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정욱, "화해를 위한 역사교육을 통한 인종적 국민주의의 부상 - 19세기 말 20세기 초 미국 역사 교과서의 남북전쟁과 재건 기술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25) : 227-262, 2013
2 문재경, "현행교육과정 초·중·고 한국사 내용 구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계열성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31) : 67-102, 2014
3 최병택, "현행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 내용 구성의 문제점 - 내용 분량과 생활사 서술의 문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24) : 1-24, 2012
4 김육훈, "현행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현대사 부문 분석과 개선방향에 대한 논평" 79 : 2001
5 서중석, "현행 중고교 국사 교과서 현대사 부문 분석과 개선 방향" 79 : 2001
6 김창규, "현행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중국 근현대사 서술 체제와 내용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251-275, 2004
7 정재윤, "한국에 대한 영국의시선 -영국역사교과서내한국관련 서술을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3) : 7-43, 2011
8 류승렬, "한국사 교과서 발행 국정화 담론의 맥락과 성격" 역사교육연구회 (132) : 291-323, 2014
9 함종규,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 교육과학사 2003
10 박태균,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분석" 92 : 2004
11 임기환, "한국 고대사의 연구 성과와 역사교과서 서술의 방향"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151-202, 2012
12 이해영, "텍스트 구조로 본 국사교과서 서술의 응집성" 역사교육연구회 (96) : 1-27, 2005
13 최덕규, "태프트-가쓰라 협정”에 대한 러시아와 한국 및 일본 역사교과서 서술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67-83, 2010
14 류현종,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속의 현대사 서사 분석" 한국역사교육학회 (4) : 197-230, 2006
15 방지원, "초등 역사교육에서 생활사 내용구성" 역사교육연구회 (119) : 1-27, 2011
16 문동석, "초등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87-108, 2003
17 신주백, "지유샤판 역사교과서의 근대사 서술 분석" 한국역사교육학회 (9) : 255-293, 2009
18 김한종, "지유샤역사교과서의 교수·학습적성격" 한국역사교육학회 (10) : 157-188, 2009
19 丁 載 勳, "중학교 사회 교과서 세계사 서술 속의 타자 읽기 ― 북아시아사 서술의 분석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93) : 1-31, 2005
20 박현숙, "중학교 국사교과서 고대사 서술에 나타난 日本 表象의 변화 양상" 역사교육연구회 (112) : 31-61, 2009
21 송상헌,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전근대 역사상" 82 : 2002
22 김성자,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교육내용 적정화’ 담론의 수용과 굴절" 역사교육연구회 (121) : 1-42, 2012
23 김지훈, "중국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소수민족” 서술" 역사교육연구회 (129) : 41-76, 2014
24 오병수, "중국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서술양식과 역사인식" 80 : 2001
25 윤세병, "중국 역사교과서의 서사 구조와 이데올로기"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47-87, 2013
26 오병수, "중국 근대 역사 교과서의 자국사 구축과정과 '중화민족'" 역사교육연구회 (132) : 71-104, 2014
27 김은숙,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대 한일관계사 서술 내용 검토" 74 : 2000
28 김중락, "중·고등학교 사회교과서(서양사 부분)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82 : 2002
29 강종훈,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실린 역사 지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선사·고대 부분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06) : 211-245, 2008
30 김한종,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교과서 발행" 한국역사교육학회 (9) : 295-329, 2009
31 이명희, "제7차 교육과정기 교과서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82 : 2002
32 지수걸, "제7차 교육과정 한국근현대사 준거안의 문제점" 79 : 2001
33 이동규,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오리엔트 문명 서술 분석 - 오리엔트 문명 일반과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내용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4) : 93-136, 2010
34 구난희, "일제하 천황인식 형성과 역사 교과서의 천황서술 —1930년대 이후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2) : 75-114, 2010
35 문동석, "일제시대 초등학교 역사교육과정의 변천과 교과서-[보통학교국사]와 [초등국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139-166, 2004
36 김보림, "일제강점기 초등 ‘국사’교과서에 수록된 삽화의 현황과 특징" 역사교육연구회 (118) : 197-217, 2011
37 최병택, "일제 경제수탈 관련 교과서 내용에 대한 비판론의 대두와 교과서 서술상의 그 반영 방안" 역사교육연구회 (107) : 1-36, 2008
38 안지영, "일본침략및강점기에 대한주변국들의역사인식 -한국, 중국, 대만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3) : 44-81, 2011
39 김봉석, "일본의 중학교 역사교과서에서의 시각자료의 특징과 함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151-163, 2011
40 임상선, "일본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발해 관련 내용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1 (41): 115-138, 2002
41 구난희, "외국의역사교과서 서술사례분석I - 교과체계와내용조직을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5) : 51-99, 2012
42 김한종, "역사의 표현 형식과 국사 교과서 서술" 76 : 2000
43 김한종, "역사교육의 담론과 학문적 가능성" 역사교육연구회 (97) : 65-89, 2006
44 송상헌, "역사교육에서 역사교과서의 성격 규정 문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27-39, 2012
45 김한종,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2006
46 양호환, "역사교과서의 서술과 유럽중심주의" 역사교육연구회 (117) : 227-248, 2011
47 김한종, "역사교과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국가 이데올로기" 역사교육연구회 (131) : 103-129, 2014
48 君島和彦, "역사교과서 문제를 둘러싼 최근 일본의 정황" 역사교육연구회 (93) : 287-301, 2005
49 이미미, "역사가의 사고과정이 드러나는 서술의 특징과 교재개발 방향" 73 : 2000
50 김용석, "역사 교과서와 학생, 그리고 역사 교사" 92 : 2004
51 지모선, "역사 교과서 제2차 세계대전 삽화 자료 비교 분석 - 한ㆍ중ㆍ일ㆍ미ㆍ독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9) : 201-253, 2009
52 구난희, "역사 교과서 왜곡,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갈등의 집단기억을 상호 공존의 공동기억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1 (41): 121-144, 2002
53 정재정, "신병철 선생님의 ‘국정 국사 교과서 개발 과정과 국정 교과서 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논평" 79 : 2001
54 鄭 永 順, "세계사 교과서에서의 한국사 서술 경향과 과제 ― 미국의 역사교육과 세계사 교과서 ―" 역사교육연구회 (93) : 33-66, 2005
55 宋 堯 厚, "세계사 교과서에서 중국 민중운동에 관한 서술 내용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93) : 67-108, 2005
56 정경희, "세계사 교과서 속의 미국 - 제7차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4) : 137-175, 2010
57 김유리, "세계사 교과서 검정제도의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91) : 99-126, 2004
58 방지원, "새 교육과정 ‘역사’의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와 검정 중학교 교과서 서술" 한국역사교육학회 (12) : 193-244, 2010
59 남정우,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한국역사교육학회 (11) : 7-49, 2010
60 김선미, "미국의 중등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75 : 2000
61 강선주,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 내용 분석-텍사스,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세권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137-166, 2004
62 정경희, "미국 역사표준서 논쟁 연구" 역사교육연구회 (89) : 35-64, 2004
63 강선주, "미국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9학년 이상에서 사용되는 6권의 미국 세계사 교과서 분석-" 한국역사교육학회 (1) : 1-39, 2005
64 김한종, "문화·역사지리의관점에서 본중등학교역사교과서" 한국역사교육학회 (15) : 163-200, 2012
65 이해영, "메타담론으로 본 국사교과서의 수사적 표현 변화" 한국역사교육학회 (1) : 41-77, 2005
66 김영수, "러시아 한국사 교재에 나타난 대한제국"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6 (46): 5-22, 2007
67 박상철, "러시아 역사교과서 속의 러일전쟁" 역사교육연구회 (90) : 23-50, 2004
68 임기환, "동아시아사의관점에서본 초등학교역사교과서 - 전근대사를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5) : 124-162, 2012
69 신주백, "동아시아 근현대사에서 戰爭과 平和에 對한 記憶의 差異, 그리고 歷史敎育―동아시아5개국의中高校用自國史및世界史敎科書를中心으로―" 역사교육연구회 (82) : 1-39, 2002
70 김기봉, "동북아 시대에서 한국사 서술과 역사교육- ‘국사’를 넘어서 -" 역사교육연구회 (95) : 29-61, 2005
71 한해정, "독일역사교과서에서 나치시대에 관한 서술분석- 집단박해 및 학살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01) : 65-96, 2007
72 조경민,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7차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내용분석" 역사교육연구회 (114) : 47-92, 2010
73 安 秉 稷, "국제화해와 역사교육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98) : 295-311, 2006
74 신병철, "국정 국사 교과서 개발 과정과 국정 국사 교과서 제도의 문제점" 79 : 2001
75 정춘면, "국사교과서의 정서표현과 학생의 정서 경험" 78 : 2001
76 류승렬, "국사교과서 편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76 : 2000
77 이병희, "국사교과서 국정제도의 검토" 역사교육연구회 (91) : 73-97, 2004
78 이신철, "국사 교과서 정치도구화의 역사 ―이승만ㆍ박정희 독재정권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97) : 177-209, 2006
79 손용택, "국가 이미지 개선을 위한 교과서 연구; 성찰과 전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9-34, 2009
80 최용규, "구성주의 학습을 위한 역사교과서 내용 구성 방안" 73 : 2000
81 강화정,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현대사 서술과 민주주의 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129-173, 2014
82 김민수, "교육과정 大綱化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 역사교육연구회 (120) : 61-97, 2011
83 이혜영, "교과서와 이데올로기" 천지 1988
84 김만곤, "교과서관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의 변화" 33 : 2000
85 박재영, "교과서 협의를 통한 독일의 과거극복"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5 (45): 61-89, 2006
86 양정현, "교과서 구성에 대한 敎育課程과 교과서 발행 제도의 규정성 - 7차 역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2) : 1-36, 2005
87 양희영, "공포정치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프랑스 역사교과서와 공포정치-" 역사교육연구회 (113) : 197-222, 2010
88 박중현, "공동 교과서를 통해 본 대화와 갈등" 한국역사교육학회 (6) : 229-269, 2007
89 구경남,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속 ‘시민’재해석" 한국역사교육학회 (15) : 201-232, 2012
90 양정현, "고등학교<한국사> 교육과정 편성과 교과서검정의양상" 한국역사교육학회 (12) : 156-191, 2010
91 정연,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독해 난이도 ― 일반 어휘의 난이도 측면에서 ―" 역사교육연구회 (92) : 55-98, 2004
92 우인수,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내용 분석" 82 : 2002
93 지모선,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및 대안 모색 -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103-150, 2012
94 남한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그 특징 - 일제강점기 분야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6) : 63-126, 2010
95 방지원, "고등학교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 내용 구성 방식의 비교 - ‘사료’와 ‘탐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6) : 91-132, 2007
96 김병인,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읽기자료』의 특징과 문제점" 역사교육연구회 (86) : 2003
97 이병인, "개인, 국가, 문화권의 다양한 역사상과 세계사 교과서 - 동아시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5) : 37-79, 2007
98 장신, "韓末, 日帝强占期의 敎科書 發行制度와 歷史敎育" 역사교육연구회 (91) : 1-23, 2004
99 김태웅, "韓國 近現代 歷史寫眞의 虛實과 整理 方向 — 국사 개설서와 7차 교육과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9) : 197-240, 2011
100 안지원, "韓國 佛敎史 敎育의 問題點과 그 改善 方案 - 中·高校 『국사』敎科書의 佛敎關係 敍述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83) : 2002
101 박진동, "解放後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의 推移" 역사교육연구회 (91) : 25-50, 2004
102 김정인, "解放 以後 國史 敎科書의 ‘正統性’ 인식 - 日帝 强占期 民族運動史 서술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85) : 2003
103 유용태, "日本 歷史敎科書의 동아시아 인식: 脫亞觀念의 지속과 변화" 역사교육연구회 (98) : 101-132, 2006
104 김태웅, "新國家建設期 敎科書 政策과 運用의 實際" 역사교육연구회 (88) : 2003
105 안지원, "初等學校 敎科書의 歷史 領域 敍述과 問題" 역사교육연구회 (87) : 25-54, 2003
106 박영철, "中國歷史敎科書의 韓國史敍述"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107 유용태, "中國 歷史敎科書의 現代史 認識과 國家主義 - 현대 한국사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108 오병수, "中, 日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와 運用 實態" 역사교육연구회 (91) : 51-72, 2004
109 송상헌, "世界史 敎科書 敍述에서 東아시아史 談論의 問題 - 中國 世界史 敎科書의 境遇 -"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110 주진오,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집필기준과 검정시스템" 92 : 2004
111 박진동,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에 실린 사료의 비교 분석과 제시 방안" 역사교육연구회 (108) : 217-254, 2008
112 김봉석, "『초등 국사교본』의 특징과 역사 인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171-200, 2008
113 王 賢 鐘, "‘수정판’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개편내용과 근대사 서술 비판" 역사교육연구회 (99) : 29-67, 2006
114 박중현, "‘망각’에서 ‘성찰’ 그리고 ‘마주 보기’로 - 공동역사교재의 제작을 중심으로 ㅡ" 역사교육연구회 (116) : 33-61, 2010
115 신주백, "‘동아시아형 교과서대화’의 본격적인 모색과 협력모델 찾기(1993~2006)" 역사교육연구회 (101) : 1-34, 2007
116 李 海 榮, "DBAE 구성영역을 바탕으로 한 국사 교과서 미술사 내용 서술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98) : 65-99, 2006
117 정연,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한국사서술검토 -대단원Ⅰ, Ⅱ를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4) : 245-275, 2011
118 강선주, "5학년 역사 내용 구성 방향" 역사교육연구회 (117) : 29-63, 2011
119 박태균, "2009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 현대사 부분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116) : 315-345, 2010
120 오영찬, "2007·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상)의 삼국시대 문화사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119) : 167-196, 2011
121 김보림, "1990년대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의 요인-학습지도요령과 문부성검정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1 (41): 97-114, 2002
122 김정인, "1990년대 이후 일본 초등 사회 교과서의 한국사 관련 내용 분석"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175-215, 2014
123 구경남, "1970년대 국정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애국심 교육과 국가주의"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347-383, 2014
124 김보림, "1930년대 일본초등역사교육에서 나타난 ‘국가주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7-143, 2003
125 최완기, "(批評論文) 歷史敎育에 있어서 敎科書 活用의 問題"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