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폰을 통한 SNS 사용에 있어 디자인 요소 유형별 선호도 연구 - 프로필기반 페이지를 가진 SNS의 모바일 환경을 중심으로 - = Analysis on classified preference of Design Factors SNS Use on Smart Phone - focusing on SNS mobile environment with profile-based pag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15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this poi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se visual factors of Sns affect on preferences and use the motivations of users while most people is communicating by SnS.
      The visual factors of SNS on smart phones are categorized into the layour, color, typography and icons by preference surveys. The typography is not included in these due to the limit of the mobile screen siz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users would prefer to go with bigger imagers and more simple layout rather than many informations and functions on a single page. In addition, the survey shows most users use sns with smartphones while they are moving. So that it is presenting that the users prefer bigger images and more simple display design.
      For the color of Logo, the users would love colors with positive high-chroma colors combined while for the icon, they would feel more comfortable with the ones with letters and images integra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people would not want to spend much time on recognizing the icons, and that those icons that are too simplified and symbolized would interrupt the understanding of the users. Regarding the SNS design environmental preferences, the study also could learn that design that is simple and easy to see would be more favored by the users.
      번역하기

      At this poi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se visual factors of Sns affect on preferences and use the motivations of users while most people is communicating by SnS. The visual factors of SNS on smart phones are categorized into ...

      At this poi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se visual factors of Sns affect on preferences and use the motivations of users while most people is communicating by SnS.
      The visual factors of SNS on smart phones are categorized into the layour, color, typography and icons by preference surveys. The typography is not included in these due to the limit of the mobile screen siz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users would prefer to go with bigger imagers and more simple layout rather than many informations and functions on a single page. In addition, the survey shows most users use sns with smartphones while they are moving. So that it is presenting that the users prefer bigger images and more simple display design.
      For the color of Logo, the users would love colors with positive high-chroma colors combined while for the icon, they would feel more comfortable with the ones with letters and images integra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people would not want to spend much time on recognizing the icons, and that those icons that are too simplified and symbolized would interrupt the understanding of the users. Regarding the SNS design environmental preferences, the study also could learn that design that is simple and easy to see would be more favored by the us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全麗花, "한·중 SNS사이트의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비교분석 : 싸이월드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2 "온라인 시장조사 전문기관 랭키닷컴"

      3 소셜미디어연구포럼, "소셜 미디어의 이해"

      4 홍수연, "선호도 높은 웹페이지의 디자인요소 분석연구" 2011

      5 "서울시도시정책지표조사"

      6 정보라, "국내 인기 SNS는 카카오스토리"

      7 이경환, "국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GUI 디자인의 발전 방안에 대한 분석 및 연구: ‘페이스북’과 ‘싸이월드’ SNS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2012

      8 김동욱,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용현황"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

      9 boyd, d. m., "Social Network Sites :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2007

      10 오지훈, "3D SNS에 의한 개인 홈피 디자인의 발전적 변화에 관한 연구" 2008

      1 全麗花, "한·중 SNS사이트의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비교분석 : 싸이월드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2 "온라인 시장조사 전문기관 랭키닷컴"

      3 소셜미디어연구포럼, "소셜 미디어의 이해"

      4 홍수연, "선호도 높은 웹페이지의 디자인요소 분석연구" 2011

      5 "서울시도시정책지표조사"

      6 정보라, "국내 인기 SNS는 카카오스토리"

      7 이경환, "국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GUI 디자인의 발전 방안에 대한 분석 및 연구: ‘페이스북’과 ‘싸이월드’ SNS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2012

      8 김동욱,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용현황"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

      9 boyd, d. m., "Social Network Sites :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2007

      10 오지훈, "3D SNS에 의한 개인 홈피 디자인의 발전적 변화에 관한 연구"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