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분야의 여러 기관에서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비·대응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모바일 기반의 앱을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본논문은 우리나라 재난안전과 관련한 모바일 공공앱 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810810
2014
Korean
Mobile applications by public sector ; Disaster and safety ; Function ; Usage ; 모바일 공공앱 ; 재난안전 ; 기능 ; 활용도
KCI등재
학술저널
247-255(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공분야의 여러 기관에서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비·대응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모바일 기반의 앱을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본논문은 우리나라 재난안전과 관련한 모바일 공공앱 현...
공공분야의 여러 기관에서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비·대응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모바일 기반의 앱을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본논문은 우리나라 재난안전과 관련한 모바일 공공앱 현황을 조사하여, 그 기능별 특징과 활용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총 21개의 재난안전분야 모바일 공공앱을 대상으로 해당 공공앱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종류, 다운로드수와 평점, 인구수 대비 다운로드수를 이용한앱의 활용도를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재난안전분야 모바일 공공앱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bile applications have been widely and variously used as effective tools in disseminating 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informationby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functions and usages of mobile applications developed ...
Mobile applications have been widely and variously used as effective tools in disseminating 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informationby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functions and usages of mobile applications developed by the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n Korea. The total of 21 public mobile applications was examinedand compared in terms of their functions, service types, usages based on the number of downloads, and user ratings. Based on theexamination results, this paper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and considerations for the public application development in the disasterand safety manage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천영학, "집중호우에 따른 차량 혼잡구간 정보수집을 위한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39-149, 2012
2 이중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재난정보수집 애플리케이션 구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5 (15): 108-114, 2012
3 김지수, "공공앱의 사용자 리뷰에 대한 분석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2 (22): 31-56, 2013
4 ABI Research, "The Mobile App Market will be Worth $27 Billion in 2013 as Tablet Revenue Grows"
5 .Lindsay, B. R., "Social Media and Disasters: Current Uses, Future Options, and Policy Consideration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1
6 Cho, H.J., "Public App Status and Development Plan"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011
7 Ki, J. H., "Open API Mashup Application to Developing Smart Phone App for Participatory Urban Planning and Urban Design" 29 (29): 61-67, 2011
8 Moses, A., "Haitian Survivor “saved by first-aid iPhone app.”" Sydney Morning Herald, Digital Life
9 Ward, B., "Google” 900 million Android activations, 48billob app installs"
10 "Google Play"
1 천영학, "집중호우에 따른 차량 혼잡구간 정보수집을 위한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39-149, 2012
2 이중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재난정보수집 애플리케이션 구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5 (15): 108-114, 2012
3 김지수, "공공앱의 사용자 리뷰에 대한 분석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2 (22): 31-56, 2013
4 ABI Research, "The Mobile App Market will be Worth $27 Billion in 2013 as Tablet Revenue Grows"
5 .Lindsay, B. R., "Social Media and Disasters: Current Uses, Future Options, and Policy Consideration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1
6 Cho, H.J., "Public App Status and Development Plan"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011
7 Ki, J. H., "Open API Mashup Application to Developing Smart Phone App for Participatory Urban Planning and Urban Design" 29 (29): 61-67, 2011
8 Moses, A., "Haitian Survivor “saved by first-aid iPhone app.”" Sydney Morning Herald, Digital Life
9 Ward, B., "Google” 900 million Android activations, 48billob app installs"
10 "Google Play"
11 Nakajima, Y., "Disaster Evacuation Guide: Using a Massively Multiagent Server and GPS Mobile Phones" 2007
12 Kim, H.-J., "Case study on disaster-related applications of smart phone" 46-47, 2011
13 "Apple Media"
14 National Disaster Information Center, "Annual Report on Disasters" NEMA
15 Kwak, B.S., "Analysis of Push Technology in Smartphone Platform for Emergency Alert" 164-166, 2011
16 Fajardo, J.T.B., "A Mobile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Android Technology" 3 (3): 77-86, 2009
대피시간에 따른 재해대피소의 적정 위치선정 방안 연구- 홍성군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철도부지 상부 인공지반에 적합한 신개념 마이크로파일의 정적 및 동적 횡방향 지지력 평가
소방용 보호장구 착용에 따른 소방공무원의 신체평형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 | 0.602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