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의 체육교과 인식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 Physical Activity Levels based on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441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d the physical activity level according to the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The four middle schools participated. 264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Physical activity level analyzed for SOFIT. The resul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d the physical activity level according to the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The four middle schools participated. 264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Physical activity level analyzed for SOF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gender was higher boys than girls. Second,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grade was a second year student of middle school than a first year student of middle school. Especially, positive emotional factors were higher a first year student of middle school than a second year student of middle school. Negative emotional factors were higher a second year student of middle school than a first year student of middle school. A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has been shown to have negative perceptions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grade. Third, the analysis of the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SOFIT, participants were very active(30.9%), standing(29.9%), walking(23.8%), sitting(15.4%). Fourth, in the case of high percep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were very active level of 32.0%, standing (30.6%), walking (23.5%), and sit down (13.9%). A group of mid-range percep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were very active (31.0%), standing (27.9%), walking (24.5%), and sitting (16.6%). Finally, A sub group of percep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were very active level (29.7%), standing(31.2%), walking (23.4%), sitting (15.7%). A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is high parent group and the median group is very active, standing, sitting, and walking was in order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However, low levels of physical education recognized sub-groups took a passive attitude more than a very active time physical activity levels. As a results, Physical activity levels are shown depending on th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철, 한국체육학회 2009

      2 김종환, "한국형 체육교과태도척도 개발과 타당화"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4

      3 김무영, "학생들이 인식하는 체육수업 분위기와 교과 흥미도와의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43-60, 2012

      4 박형란, "특기적성교육 참여유형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6 (16): 69-84, 2009

      5 한만규, "초등예비교사들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분석" 49 (49): 143-153, 2012

      6 이종형, "체육전담제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71-288, 2009

      7 최연재, "체육수업에 참가한 중학생들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생활스트레스 및 운동정서와 긍정적, 부정적 정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 (7): 95-106, 2013

      8 류민정, "체육수업 시간에는 여자 선생님이 더 좋아요?: 학생이 인식하는 운동흥미, 수업노력과 교사 피드백을 중심으로"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2 (22): 1999-2007, 2011

      9 박중길, "청소년의 성별, 학년, 신체질량지수, 성격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대한운동학회 14 (14): 37-47, 2012

      10 홍준희,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수업태도 차이 및 관계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91-103, 2010

      1 김승철, 한국체육학회 2009

      2 김종환, "한국형 체육교과태도척도 개발과 타당화"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4

      3 김무영, "학생들이 인식하는 체육수업 분위기와 교과 흥미도와의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43-60, 2012

      4 박형란, "특기적성교육 참여유형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6 (16): 69-84, 2009

      5 한만규, "초등예비교사들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분석" 49 (49): 143-153, 2012

      6 이종형, "체육전담제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71-288, 2009

      7 최연재, "체육수업에 참가한 중학생들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생활스트레스 및 운동정서와 긍정적, 부정적 정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 (7): 95-106, 2013

      8 류민정, "체육수업 시간에는 여자 선생님이 더 좋아요?: 학생이 인식하는 운동흥미, 수업노력과 교사 피드백을 중심으로"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2 (22): 1999-2007, 2011

      9 박중길, "청소년의 성별, 학년, 신체질량지수, 성격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대한운동학회 14 (14): 37-47, 2012

      10 홍준희,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수업태도 차이 및 관계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91-103, 2010

      11 임현주,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시간에 참여하는 신체활동에 관한 견해: 사례연구" 41 (41): 285-295, 2002

      12 조홍식, "중ㆍ고등학생들의 체육교과 흥미도가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179-191, 2012

      13 이형태, "실업계 고등학생의 체육 수업 태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4 김종환, "성과 운동기능수준 및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중학생의 체육교과태도"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77-90, 2005

      15 김경원, "성, 체력 등급, 체육활동 수준에 따른중학생의 신체적 자기지각"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 (20): 109-120, 2009

      16 이현수, "목표·과정중심 교육과정 모형에 의거한 고교생의 체육목표 인식의 분석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7 노희송, "고등학생의 체육 학습 태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8 박종필, "고등학생의 MBTI 성격유형과 체육교과태도와의 관계 분석" 48 : 112-, 2010

      19 McKenzie, T. L., "SOFIT : System for Observing Fitness Instruction Time" 11 (11): 195-205, 1991

      20 Scruggs, P. W., "Quantifying physical activity via pedometry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065-1071, 2003

      21 Katz, D., "Psychology: A study of a science Vol. 3" McGraw-Hill 423-475, 1959

      22 Rowe, P. J., "Measuring students'physical activity levels : Validating SOFIT for use with high-school students" 23 : 235-251, 2004

      23 Crocker, L.,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Rinehart and Winston, Inc 66-85, 1986

      24 WHO, "Global Recommendation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2010

      25 Lee, A., "Children's conceptions of ability in physical education" 14 (14): 384-393, 1995

      26 McKenzie, T. L., "Children's activity levels and lesson context during third-grade physical education" 66 : 184-193, 1995

      27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28 Rosenberg, M. J., "Attitude organization and change:An analysis of consistency among attitude components" Yale University Press 1-14, 1960

      29 Bucher, C. A., "Administration of physical education & athletic programs" The C. V. Mosby Company 1983

      30 교육부, "2014 청소년 종합 실태 조사"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