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교과서 연구의 지속과 새로운 변화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 Continuance and New Change in Study of History Textbook -Focusing after Year 200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61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 review of continuance and new change in study of history textbook after 2000. Research area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which are theory of history, teaching materials, ideology, textbooks publishing system, and recognition of others based on critical aspect about history education course. The reason of conflict surrounding the history textbook at home and abroad is that educational contents justify contemporary political and power structure in the particular society.
      Thus, it is most important that history textbook to have the contents of universal value pursuing harmony with others, based on the result of various study in history. And also it is need to make system and do action that various history textbooks are able to be selected and published without regulation for organizing selected contents as the teaching material.
      Through these efforts and actions, we are able to find reason of conflicts surrounding history books and on the same time to find the solution for it. Also it shall be good momentum to expand the area of history education study.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 review of continuance and new change in study of history textbook after 2000. Research area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which are theory of history, teaching materials, ideology, textbooks publishing system, and recognition of ...

      This article is a review of continuance and new change in study of history textbook after 2000. Research area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which are theory of history, teaching materials, ideology, textbooks publishing system, and recognition of others based on critical aspect about history education course. The reason of conflict surrounding the history textbook at home and abroad is that educational contents justify contemporary political and power structure in the particular society.
      Thus, it is most important that history textbook to have the contents of universal value pursuing harmony with others, based on the result of various study in history. And also it is need to make system and do action that various history textbooks are able to be selected and published without regulation for organizing selected contents as the teaching material.
      Through these efforts and actions, we are able to find reason of conflicts surrounding history books and on the same time to find the solution for it. Also it shall be good momentum to expand the area of history education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00년 이후 역사교과서 연구의 지속과 새로운 변화를 검토한 글이다. 연구 영역은비판적 교육과정 이론의 교과서관에 따라 역사 교과서 내용이 어떻게 선정되고 어떤 관점에서 조직되는가를 역사학, 교수 학습 자료, 이데올로기, 교과서 발행제도, 타자에 대한 인식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했다.
      바람직한 역사교과서가 담아야 할 교육 내용은 역사학의 다양한 학문적 성과를 토대로 타자와공존하는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는 내용이 선정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선정된 교육내용을 교사와 학생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 조직하기 위해 다양한 역사교과서가 자율적으로 발행되고 선택될 수 있는 방법과 구체적 실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갈등의원인과 해소 방안을 찾는데 도움을 받고, 역사교육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로 삼아보자.
      번역하기

      이 글은 2000년 이후 역사교과서 연구의 지속과 새로운 변화를 검토한 글이다. 연구 영역은비판적 교육과정 이론의 교과서관에 따라 역사 교과서 내용이 어떻게 선정되고 어떤 관점에서 조직...

      이 글은 2000년 이후 역사교과서 연구의 지속과 새로운 변화를 검토한 글이다. 연구 영역은비판적 교육과정 이론의 교과서관에 따라 역사 교과서 내용이 어떻게 선정되고 어떤 관점에서 조직되는가를 역사학, 교수 학습 자료, 이데올로기, 교과서 발행제도, 타자에 대한 인식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했다.
      바람직한 역사교과서가 담아야 할 교육 내용은 역사학의 다양한 학문적 성과를 토대로 타자와공존하는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는 내용이 선정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선정된 교육내용을 교사와 학생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 조직하기 위해 다양한 역사교과서가 자율적으로 발행되고 선택될 수 있는 방법과 구체적 실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갈등의원인과 해소 방안을 찾는데 도움을 받고, 역사교육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로 삼아보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욱, "화해를 위한 역사교육을 통한 인종적 국민주의의 부상 - 19세기 말 20세기 초 미국 역사 교과서의 남북전쟁과 재건 기술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25) : 227-262, 2013

      2 문재경, "현행교육과정 초·중·고 한국사 내용 구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계열성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31) : 67-102, 2014

      3 최병택, "현행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 내용 구성의 문제점 - 내용 분량과 생활사 서술의 문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24) : 1-24, 2012

      4 김육훈, "현행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현대사 부문 분석과 개선방향에 대한 논평" 79 : 2001

      5 서중석, "현행 중고교 국사 교과서 현대사 부문 분석과 개선 방향" 79 : 2001

      6 김창규, "현행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중국 근현대사 서술 체제와 내용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251-275, 2004

      7 정재윤, "한국에 대한 영국의시선 -영국역사교과서내한국관련 서술을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3) : 7-43, 2011

      8 류승렬, "한국사 교과서 발행 국정화 담론의 맥락과 성격" 역사교육연구회 (132) : 291-323, 2014

      9 함종규,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 교육과학사 2003

      10 박태균,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분석" 92 : 2004

      1 김정욱, "화해를 위한 역사교육을 통한 인종적 국민주의의 부상 - 19세기 말 20세기 초 미국 역사 교과서의 남북전쟁과 재건 기술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25) : 227-262, 2013

      2 문재경, "현행교육과정 초·중·고 한국사 내용 구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계열성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31) : 67-102, 2014

      3 최병택, "현행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 내용 구성의 문제점 - 내용 분량과 생활사 서술의 문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24) : 1-24, 2012

      4 김육훈, "현행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현대사 부문 분석과 개선방향에 대한 논평" 79 : 2001

      5 서중석, "현행 중고교 국사 교과서 현대사 부문 분석과 개선 방향" 79 : 2001

      6 김창규, "현행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중국 근현대사 서술 체제와 내용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251-275, 2004

      7 정재윤, "한국에 대한 영국의시선 -영국역사교과서내한국관련 서술을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3) : 7-43, 2011

      8 류승렬, "한국사 교과서 발행 국정화 담론의 맥락과 성격" 역사교육연구회 (132) : 291-323, 2014

      9 함종규,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 교육과학사 2003

      10 박태균,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분석" 92 : 2004

      11 임기환, "한국 고대사의 연구 성과와 역사교과서 서술의 방향"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151-202, 2012

      12 이해영, "텍스트 구조로 본 국사교과서 서술의 응집성" 역사교육연구회 (96) : 1-27, 2005

      13 최덕규, "태프트-가쓰라 협정”에 대한 러시아와 한국 및 일본 역사교과서 서술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67-83, 2010

      14 류현종,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속의 현대사 서사 분석" 한국역사교육학회 (4) : 197-230, 2006

      15 방지원, "초등 역사교육에서 생활사 내용구성" 역사교육연구회 (119) : 1-27, 2011

      16 문동석, "초등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87-108, 2003

      17 신주백, "지유샤판 역사교과서의 근대사 서술 분석" 한국역사교육학회 (9) : 255-293, 2009

      18 김한종, "지유샤역사교과서의 교수·학습적성격" 한국역사교육학회 (10) : 157-188, 2009

      19 丁 載 勳, "중학교 사회 교과서 세계사 서술 속의 타자 읽기 ― 북아시아사 서술의 분석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93) : 1-31, 2005

      20 박현숙, "중학교 국사교과서 고대사 서술에 나타난 日本 表象의 변화 양상" 역사교육연구회 (112) : 31-61, 2009

      21 송상헌,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전근대 역사상" 82 : 2002

      22 김성자,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교육내용 적정화’ 담론의 수용과 굴절" 역사교육연구회 (121) : 1-42, 2012

      23 김지훈, "중국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소수민족” 서술" 역사교육연구회 (129) : 41-76, 2014

      24 오병수, "중국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서술양식과 역사인식" 80 : 2001

      25 윤세병, "중국 역사교과서의 서사 구조와 이데올로기"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47-87, 2013

      26 오병수, "중국 근대 역사 교과서의 자국사 구축과정과 '중화민족'" 역사교육연구회 (132) : 71-104, 2014

      27 김은숙,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대 한일관계사 서술 내용 검토" 74 : 2000

      28 김중락, "중·고등학교 사회교과서(서양사 부분)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82 : 2002

      29 강종훈,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실린 역사 지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선사·고대 부분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06) : 211-245, 2008

      30 김한종,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교과서 발행" 한국역사교육학회 (9) : 295-329, 2009

      31 이명희, "제7차 교육과정기 교과서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82 : 2002

      32 지수걸, "제7차 교육과정 한국근현대사 준거안의 문제점" 79 : 2001

      33 이동규,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오리엔트 문명 서술 분석 - 오리엔트 문명 일반과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내용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4) : 93-136, 2010

      34 구난희, "일제하 천황인식 형성과 역사 교과서의 천황서술 —1930년대 이후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2) : 75-114, 2010

      35 문동석, "일제시대 초등학교 역사교육과정의 변천과 교과서-[보통학교국사]와 [초등국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139-166, 2004

      36 김보림, "일제강점기 초등 ‘국사’교과서에 수록된 삽화의 현황과 특징" 역사교육연구회 (118) : 197-217, 2011

      37 최병택, "일제 경제수탈 관련 교과서 내용에 대한 비판론의 대두와 교과서 서술상의 그 반영 방안" 역사교육연구회 (107) : 1-36, 2008

      38 안지영, "일본침략및강점기에 대한주변국들의역사인식 -한국, 중국, 대만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3) : 44-81, 2011

      39 김봉석, "일본의 중학교 역사교과서에서의 시각자료의 특징과 함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151-163, 2011

      40 임상선, "일본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발해 관련 내용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1 (41): 115-138, 2002

      41 구난희, "외국의역사교과서 서술사례분석I - 교과체계와내용조직을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5) : 51-99, 2012

      42 김한종, "역사의 표현 형식과 국사 교과서 서술" 76 : 2000

      43 김한종, "역사교육의 담론과 학문적 가능성" 역사교육연구회 (97) : 65-89, 2006

      44 송상헌, "역사교육에서 역사교과서의 성격 규정 문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27-39, 2012

      45 김한종,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2006

      46 양호환, "역사교과서의 서술과 유럽중심주의" 역사교육연구회 (117) : 227-248, 2011

      47 김한종, "역사교과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국가 이데올로기" 역사교육연구회 (131) : 103-129, 2014

      48 君島和彦, "역사교과서 문제를 둘러싼 최근 일본의 정황" 역사교육연구회 (93) : 287-301, 2005

      49 이미미, "역사가의 사고과정이 드러나는 서술의 특징과 교재개발 방향" 73 : 2000

      50 김용석, "역사 교과서와 학생, 그리고 역사 교사" 92 : 2004

      51 지모선, "역사 교과서 제2차 세계대전 삽화 자료 비교 분석 - 한ㆍ중ㆍ일ㆍ미ㆍ독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9) : 201-253, 2009

      52 구난희, "역사 교과서 왜곡,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갈등의 집단기억을 상호 공존의 공동기억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1 (41): 121-144, 2002

      53 정재정, "신병철 선생님의 ‘국정 국사 교과서 개발 과정과 국정 교과서 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논평" 79 : 2001

      54 鄭 永 順, "세계사 교과서에서의 한국사 서술 경향과 과제 ― 미국의 역사교육과 세계사 교과서 ―" 역사교육연구회 (93) : 33-66, 2005

      55 宋 堯 厚, "세계사 교과서에서 중국 민중운동에 관한 서술 내용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93) : 67-108, 2005

      56 정경희, "세계사 교과서 속의 미국 - 제7차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4) : 137-175, 2010

      57 김유리, "세계사 교과서 검정제도의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91) : 99-126, 2004

      58 방지원, "새 교육과정 ‘역사’의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와 검정 중학교 교과서 서술" 한국역사교육학회 (12) : 193-244, 2010

      59 남정우,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한국역사교육학회 (11) : 7-49, 2010

      60 김선미, "미국의 중등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75 : 2000

      61 강선주,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 내용 분석-텍사스,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세권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137-166, 2004

      62 정경희, "미국 역사표준서 논쟁 연구" 역사교육연구회 (89) : 35-64, 2004

      63 강선주, "미국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9학년 이상에서 사용되는 6권의 미국 세계사 교과서 분석-" 한국역사교육학회 (1) : 1-39, 2005

      64 김한종, "문화·역사지리의관점에서 본중등학교역사교과서" 한국역사교육학회 (15) : 163-200, 2012

      65 이해영, "메타담론으로 본 국사교과서의 수사적 표현 변화" 한국역사교육학회 (1) : 41-77, 2005

      66 김영수, "러시아 한국사 교재에 나타난 대한제국"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6 (46): 5-22, 2007

      67 박상철, "러시아 역사교과서 속의 러일전쟁" 역사교육연구회 (90) : 23-50, 2004

      68 임기환, "동아시아사의관점에서본 초등학교역사교과서 - 전근대사를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5) : 124-162, 2012

      69 신주백, "동아시아 근현대사에서 戰爭과 平和에 對한 記憶의 差異, 그리고 歷史敎育―동아시아5개국의中高校用自國史및世界史敎科書를中心으로―" 역사교육연구회 (82) : 1-39, 2002

      70 김기봉, "동북아 시대에서 한국사 서술과 역사교육- ‘국사’를 넘어서 -" 역사교육연구회 (95) : 29-61, 2005

      71 한해정, "독일역사교과서에서 나치시대에 관한 서술분석- 집단박해 및 학살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01) : 65-96, 2007

      72 조경민,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7차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내용분석" 역사교육연구회 (114) : 47-92, 2010

      73 安 秉 稷, "국제화해와 역사교육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98) : 295-311, 2006

      74 신병철, "국정 국사 교과서 개발 과정과 국정 국사 교과서 제도의 문제점" 79 : 2001

      75 정춘면, "국사교과서의 정서표현과 학생의 정서 경험" 78 : 2001

      76 류승렬, "국사교과서 편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76 : 2000

      77 이병희, "국사교과서 국정제도의 검토" 역사교육연구회 (91) : 73-97, 2004

      78 이신철, "국사 교과서 정치도구화의 역사 ―이승만ㆍ박정희 독재정권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97) : 177-209, 2006

      79 손용택, "국가 이미지 개선을 위한 교과서 연구; 성찰과 전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9-34, 2009

      80 최용규, "구성주의 학습을 위한 역사교과서 내용 구성 방안" 73 : 2000

      81 강화정,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현대사 서술과 민주주의 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129-173, 2014

      82 김민수, "교육과정 大綱化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 역사교육연구회 (120) : 61-97, 2011

      83 이혜영, "교과서와 이데올로기" 천지 1988

      84 김만곤, "교과서관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의 변화" 33 : 2000

      85 박재영, "교과서 협의를 통한 독일의 과거극복"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5 (45): 61-89, 2006

      86 양정현, "교과서 구성에 대한 敎育課程과 교과서 발행 제도의 규정성 - 7차 역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2) : 1-36, 2005

      87 양희영, "공포정치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프랑스 역사교과서와 공포정치-" 역사교육연구회 (113) : 197-222, 2010

      88 박중현, "공동 교과서를 통해 본 대화와 갈등" 한국역사교육학회 (6) : 229-269, 2007

      89 구경남,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속 ‘시민’재해석" 한국역사교육학회 (15) : 201-232, 2012

      90 양정현, "고등학교<한국사> 교육과정 편성과 교과서검정의양상" 한국역사교육학회 (12) : 156-191, 2010

      91 정연,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독해 난이도 ― 일반 어휘의 난이도 측면에서 ―" 역사교육연구회 (92) : 55-98, 2004

      92 우인수,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내용 분석" 82 : 2002

      93 지모선,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및 대안 모색 -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103-150, 2012

      94 남한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그 특징 - 일제강점기 분야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6) : 63-126, 2010

      95 방지원, "고등학교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 내용 구성 방식의 비교 - ‘사료’와 ‘탐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6) : 91-132, 2007

      96 김병인,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읽기자료』의 특징과 문제점" 역사교육연구회 (86) : 2003

      97 이병인, "개인, 국가, 문화권의 다양한 역사상과 세계사 교과서 - 동아시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5) : 37-79, 2007

      98 장신, "韓末, 日帝强占期의 敎科書 發行制度와 歷史敎育" 역사교육연구회 (91) : 1-23, 2004

      99 김태웅, "韓國 近現代 歷史寫眞의 虛實과 整理 方向 — 국사 개설서와 7차 교육과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19) : 197-240, 2011

      100 안지원, "韓國 佛敎史 敎育의 問題點과 그 改善 方案 - 中·高校 『국사』敎科書의 佛敎關係 敍述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83) : 2002

      101 박진동, "解放後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의 推移" 역사교육연구회 (91) : 25-50, 2004

      102 김정인, "解放 以後 國史 敎科書의 ‘正統性’ 인식 - 日帝 强占期 民族運動史 서술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85) : 2003

      103 유용태, "日本 歷史敎科書의 동아시아 인식: 脫亞觀念의 지속과 변화" 역사교육연구회 (98) : 101-132, 2006

      104 김태웅, "新國家建設期 敎科書 政策과 運用의 實際" 역사교육연구회 (88) : 2003

      105 안지원, "初等學校 敎科書의 歷史 領域 敍述과 問題" 역사교육연구회 (87) : 25-54, 2003

      106 박영철, "中國歷史敎科書의 韓國史敍述"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107 유용태, "中國 歷史敎科書의 現代史 認識과 國家主義 - 현대 한국사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108 오병수, "中, 日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와 運用 實態" 역사교육연구회 (91) : 51-72, 2004

      109 송상헌, "世界史 敎科書 敍述에서 東아시아史 談論의 問題 - 中國 世界史 敎科書의 境遇 -"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110 주진오,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집필기준과 검정시스템" 92 : 2004

      111 박진동,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에 실린 사료의 비교 분석과 제시 방안" 역사교육연구회 (108) : 217-254, 2008

      112 김봉석, "『초등 국사교본』의 특징과 역사 인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171-200, 2008

      113 王 賢 鐘, "‘수정판’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개편내용과 근대사 서술 비판" 역사교육연구회 (99) : 29-67, 2006

      114 박중현, "‘망각’에서 ‘성찰’ 그리고 ‘마주 보기’로 - 공동역사교재의 제작을 중심으로 ㅡ" 역사교육연구회 (116) : 33-61, 2010

      115 신주백, "‘동아시아형 교과서대화’의 본격적인 모색과 협력모델 찾기(1993~2006)" 역사교육연구회 (101) : 1-34, 2007

      116 李 海 榮, "DBAE 구성영역을 바탕으로 한 국사 교과서 미술사 내용 서술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98) : 65-99, 2006

      117 정연,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한국사서술검토 -대단원Ⅰ, Ⅱ를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4) : 245-275, 2011

      118 강선주, "5학년 역사 내용 구성 방향" 역사교육연구회 (117) : 29-63, 2011

      119 박태균, "2009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 현대사 부분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116) : 315-345, 2010

      120 오영찬, "2007·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상)의 삼국시대 문화사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119) : 167-196, 2011

      121 김보림, "1990년대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의 요인-학습지도요령과 문부성검정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1 (41): 97-114, 2002

      122 김정인, "1990년대 이후 일본 초등 사회 교과서의 한국사 관련 내용 분석"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175-215, 2014

      123 구경남, "1970년대 국정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애국심 교육과 국가주의"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347-383, 2014

      124 김보림, "1930년대 일본초등역사교육에서 나타난 ‘국가주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7-143, 2003

      125 최완기, "(批評論文) 歷史敎育에 있어서 敎科書 活用의 問題"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1 1.91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