports to Euro zone increases after joining the Euro zone, and whether there are any changes in the export industry specialization. The empirical results do not show any significant evidence of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exports to Euro zone. As for the export industry specialization, it increased for the four countrie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reason for insignificant changes in Euro zone exports might be lack of monetary and foreign exchange policies responding to recent European economic crisis after joining the Euro zone. The increase in export industry specialization indicates rising importance of inter-industry trade relative to intra-industry trade in the four country cases.
      번역하기

      Joining a currency union could cause changes in export volume and export industry structure. To study these effects of currency union, we consider the recent members of Euro zone such as Slovenia, Slovakia, Estonia, and Latvia. We analyze whether the ...

      Joining a currency union could cause changes in export volume and export industry structure. To study these effects of currency union, we consider the recent members of Euro zone such as Slovenia, Slovakia, Estonia, and Latvia. We analyze whether the proportion of exports to Euro zone increases after joining the Euro zone, and whether there are any changes in the export industry specialization. The empirical results do not show any significant evidence of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exports to Euro zone. As for the export industry specialization, it increased for the four countrie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reason for insignificant changes in Euro zone exports might be lack of monetary and foreign exchange policies responding to recent European economic crisis after joining the Euro zone. The increase in export industry specialization indicates rising importance of inter-industry trade relative to intra-industry trade in the four country c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 2. 데이터 및 분석방법
      • 2.1. 데이터
      • 2.2. 분석방법
      • 3. 유로존 수출 및 수출산업 특화
      • 1. 들어가는 말
      • 2. 데이터 및 분석방법
      • 2.1. 데이터
      • 2.2. 분석방법
      • 3. 유로존 수출 및 수출산업 특화
      • 3.1. 유로존 수출 비중
      • 3.2. 수출산업의 특화
      • 4. 맺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hy Lithuania is about to adopt the euro"

      2 Crabbe, Karen, "Trade Integration and Industrial Specialization in Central Europe" University College Dublin 2005

      3 Micco, Alejandro, "The Currency Union Effect on Trade: Early evidence from EMU" 37 : 316-356, 2003

      4 Baldwin, Richard, "Study on the Impact of the Euro on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European Economy-Economic 2008

      5 Kaitila, Ville, "Specialisation and/or Convergence: Structure of European Exports and Production" ETLA 2013

      6 Traistaru, Iulia, "Regional Specialization and Concentration of Industrial Activity in Accession Countries" ZEI 2002

      7 Rose, Andrew K., "One Money, One Market: Estimating The Effect of Common Currencies on Trade" 15 : 8-45, 2000

      8 European Commission, "One Market, One Money: An Evaluation of the Potential Benefits and Cost of Forming an Economic and Monetary Union"

      9 Rose, Andrew K., "National Money as a Barrier to Trade : the Real Case for Currency Union" 91 (91): 386-390, 2001

      10 Grubel, H. G., "Intra-industry Trade: The Theory and Measurement of International Trade in Differentiated Products" Wiley 1975

      1 "Why Lithuania is about to adopt the euro"

      2 Crabbe, Karen, "Trade Integration and Industrial Specialization in Central Europe" University College Dublin 2005

      3 Micco, Alejandro, "The Currency Union Effect on Trade: Early evidence from EMU" 37 : 316-356, 2003

      4 Baldwin, Richard, "Study on the Impact of the Euro on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European Economy-Economic 2008

      5 Kaitila, Ville, "Specialisation and/or Convergence: Structure of European Exports and Production" ETLA 2013

      6 Traistaru, Iulia, "Regional Specialization and Concentration of Industrial Activity in Accession Countries" ZEI 2002

      7 Rose, Andrew K., "One Money, One Market: Estimating The Effect of Common Currencies on Trade" 15 : 8-45, 2000

      8 European Commission, "One Market, One Money: An Evaluation of the Potential Benefits and Cost of Forming an Economic and Monetary Union"

      9 Rose, Andrew K., "National Money as a Barrier to Trade : the Real Case for Currency Union" 91 (91): 386-390, 2001

      10 Grubel, H. G., "Intra-industry Trade: The Theory and Measurement of International Trade in Differentiated Products" Wiley 1975

      11 Krugman, Paul, "Geography and Trade" MIT Press 1991

      12 Frankel, Jeffrey A., "Endogeneity of Optimum Currency Area Criteria" 108 : 1009-1025, 1998

      13 De Grauwe, Paul, "Endogeneities of Optimum Currency Areas: What Brings Countries Sharing a Single Currency Closer Together?" European Central Bank 2005

      14 Krugman, Paul, "Adjustment and Growth in the European Monetary Un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1-261, 1993

      15 Mundell, Robert A., "A Theory of Optimum Currency Areas" 51 (51): 657-665, 196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