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홍삼분말과 커피분말의 혼합비율에 따른 추출물에서의 항균효과와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그람 음성균 3종과 그람 양성균 3종 및 진균 1종에 대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73307
2012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320-326(7쪽)
2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홍삼분말과 커피분말의 혼합비율에 따른 추출물에서의 항균효과와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그람 음성균 3종과 그람 양성균 3종 및 진균 1종에 대한...
본 연구에서는 홍삼분말과 커피분말의 혼합비율에 따른 추출물에서의 항균효과와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그람 음성균 3종과 그람 양성균 3종 및 진균 1종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은 모든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비교적으로 약한 항균효과를 보였고,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음성 균주 E. coli와 진균인 C. albicans 2종에서는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나머지 균주에서는 열수 추출보다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B. cereus 균주에서는 모든 샘플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고, ES2 샘플은 P. aeruginosa와 S. Typhimurium 균주에서 각각 19 및 20 ㎜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0.25 및 0.125 ㎎/mL의 농도로 MIC를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한 항균성을 보인 대부분의 시료에서 0.5~1.0 ㎎/mL의 MIC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DPPH 자유기 소거효과를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에서는 열수 추출물에서 55.38~60.01%, 에탄올 추출물에서 59.37~70.50%로 AA보다는 약하지만 BHT의 결과와 비슷하여 비교적 높은 자유기 소거효과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화합물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93.57~109.18 ㎎/g으로 커피와 홍삼의 혼합비율이 9:1일때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05.16~119.79 ㎎/g으로 혼합비율이 7:3일 때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대체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혼합 비율에 따라 각 시료의 항균 효과와 항산화력 역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홍삼의 일반 식품 이용가능성으로 커피와의 함량 조절로 커피의 항균효과와 항산화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특정 생리활성물질의 분석과 생리활성기능을 연관 지어 연구를 진행한다면 기존의 기호음료로서의 커피에서 기능성 음료로서의 커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a mixture of roasted coffee and red ginseng.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each extract were determined by the classical paper d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a mixture of roasted coffee and red ginseng.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each extract were determined by the classical paper disc method. A water extract of mixture samples inhibited growth of all strains, but antibacterial effects were mostly weakened. Ethanol extracts showed stronger antibacterial effects than water extracts in all strains except Gram negative Escherichia coli and the fungi strain Candida albicans. Also,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Bacillus cereus strain appeared in all samples, and the ES2 sample formed a clear zone of 19 and 20 ㎜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and S. Typhimurium respectively (MIC=0.25 and 0.125 ㎎/mL). Determinations of free radical elimination for the different mixture extracts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were compared with ascorbic acid and butylated hyderoxytoluene as positive controls.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mixture samples (100 ㎍/mL) showed 55.38~60.01% and 59.37~70.50% DPPH scavenging activities, respectively. DPPH scavenging activities of all mixture samples were slightly higher than roasted coffee and red ginseng samples. However, DPPH scavenging activity decreased when red ginseng extract composed more than 70% of the total extract. The total polyphenol in the mixture samples measured by the Folin-Denis method revealed the highest level of polyphenol content in ethanol extract of sample 3, whereas polyphenol content differed with different mixture ratios, ranging from 105.16~119.79 ㎎/g in ethanol extract. In the water extract, the polyphenol content was greatest with water extract of sample 1, whereas in other samples the content varied from 93.75~109.18 ㎎/g.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수경, "홍삼양갱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219-226, 2009
2 곽이성, "홍삼사포닌의 일부 병원성미생물에대한 생육억제 효과" 고려인삼학회 30 (30): 128-131, 2006
3 김순임,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항산화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358-366, 2008
4 최구희,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연두부의 저장 중 품질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414-420, 2010
5 김지영, "배전시간에 따른 커피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496-505, 2009
6 박수진, "국내 인삼 연구 현황 및 미래 수요 예측; 최근 5년간 농학 식품학 및 약리학을 중심으로" 고려인삼학회 30 (30): 212-219, 2006
7 박주연, "과체중 여성에서 생커피두 엑기스의 섭취가 체지방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3 (43): 374-381, 2010
8 Joo CN, "The protective effect of Korean ginseng saponins on arotic atheroma formation in prolonged cholesterol fed rabbits" Korea Ginseng Research Institute 27-36, 1980
9 Fulder S, "The effect of ginseng on the performance of nurses on night duty" Korea Ginseng Research Institute 81-85, 1980
10 Nam SH, "Studies on the effect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on acetic acid fermentation" Korea University 1979
1 구수경, "홍삼양갱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219-226, 2009
2 곽이성, "홍삼사포닌의 일부 병원성미생물에대한 생육억제 효과" 고려인삼학회 30 (30): 128-131, 2006
3 김순임,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항산화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358-366, 2008
4 최구희,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연두부의 저장 중 품질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414-420, 2010
5 김지영, "배전시간에 따른 커피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496-505, 2009
6 박수진, "국내 인삼 연구 현황 및 미래 수요 예측; 최근 5년간 농학 식품학 및 약리학을 중심으로" 고려인삼학회 30 (30): 212-219, 2006
7 박주연, "과체중 여성에서 생커피두 엑기스의 섭취가 체지방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3 (43): 374-381, 2010
8 Joo CN, "The protective effect of Korean ginseng saponins on arotic atheroma formation in prolonged cholesterol fed rabbits" Korea Ginseng Research Institute 27-36, 1980
9 Fulder S, "The effect of ginseng on the performance of nurses on night duty" Korea Ginseng Research Institute 81-85, 1980
10 Nam SH, "Studies on the effect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on acetic acid fermentation" Korea University 1979
11 Antonio AG, "Species, roasting degree and decaffeination influenc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offee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118 : 782-788, 2009
12 Morton C, "Smoking, coffee, and pancreatitis" 99 : 731-738, 2004
13 Buchanan RL, "Methylxanthine inhibition of aflatoxin production" 43 : 654-655, 1978
14 Kim WJ, "Korean red ginseng improves survival and sperm quality in guinea pigs exposed to 2,3,7,8-tetrachlorodibenzo- p-dioxin" 134-149, 1999
15 Daglia M, "Isolation of an antibacterial component from roasted coffee" 18 : 219-225, 1998
16 Baranowski JD, "Inhibition of Pseudomonas fluorescens by hydroxycinnamic acids and their alkyl esters" 47 : 1587-1589, 1982
17 Cho TH, "Influences of Fusarium solani and Phytophthora cactorum on the changes in saponin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10 : 180-189, 1986
18 Shin JY, "Immunostimulating effects of acidic polysaccharide extract of Panax ginseng on macrophage function" 24 : 469-482, 2002
19 Kimura M, "Hypoglycemic components from Ginseng radix and the action insulin release" 14 : 125-130, 1981
20 Li G, "Ginsenoside 20(S)-protopanaxadiol inhibits the proliferation and invasion of human fibrosarcoma HT1080 cell" 98 : 588-592, 2006
21 Yukawa GS, "Effects of coffee consumption on oxidative susceptibility of low-density lipoproteins and serum lipid levels in humans" 69 : 70-74, 2004
22 Yun HC,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monoamines and serum corticosterone in heat-stress mice" 10 : 492-496, 1992
23 Kwak YS, "Effect of crude saponin from Korean red ginseng on clinical parameters of ovariectomized rat" 24 : 46-50, 2000
24 Greenberg JA, "Coffee, diabetes, and weight control" 84 : 682-693, 2006
25 Salazar ME, "Coffee consumption and risk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140 : 1-8, 2004
26 Holasova M, "Buckwheat the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in functional foods" 35 : 207-211, 2002
27 Ibrahim SA, "Application of caffeine, 1,3,7-trimethylxantine to control Escherichia coli O157:H7" 99 : 654-650, 2006
28 Bhattachary SK, "Anxiolytic activity of Panax ginseng roots: man experimental study" 34 : 87-92, 1991
29 Rhi JW, "Antioxidative effect of brown materials extracted from roasted coffee beans" 25 : 220-224, 1993
30 Karakaya S,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food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52 : 501-508, 2001
31 Garrote G, "Antioxidant activity of byproducts from the hydrolytic processing of selected lignocellulosic materials" 15 : 191-200, 2004
32 Herald PJ, "Antibacterial activity of selected hydroxycinnamic acids" 48 : 1378-1379, 1983
33 Jang SK,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immunopotential and anticancer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18 : 151-159, 1994
34 Nartowicz VB, "Aflatoxin production in regular and decaffeinated coffee beans" 44 : 446-448, 1979
35 최정섭, "96-well plate를 이용한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측정과 그 응용" 한국농약과학회 7 (7): 3-99, 2003
인체장모델시스템에 의한 열무김치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선발
C57BL/KsJ-db/db 제2형 당뇨병 마우스에서 발아일품벼 추출물의 항당뇨효과
숙성 흑마늘 추출액 첨가가 빵용 밀가루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