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일제주인의 선박 모빌리티 양상 ‒신문 기사, 소설, 구술을 중심으로‒ = Patterns of Ship Mobility Among Jeju Islanders Residing i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267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재일제주인들은 식민화와 특수한 역사로 인해 엄격한 규제와 통제 속에서 새로운 사회적 공간에 정착하면 자신이 태어난 고향과 인연을 단절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양쪽을 오가며 사회적 삶을 영위했다. 이들은 월경하며 두 사회적 공간을 하나의 사회적 공간으로 구축했다. 그리고 두 사회적 공간을 동시에 참여하면서 유동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이들이 국경을 넘는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케 했던 선박 모빌리티는 제주 사람들에게 있어서 생존과 고립을 돌파하는 존재였다. 신문 기사와 소설, 구술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재일제주인들의 선박 모빌리티의 양상은 여러 상황과 시기를 거치며 때로는 정치적, 민족적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그리고 해방 후에는 엄격한 통제와 규제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합법적 또는 비합적인 도일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토착민은 이런 모빌리티의 대상을 문제화했다. 이주자는 토착민과 구분되어 타자화되고 이주자에게 덧씌워진 이미지가 고착화되었다. 결국 선박 모빌리티는 이질적인 타자가 토착민의 생활공간 속으로 들어오게 하는 결정적인 수단이었으며 그곳에서 이주자에 대한 토착민의 차별과 공포감에 뒤섞인 관념을 고정화했다. 전후 선박 모빌리티의 시공간은 제주 사람들에게 식민지 지배의 결과로서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의 관점에서 제주 사람들은 표면적으로는 개인의 선택으로 일본을 택한 ‘자발적 노예’인 것으로 보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식민지 지배라는 구조하에 그들에게 부여된 선택은 불가피하고도 제한적이었다. 제국주의 정책하에 제주 사람들의 이주에는 필요성과 폭력성이라는 양면성을 내포하고 있다. 제주 사람들은 일본이라는 내부에서 필요한 존재이지만 한편으로는 배제해야 할 내부에 있는 타자이었고, 제주도와 오사카를 잇는 선박에는 노예와 황금, 문명과 야만이라는 양면성이 존재했다.
      번역하기

      재일제주인들은 식민화와 특수한 역사로 인해 엄격한 규제와 통제 속에서 새로운 사회적 공간에 정착하면 자신이 태어난 고향과 인연을 단절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양쪽을 오가며 사회적...

      재일제주인들은 식민화와 특수한 역사로 인해 엄격한 규제와 통제 속에서 새로운 사회적 공간에 정착하면 자신이 태어난 고향과 인연을 단절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양쪽을 오가며 사회적 삶을 영위했다. 이들은 월경하며 두 사회적 공간을 하나의 사회적 공간으로 구축했다. 그리고 두 사회적 공간을 동시에 참여하면서 유동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이들이 국경을 넘는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케 했던 선박 모빌리티는 제주 사람들에게 있어서 생존과 고립을 돌파하는 존재였다. 신문 기사와 소설, 구술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재일제주인들의 선박 모빌리티의 양상은 여러 상황과 시기를 거치며 때로는 정치적, 민족적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그리고 해방 후에는 엄격한 통제와 규제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합법적 또는 비합적인 도일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토착민은 이런 모빌리티의 대상을 문제화했다. 이주자는 토착민과 구분되어 타자화되고 이주자에게 덧씌워진 이미지가 고착화되었다. 결국 선박 모빌리티는 이질적인 타자가 토착민의 생활공간 속으로 들어오게 하는 결정적인 수단이었으며 그곳에서 이주자에 대한 토착민의 차별과 공포감에 뒤섞인 관념을 고정화했다. 전후 선박 모빌리티의 시공간은 제주 사람들에게 식민지 지배의 결과로서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의 관점에서 제주 사람들은 표면적으로는 개인의 선택으로 일본을 택한 ‘자발적 노예’인 것으로 보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식민지 지배라는 구조하에 그들에게 부여된 선택은 불가피하고도 제한적이었다. 제국주의 정책하에 제주 사람들의 이주에는 필요성과 폭력성이라는 양면성을 내포하고 있다. 제주 사람들은 일본이라는 내부에서 필요한 존재이지만 한편으로는 배제해야 할 내부에 있는 타자이었고, 제주도와 오사카를 잇는 선박에는 노예와 황금, 문명과 야만이라는 양면성이 존재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colonization and a unique historical context, Jeju Islanders residing in Japan established themselves in a new social space under strict regulation and control. Despite these conditions, they did not sever ties with their homeland but continued their social lives by frequently travel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transcending borders, they integrated the two social spaces into a single social realm. They maintained fluid relationships by simultaneously participating in both social environments. Ship mobility facilitated the free cross-border movement of Jeju Islanders, enabling their survival and helping them overcome isolation. The patterns of ship mobility among Jeju Islanders in Japan, frequently mentioned in newspapers, novels, and oral histories, evolved through various circumstances and periods. At times, this mobility served political and ethnic purposes. Following Korea’s independence, it became subject to strict control and regulation. As legal and illegal immigration to Japan increased, indigenous residents problematized this mobility. Immigrants were differentiated and othered from the natives, leading to the solidification of imposed images. Ultimately, ship mobility was the crucial means by which these disparate outsiders entered the living spaces of the indigenous population, solidifying a mix of discrimination and fear towards immigrants. In the postwar period, the spatiotemporal context of ship mobility provides critical insights into the consequences of colonial rule for Jeju Islanders. From a Japanese Orientalist perspective, Jeju Islanders might appear as “voluntary slaves” who chose Japan out of individual preference. However, fundamentally, the choices available to them were inevitabe and limited by the structure of colonial domination. Under imperialist policies, the emigration of Jeju Islanders encompassed both necessity and violence. While essential within Japan, they were simultaneously viewed as internal outsiders to be excluded. And a duality of slavery and gold, civilization and barbarism existed on the ships traveling between Jeju and Osaka.
      번역하기

      Due to colonization and a unique historical context, Jeju Islanders residing in Japan established themselves in a new social space under strict regulation and control. Despite these conditions, they did not sever ties with their homeland but continued...

      Due to colonization and a unique historical context, Jeju Islanders residing in Japan established themselves in a new social space under strict regulation and control. Despite these conditions, they did not sever ties with their homeland but continued their social lives by frequently travel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transcending borders, they integrated the two social spaces into a single social realm. They maintained fluid relationships by simultaneously participating in both social environments. Ship mobility facilitated the free cross-border movement of Jeju Islanders, enabling their survival and helping them overcome isolation. The patterns of ship mobility among Jeju Islanders in Japan, frequently mentioned in newspapers, novels, and oral histories, evolved through various circumstances and periods. At times, this mobility served political and ethnic purposes. Following Korea’s independence, it became subject to strict control and regulation. As legal and illegal immigration to Japan increased, indigenous residents problematized this mobility. Immigrants were differentiated and othered from the natives, leading to the solidification of imposed images. Ultimately, ship mobility was the crucial means by which these disparate outsiders entered the living spaces of the indigenous population, solidifying a mix of discrimination and fear towards immigrants. In the postwar period, the spatiotemporal context of ship mobility provides critical insights into the consequences of colonial rule for Jeju Islanders. From a Japanese Orientalist perspective, Jeju Islanders might appear as “voluntary slaves” who chose Japan out of individual preference. However, fundamentally, the choices available to them were inevitabe and limited by the structure of colonial domination. Under imperialist policies, the emigration of Jeju Islanders encompassed both necessity and violence. While essential within Japan, they were simultaneously viewed as internal outsiders to be excluded. And a duality of slavery and gold, civilization and barbarism existed on the ships traveling between Jeju and Osak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