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이자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효과 =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Xanthium sibiric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83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Xanthium sibiricum using extract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 as a VLC column fractionation experiments XS-5 (water fraction of Xanthium sibiric...

      Xanthium sibiricum using extract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 as a VLC column fractionation experiments XS-5 (water fraction of Xanthium sibiricum) concentration in the 500 ㎍/ml to 87.53 percent in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found, VLC fractionation in XS-3-2 (eluted with chloroform/methanol 7~10%) concentration of 500 ㎍/ml, show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78.72%. The antioxidant activity measured by PCL XS-1 (n-hexane fraction of Xanthium sibiricum) XS-5 (water fraction of Xanthium sibiricum) and 13.32 nmol open column XS-3-2 (eluted with chloroform/methanol 7~10%) showed antioxidant activity with 14.34 nmol.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andida albicans XS-2 (methlene chloride fraction fo Xanthium sibiricum) is the concentration of 500 ㎍/disc 1 mm of the clean zone was formed. XS-3 (ethanol fraction fo Xanthium sibiricum) in the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 and PCL ha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was lo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창이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실험결과 VLC column로 분획한 XS-5에서 처리농도 500 ㎍/ml에서의 87.53%...

      창이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실험결과 VLC column로 분획한 XS-5에서 처리농도 500 ㎍/ml에서의 87.53%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으며, VLC로 분획한 XS-3-2의 처리농도 500 ㎍/ml에서 78.72%의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PCL법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XS-1에서 13.32 nmol과 open column XS-3-2에서 14.34 nmol으로 항산화력을 나타났다.
      Candida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은 XS-2의 처리농도가 500 ㎍/disc에서는 1 mm의 clean zone이 형성되었다. XS-3에서DPPH와 PCL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높았지만 항균활성은낮게 나타났다. 창이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항균 활성은상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재, "해당화 줄기 및 뿌리의 주성분 분리 및 항산화활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1 (21): 402-407, 2008

      2 김현수, "한국산 도꼬마리 추출물로부터 항균·항암물질의 탐색" 한국생물공학회 18 (18): 55-61, 2003

      3 김유정, "천연 암반 심해수의 항산화 활성 및 면역반응에 대한 연구" 한국생명과학회 18 (18): 329-335, 2008

      4 권대준, "참외(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1 (51): 194-199, 2008

      5 이철희, "종에 따른 배나무 열매의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253-259, 2011

      6 최남영,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40 (40): 257-264, 2008

      7 권지웅, "약용식물 추출물로부터 항상화활성 탐색" 한국생약학회 39 (39): 155-163, 2008

      8 한정훈, "백출 지상부의 항산화 성분" 대한약학회 51 (51): 88-95, 2007

      9 이명렬, "모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177-182, 2007

      10 송호선, "대나무 추출액의 항산화 작용과 미백작용" 대한약학회 51 (51): 500-507, 2007

      1 박병재, "해당화 줄기 및 뿌리의 주성분 분리 및 항산화활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1 (21): 402-407, 2008

      2 김현수, "한국산 도꼬마리 추출물로부터 항균·항암물질의 탐색" 한국생물공학회 18 (18): 55-61, 2003

      3 김유정, "천연 암반 심해수의 항산화 활성 및 면역반응에 대한 연구" 한국생명과학회 18 (18): 329-335, 2008

      4 권대준, "참외(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1 (51): 194-199, 2008

      5 이철희, "종에 따른 배나무 열매의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253-259, 2011

      6 최남영,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40 (40): 257-264, 2008

      7 권지웅, "약용식물 추출물로부터 항상화활성 탐색" 한국생약학회 39 (39): 155-163, 2008

      8 한정훈, "백출 지상부의 항산화 성분" 대한약학회 51 (51): 88-95, 2007

      9 이명렬, "모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177-182, 2007

      10 송호선, "대나무 추출액의 항산화 작용과 미백작용" 대한약학회 51 (51): 500-507, 2007

      11 김진우,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으로부터 분리한 diketopiperazine계 화합물의 화학구조 및 항산화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93-97, 2005

      12 이보배, "구강질환 원인균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과 법제유황수 함유 치약시제품의 항균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9 (19): 956-962, 2009

      13 이윤미, "蒼耳子로부터 항산화 유효 성분의 분리" 대한동의병리학회 18 (18): 792-796, 2004

      14 천승철, "內疎黃連湯 및 구성약물의 항균활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본초학회 19 (19): 51-60, 2004

      15 Wang, H.,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s" 44 : 701-705, 1996

      16 Nishibe, S., "Studies on the chinese crude drug “Forsythiae Fructus” the structure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suspensaside isolated from Forsythiasuspense" 39 : 4548-4553, 1982

      17 Kim, K.D.,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herbal extracts" 23 : 75-83, 2006

      18 Cho, S.Y.,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 30 : 133-137, 2001

      19 Kang, D.G., "Screening and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of herbal medicines used in Korea" 87 : 231-236, 2003

      20 Kim, S.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13 : 56-63, 1997

      21 Van der Sluis, A., "Flavonoid as bioactive components in apple products" 114 : 107-108, 1997

      22 Popov, I., "Antioxidative homeostasis charhctrization by means of chemiluminescent technique" 300 : 437-456, 1999

      23 Song, J.W.,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from Saussurea lappa" 34 : 55-61, 2008

      24 Kim, E.S., "Antimicrobial effects of herbs for removing dampness and promoting urination against vaginal microbe" 20 : 001-015, 2007

      25 Qin, L., "A new thiazinedione from Xanthium strumarium" 77 : 45-46,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7 1.15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