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농림위성의 목표 수직기하 정확도 결정을 위한 남한 지역 수치표고모델 상대 오차 분석 = The Relative Height Error Analysis of Digital Elevation Model on South Korea to Determine the Target Vertical Accuracy of CAS500-4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6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식량자원의 확보와 환경생태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산림과 농경지는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농림 위성 영상 자료는 우리나라의 기존 산림 및 농경지 모니터링 방법의 보완재로 ...

      식량자원의 확보와 환경생태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산림과 농경지는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농림 위성 영상 자료는 우리나라의 기존 산림 및 농경지 모니터링 방법의 보완재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농림위성의 발사 이전에 사전연구로써 목표 수직기하정확도 산정을 위해 수치표고모델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농림위성의 주요 관심 지역인 우리나라 산악지역과 농경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사도와 식생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주, 제주 그리고 삼척 지역에 대하여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igital elevation model과 Copernicus digital elevation model를 가을과 겨울에 촬영한 드론 LiDAR 수치표면모델 그리고 국토지리정보원 5 m 수치지형모델을 기준으로 평균 상대오차를 비교했다. 그 결과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igital elevation model은 8.35, 8.19, 그리고 7.49 m의 상대오차를 나타냈으며, Copernicus digital elevation model는 각각 5.65, 6.73, 그리고 7.39 m의 상대 고도 오차를 나타냈다. 남한 전체에 대하여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igital elevation model과 Copernicus digital elevation model를 국토지리정보원 5 m 수치지형모델을 기준으로 지형 경사에 따른 상대 고도 오차를 나타냈다. 그 결과 경사도 0°~5° 사이에서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igital elevation model과 Copernicus digital elevation model의 상대 고도 오차는 각각 약 3.62와 2.52 m로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igital elevation model의 오차가 더 큰 것으로 산출되었다. 하지만 경사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양상은 반전되어 경사도 35° 이상에서는 각각 10.16, 그리고 11.62 m 로 Copernicus digital elevation model의 상대오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environmental ecosystem and securing food resources.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should be monitored regularly. CAS500-4 data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sed as a supplement of monito...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environmental ecosystem and securing food resources.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should be monitored regularly. CAS500-4 data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sed as a supplement of monitoring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Prior to the launch of the CAS500-4, the relative canopy height error analysis of the digital elevation model on South Kore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vertical target accuracy. Especially, by considering area of interest of the CAS500-4 (mountainous or agricultural area), it is conducted that vertical error analysis according to the slope and canopy. For Gongju, Jeju, and Samcheok, the average root mean squared differences were calculated compared to the drone LiDAR digital surface models, which were filmed in autumn and winter and the 5 m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s a result, the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igital elevation model showed a root mean squared differences of about 8.35, 8.19, and 7.49 m, respectively, while the Copernicus digital elevation model showed a root mean squared differences of about 5.65, 6.73, and 7.39 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oot mean squared difference of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igital elevation model and the Copernicus digital elevation model according to the slope angle were estimated on South Korea compared to the 5 m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t the slope angle of between 0° to 5°, root mean squared differences of the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igital elevation model and the Copernicus digital elevation model showed 3.62 and 2.52 m,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s root mean squared differences of the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igital elevation model and the Copernicus digital elevation model respectively showed about 10.16 and 11.62 m at the slope angle of 35° or high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범승, "효율적인 농림업 위성관측을 위한 탑재체 기술사양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32 (32): 287-305, 2016

      2 성현찬, "환경영향평가 개선을 위한 무인항공기 기반의 산림공간정보 활용 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2 (22): 63-76, 2019

      3 박홍기, "정밀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을 위한수치지도의 정확도 기준설정 연구" 한국측량학회 31 (31): 493-502, 2013

      4 백원경, "다중시기 위성 레이더 영상을 활용한 변화탐지 기술 리뷰" 대한원격탐사학회 35 (35): 737-750, 2019

      5 권수경, "농림위성 활용 수종분류 가능성 평가를 위한 래피드아이 영상 기반 시험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37 (37): 291-304, 2021

      6 김현철, "농림업 분야의 위성영상 활용현황" 사단법인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9 (9): 1-6, 2014

      7 김은숙, "광학센서를 활용한 산림분야 원격탐사 활용기술" 대한원격탐사학회 35 (35): 1031-1035, 2019

      8 손종환,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반복 정밀 기하보정" 대한원격탐사학회 37 (37): 431-447, 2021

      9 Riegler, G., "WorldDEMa novel global foundation layer,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40 (40): 183-, 2015

      10 Uuemaa, E., "Vertical accuracy of freely available global digital elevation models (ASTER, AW3D30, MERIT, TanDEM-X, SRTM, and NASADEM)" 12 (12): 3482-, 2020

      1 김범승, "효율적인 농림업 위성관측을 위한 탑재체 기술사양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32 (32): 287-305, 2016

      2 성현찬, "환경영향평가 개선을 위한 무인항공기 기반의 산림공간정보 활용 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2 (22): 63-76, 2019

      3 박홍기, "정밀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을 위한수치지도의 정확도 기준설정 연구" 한국측량학회 31 (31): 493-502, 2013

      4 백원경, "다중시기 위성 레이더 영상을 활용한 변화탐지 기술 리뷰" 대한원격탐사학회 35 (35): 737-750, 2019

      5 권수경, "농림위성 활용 수종분류 가능성 평가를 위한 래피드아이 영상 기반 시험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37 (37): 291-304, 2021

      6 김현철, "농림업 분야의 위성영상 활용현황" 사단법인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9 (9): 1-6, 2014

      7 김은숙, "광학센서를 활용한 산림분야 원격탐사 활용기술" 대한원격탐사학회 35 (35): 1031-1035, 2019

      8 손종환,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반복 정밀 기하보정" 대한원격탐사학회 37 (37): 431-447, 2021

      9 Riegler, G., "WorldDEMa novel global foundation layer,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40 (40): 183-, 2015

      10 Uuemaa, E., "Vertical accuracy of freely available global digital elevation models (ASTER, AW3D30, MERIT, TanDEM-X, SRTM, and NASADEM)" 12 (12): 3482-, 2020

      11 Orlandi, A. G., "Vertical accuracy assessment of the processed SRTM data for the brazilian territory" 25 (25): e2019021-, 2019

      12 Elkhrachy, I., "Vertical accuracy assessment for SRTM and ASTER Digital Elevation Models: A case study of Najran city, Saudi Arabia" 9 (9): 1807-1817, 2018

      13 Farr, T. G., "The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45 (45): 2007

      14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 National Atlas of Korea 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15 Düring, R., "TerraSAR-X and TanDEM-X: Revolution in spaceborne radar" 37 : 227-234, 2008

      16 Castel, T., "Sensitivity of the Cband SRTM DEM vertical accuracy to terrain characteristics and spatial resolution" Springer 163-176, 2008

      17 Su, Y., "SRTM DEM correction in vegetated mountain areas through the integration of spaceborne LiDAR, airborne LiDAR, and optical imagery" 7 (7): 11202-11225, 2015

      18 Lee, K., "Orthorectification of KOMPSAT optical images using various ground reference data and accuracy assessment" 2017 : 6393278-, 2017

      19 Praks, J., "On forest height retrieval from spaceborne X-band interferometric SAR images under variable seasonal conditions" 2425 : 115-118, 2013

      20 Brown, K. M., "Modelling geometric and misregistration error in airborne sensor data to enhance change detection" 28 (28): 2857-2879, 2007

      21 Potapov, P., "Mapping global forest canopy height through integration of GEDI and Landsat data" 253 : 112165-, 2021

      22 Lee, Y. -S., "Mapping Forest Vertical Structure in Jeju Island from Optical and Radar Satellite Imag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12 (12): 797-, 2020

      23 신정일, "KOMPSAT-3A 영상과 항공정사영상의 영상정합 성공률 향상 방법" 대한원격탐사학회 34 (34): 893-903, 2018

      24 정재훈, "KOMPSAT-3 영상의 기하정확도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30 (30): 37-45, 2014

      25 오관영, "KOMPSAT-2 입체영상의 자동 기하 보정" 대한원격탐사학회 28 (28): 191-202, 2012

      26 Jung, H. -S., "Formulation of distortion error for the line-of-sight (LOS) vector adjustment model and its role in restitution of SPOT imagery" 63 (63): 610-620, 2008

      27 Lee, W. -J., "Forest canopy height estimation using multiplatform remote sensing dataset" 2018 : 1593129-, 2018

      28 Solberg, S., "Forest biomass change estimated from height change in interferometric SAR height models" 9 (9): 1-12, 2014

      29 Yu, J. -W., "Forest Vertical Structure Mapping Using Two-Seasonal Optic Images and LiDAR DSM Acquired from UAV Platform through Random-Forest, XGBoost, and Support Vector Machine Approaches" 13 (13): 4282-, 2021

      30 Ressl, C., "Evaluation of the elevation model influence on the orthorectification of Sentinel-2 satellite images over Austria" 51 (51): 693-709, 2018

      31 Beekhuizen, J., "Effect of DEM uncertainty on the positional accuracy of airborne imagery" 49 (49): 1567-1577, 2010

      32 Polidori, L., "Digital elevation model quality assessment methods: A critical review" 12 (12): 3522-, 2020

      33 Kwon, S. -K., "Classification of forest vertical structure in south Korea from aerial orthophoto and lidar data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7 (7): 1046-, 2017

      34 Zhu, Z., "Change detection using landsat time series: A review of frequencies, preprocessing, algorithms, and applications" 130 : 370-384, 2017

      35 Berninger, A., "Canopy height and above-ground biomass retrieval in tropical forests using multi-pass Xand C-band Pol-InSAR data" 11 (11): 2105-, 2019

      36 Kolecka, N., "Assessment of the accuracy of SRTM C-and X-Band high mountain elevation data : A case study of the Polish Tatra Mountains" 171 (171): 897-912, 2014

      37 Olmsted, C, "Alaska SAR Facility Scientific SAR User’s Guide" 1993

      38 Tighe, M.L, "Accuracy comparison of the SRTM, ASTER, NED, NEXTMAP® USA digital terrain model over several USA study sites" 1-12, 2009

      39 Chen, C., "Accuracy Assessment and Correction of SRTM DEM Using ICESat/GLAS Data under Data Coregistration" 12 (12): 3435-, 2020

      40 Korea Forest Service, "2020 Foresty Statics" Korea Forest Service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4 0.72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