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제5장 북한의 사회교육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85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targets schools, homes and every element of society. This all-encompassing educational policy is aimed at inculcating North Koreans with revolutionary ideas. North Korea’s communist party and government place the greatest emphasis on the intelligentsia and revolutionists amongst all its social classes. They are the key to thoroughly realizing the socialist vision of education pedagogy.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formal educational system which brainwashes its people into taking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for granted. It also teaches technical skills that indoctrinates its people in dogmas. The primary function of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is to strengthen the nation’s defenses and develop human resources suitable for its labor party. Under the current system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s bound to approve of any of its past activities. This system is falling far behind the rapidly-changing world environment as a consequence of this approach. The role of social education in a changing society should be to help its people overcome closed ideological values and become efficient. Advocating uninterrupted life-long stud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uties of social education. In this cas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pursued its construction and continuation with dogmatic beliefs in social education. And it’s this style of social education process which has made North Korea what it is today. Despite some conservative party members in South Korea predicting the collapse of the regime, North Korea still maintains the system regardless, distorted and all as it may be. Now is the time for the North’s leadership to find better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ts social education. If they are successful in these efforts the regime can remain in power, the educational system can develop and it will lead to the resolution of the nation’s dilemma.
      번역하기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targets schools, homes and every element of society. This all-encompassing educational policy is aimed at inculcating North Koreans with revolutionary ideas. North Korea’s communist party and government place the gre...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targets schools, homes and every element of society. This all-encompassing educational policy is aimed at inculcating North Koreans with revolutionary ideas. North Korea’s communist party and government place the greatest emphasis on the intelligentsia and revolutionists amongst all its social classes. They are the key to thoroughly realizing the socialist vision of education pedagogy.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formal educational system which brainwashes its people into taking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for granted. It also teaches technical skills that indoctrinates its people in dogmas. The primary function of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is to strengthen the nation’s defenses and develop human resources suitable for its labor party. Under the current system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s bound to approve of any of its past activities. This system is falling far behind the rapidly-changing world environment as a consequence of this approach. The role of social education in a changing society should be to help its people overcome closed ideological values and become efficient. Advocating uninterrupted life-long stud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uties of social education. In this cas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pursued its construction and continuation with dogmatic beliefs in social education. And it’s this style of social education process which has made North Korea what it is today. Despite some conservative party members in South Korea predicting the collapse of the regime, North Korea still maintains the system regardless, distorted and all as it may be. Now is the time for the North’s leadership to find better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ts social education. If they are successful in these efforts the regime can remain in power, the educational system can develop and it will lead to the resolution of the nation’s dilemm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 나라의 사회교육은 급변하는 사회에서 사회의 문화를 보존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렇기에 사회교육을 통해 국민들은 “전 생애에 걸쳐 연속적인 학습”을 하게 되며, 국가의 국민으로서 중요한 의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북한의 사회교육도 북한 사회의 지속과 발전을 추구하며, 현재의 북한의 모습을 결정 지웠다. 주체사상으로 무장된 북한식의 사회교육 활성화는 1990년대 전후하여 사회주의 국가의 붕괴 이후 변화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북한의 사회교육은 그 틀을 바꾸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었으나 북한 당국은 변화를 두려워하였다. 다만 그로 인한 21세기의 변화의 상황에서도 북한의 사회는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결정적인 맹점을 보이고 있다. 분명히 발전을 추구하여야 할 사안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견지한다면 그 내부의 반발은 잔잔하지만 거세가 분출될 것이다. 즉 교육적인 치유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북한의 사회교육이 변화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당국은 북한의 주체사상의 세습적 상황에 놓이게 되면서 사회교육 진척에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면 될수록 북한의 사회교육 발전은 기대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이처럼 북한의 사회교육은 해방 이후 공산주의를 적극 활용하여 운영하였다. 이후 북한의 사회교육은 주체사상을 유일사상으로 관철하는 전형적인 사례가 되었다. 21세기의 평생 교육의 일반적 상황에서도 북한의 사회교육은 결정적으로 그들 특유의 정치사상교육에 몰두하는 맹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북한의 사회교육에 대해 역사적인 상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한 나라의 사회교육은 급변하는 사회에서 사회의 문화를 보존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렇기에 사회교육을 통해 국민들은 “전 생애에 걸쳐 연속적인 학습”을 하게 되며, ...

      한 나라의 사회교육은 급변하는 사회에서 사회의 문화를 보존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렇기에 사회교육을 통해 국민들은 “전 생애에 걸쳐 연속적인 학습”을 하게 되며, 국가의 국민으로서 중요한 의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북한의 사회교육도 북한 사회의 지속과 발전을 추구하며, 현재의 북한의 모습을 결정 지웠다. 주체사상으로 무장된 북한식의 사회교육 활성화는 1990년대 전후하여 사회주의 국가의 붕괴 이후 변화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북한의 사회교육은 그 틀을 바꾸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었으나 북한 당국은 변화를 두려워하였다. 다만 그로 인한 21세기의 변화의 상황에서도 북한의 사회는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결정적인 맹점을 보이고 있다. 분명히 발전을 추구하여야 할 사안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견지한다면 그 내부의 반발은 잔잔하지만 거세가 분출될 것이다. 즉 교육적인 치유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북한의 사회교육이 변화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당국은 북한의 주체사상의 세습적 상황에 놓이게 되면서 사회교육 진척에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면 될수록 북한의 사회교육 발전은 기대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이처럼 북한의 사회교육은 해방 이후 공산주의를 적극 활용하여 운영하였다. 이후 북한의 사회교육은 주체사상을 유일사상으로 관철하는 전형적인 사례가 되었다. 21세기의 평생 교육의 일반적 상황에서도 북한의 사회교육은 결정적으로 그들 특유의 정치사상교육에 몰두하는 맹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북한의 사회교육에 대해 역사적인 상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연구회, "혁명의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천재적교육사상 2" 학우서방 1972

      2 이향규, "해방 후 북한교육의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2

      3 교육성, "해방 후 10년간의 공화국 인민교육의 발전" 교육도서출판사 1955

      4 정희태, "중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5 (5): 2005

      5 사회과학원, "주체사상에 기초한 사회주의교육리론" 사회과학출판사 1975

      6 "조선말사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4

      7 리영환, "조선교육사 6" 사회과학출판사 1995

      8 김창호, "조선교육사 3" 사회과학출판사 1990

      9 정경환, "이명박 정부가 지향해야 할 대북정책의 원칙과 방향" 한국통일전략학회 8 (8): 9-56, 2008

      10 조정아, "산업화 시기 북한의 노동교육" 서울대 2003

      1 교육과학연구회, "혁명의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천재적교육사상 2" 학우서방 1972

      2 이향규, "해방 후 북한교육의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2

      3 교육성, "해방 후 10년간의 공화국 인민교육의 발전" 교육도서출판사 1955

      4 정희태, "중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5 (5): 2005

      5 사회과학원, "주체사상에 기초한 사회주의교육리론" 사회과학출판사 1975

      6 "조선말사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4

      7 리영환, "조선교육사 6" 사회과학출판사 1995

      8 김창호, "조선교육사 3" 사회과학출판사 1990

      9 정경환, "이명박 정부가 지향해야 할 대북정책의 원칙과 방향" 한국통일전략학회 8 (8): 9-56, 2008

      10 조정아, "산업화 시기 북한의 노동교육" 서울대 2003

      11 남진우, "사회주의교육학 사범대학용" 교육도서츨판사 1991

      12 통일부 통일교육원, "북한이해 2010"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0

      13 김경호, "북한의 통치이데올로기와 그 변용" 2 (2): 2002

      14 남승희, "북한의 사회교육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34 (34): 1996

      15 김근식, "북한의 당사업체계, 체제위기 이후 지속과 변화,In 북한 체제의 이해" 명인문화사 2009

      16 김동규, "북한의 교육학" 문맥사 1990

      17 신효숙, "북한의 교육제도와 정책,In 북한 체제의 이해" 명인문화사 2009

      18 김형찬, "북한의 교육" 을유문화사 1990

      19 이이남, "북한에 있어서 교육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을 중심으로" 전북대교육대학원 1992

      20 김규욱, "북한교육의 분석" 대제각 1980

      21 김동규, "북한교육사" 교육과학사 2000

      22 최영표, "북한과 중국의 교육제도 비교 연구" 1988

      23 양정훈, "북한 통치체제의 속성과 문화예술" 한국통일전략학회 9 (9): 315-344, 2009

      24 차승주, "북한 조선소년단에 관한 연구" 서울대 2010

      25 이종식, "북한 정치교육의 변천 연구" 관동대 2007

      26 박일규, "북한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 2 (2): 315-, 2002

      27 김성재, "민족 통일을 위한 북한 교육의 이해" 한신대학교 출판부 34 : 1993

      28 조선로동당출판사, "문맹퇴치에서 선구자가 되자-강원도 평강군 서면 옥동리 리계산 농민과 한 담화, In 김일성 저작집 제6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29 이지수, "동지에서 적으로-김일성·박헌영"

      30 박순서, "대중정치용어사전" 조선 로동당 출판사 1964

      31 최영표, "남북한 의무교육의 비교 연구" 도산아카데미 연구원 2 : 1992

      32 강상석, "남북한 사회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경남대 대학원 1993

      33 조선로동당출판사, "김일성 저작집 제17권" 조선노동당 출판사 1982

      34 조선로동당출판사, "교육과 문학예술은 사람들의 혁명적 세계관을 세우는데 이바지하여야 한다 : 과학교육 및 문학예술부문일군협의회에서 한 연설, In 김일성 저작집, 제25권" 조선노동당 출판사 1983

      35 리진규, "21세기-김정일시대" 평양출판사 1995

      36 조선중앙통신사, "1961년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62

      37 조선중앙통신사, "1960년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61

      38 조선중앙통신사, "1951년-1952년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53

      39 조선중앙통신사, "1950년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51

      40 조선중앙통신사, "1949년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5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5 1.054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