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피시간에 따른 재해대피소의 적정 위치선정 방안 연구- 홍성군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 Proper Location of Disaster Shelters according to Evacuation Time - Focused on Coastal Areas in Hongseong G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0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ffective plan for proper location selection of disaster shelter by using ‘Time Distance’ algorithm.
      In consideration of population characteristic and terrain elements of coastal areas in Hongseong Gun was analysed movablerange of evacuation by walk and automobile. Three proper positions of disaster shelter were determined in the study area split intothree spheres in order that all the residents can take shelter. In consideration of safety from large-scale disaster, such as tsunami wereanalysed the suitability of two secondary disaster shelters in according to evacuation time. By regarding not only primary but secondaryshelter in determining of disaster shelter location in coastal areas is to deal with crisis in according to type and scale of disasters.
      The result of this study considered moving by walk as well as by automobile can contribute to a fundamental information forrealistic route plan without congestion on roa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ffective plan for proper location selection of disaster shelter by using ‘Time Distance’ algorithm. In consideration of population characteristic and terrain elements of coastal areas in Hongseong Gun w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ffective plan for proper location selection of disaster shelter by using ‘Time Distance’ algorithm.
      In consideration of population characteristic and terrain elements of coastal areas in Hongseong Gun was analysed movablerange of evacuation by walk and automobile. Three proper positions of disaster shelter were determined in the study area split intothree spheres in order that all the residents can take shelter. In consideration of safety from large-scale disaster, such as tsunami wereanalysed the suitability of two secondary disaster shelters in according to evacuation time. By regarding not only primary but secondaryshelter in determining of disaster shelter location in coastal areas is to deal with crisis in according to type and scale of disasters.
      The result of this study considered moving by walk as well as by automobile can contribute to a fundamental information forrealistic route plan without congestion on roa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Time Distance’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재해대피소의 적정 위치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홍성군 일부 연안지역을 대상지로 하여 모든 가구의 대피시간이 최소가 되는 대피소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의 지형적 요소, 인구특성을 고려하여 보행과 차량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분석하였다. 모든 주민들이 대피소에 이동하는 것을 목표로 대상지를 3권역으로 분할하여 최단의 이동이 가능한 적정위치를 선정하였다. 해일과 같은 큰 재해에 대해 보다 안전적 대피를 위하여 2차 대피소를 고려하였고 그 적정위치를 분석하여 대피시간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1차, 2차 재해대피소로 가는 경로에 보행과 차량이 상충될 가능성을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연안지역의 재해대피시설의 위치를 선정할 때, 주어진 대피시간의 여부에 따라 1차 대피만 생각하는것이 아니라 2차 대피까지 고려함으로써 재해의 규모와 긴급성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보행뿐만 아니라 차량이동도 고려하여 결정하고 또한 보행과 차량이 상충되지 않고 대피할 수 있는 계획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Time Distance’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재해대피소의 적정 위치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홍성군 일부 연안지역을 대상지로 하여 모든 가구의 대피시간이 최소가...

      본 논문의 목적은 ‘Time Distance’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재해대피소의 적정 위치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홍성군 일부 연안지역을 대상지로 하여 모든 가구의 대피시간이 최소가 되는 대피소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의 지형적 요소, 인구특성을 고려하여 보행과 차량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를 분석하였다. 모든 주민들이 대피소에 이동하는 것을 목표로 대상지를 3권역으로 분할하여 최단의 이동이 가능한 적정위치를 선정하였다. 해일과 같은 큰 재해에 대해 보다 안전적 대피를 위하여 2차 대피소를 고려하였고 그 적정위치를 분석하여 대피시간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1차, 2차 재해대피소로 가는 경로에 보행과 차량이 상충될 가능성을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연안지역의 재해대피시설의 위치를 선정할 때, 주어진 대피시간의 여부에 따라 1차 대피만 생각하는것이 아니라 2차 대피까지 고려함으로써 재해의 규모와 긴급성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보행뿐만 아니라 차량이동도 고려하여 결정하고 또한 보행과 차량이 상충되지 않고 대피할 수 있는 계획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환희, "진주시 홍수재해용 대피소 적합성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 (20): 91-99, 2012

      2 박재국,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보행속도에 따른 대피소 서비스 영역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 (20): 37-44, 2012

      3 Yu, W., "Selection of Appropriate Location for the Disaster Relief Shelter in the City" 17-25, 2005

      4 Jung, Y.J., "Research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helter Spaces in Prepatation against Natural and Other Disasters" 33 (33): 7-8, 2013

      5 ArcGis Resource Center, "How the Time Distance Tools Work"

      6 Studenski, S., "Gait speed and survival in older adults" 305 (305): 50-58, 2011

      7 Yoon, H.J., "Experiments on Egress of the Elderly in High-rise Building" 365-368, 2012

      8 Park, M.H., "Conditions of Human Walking Speed" Risktech

      9 Bohannon, R.W., "Comfortable and Maximum Walking Speed of Adults Aged 20-79 Years" 26 : 15-19, 1997

      10 최종호, "AHP와 GIS분석을 이용한 지진해일 대피소 선정" 한국측량학회 30 (30): 503-509, 2012

      1 유환희, "진주시 홍수재해용 대피소 적합성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 (20): 91-99, 2012

      2 박재국,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보행속도에 따른 대피소 서비스 영역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 (20): 37-44, 2012

      3 Yu, W., "Selection of Appropriate Location for the Disaster Relief Shelter in the City" 17-25, 2005

      4 Jung, Y.J., "Research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helter Spaces in Prepatation against Natural and Other Disasters" 33 (33): 7-8, 2013

      5 ArcGis Resource Center, "How the Time Distance Tools Work"

      6 Studenski, S., "Gait speed and survival in older adults" 305 (305): 50-58, 2011

      7 Yoon, H.J., "Experiments on Egress of the Elderly in High-rise Building" 365-368, 2012

      8 Park, M.H., "Conditions of Human Walking Speed" Risktech

      9 Bohannon, R.W., "Comfortable and Maximum Walking Speed of Adults Aged 20-79 Years" 26 : 15-19, 1997

      10 최종호, "AHP와 GIS분석을 이용한 지진해일 대피소 선정" 한국측량학회 30 (30): 503-509,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