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 교사의 개인변인과 학교 환경변인이 생활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Individual and school factors affecting student guidance efficacy of Korean high school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96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교사의 개인변인과 학교 환경변인이 생활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개별 변인 및 상호작용 효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집한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2012년 교사 및 학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생활지도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경력, 담임여부, 동료교사와의 소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일 때, 경력이 높을수록, 동료교사와의 소통이 활발할수록 생활지도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교사의 경우 남교사보다 생활지도 효능감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일탈행동과 교사의견반영은 생활지도 효능감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학교에서 학생일탈행동이 빈번할수록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이 낮았다. 반면 학교에서 교사의견반영이 잘 될수록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교사 개인변인과 학교 환경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학생일탈행동이 많을수록 여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이 남교사보다 더 낮았다. 학교 교육활동에 교사들의 의견이 잘 반영될수록 동료교사와 소통을 많이 하는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이 높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증진을 위한 학교 환경 조성에 초점을 두고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교사의 개인변인과 학교 환경변인이 생활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개별 변인 및 상호작용 효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집한 「학교 교육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교사의 개인변인과 학교 환경변인이 생활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개별 변인 및 상호작용 효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집한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2012년 교사 및 학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생활지도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경력, 담임여부, 동료교사와의 소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일 때, 경력이 높을수록, 동료교사와의 소통이 활발할수록 생활지도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교사의 경우 남교사보다 생활지도 효능감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일탈행동과 교사의견반영은 생활지도 효능감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학교에서 학생일탈행동이 빈번할수록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이 낮았다. 반면 학교에서 교사의견반영이 잘 될수록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교사 개인변인과 학교 환경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학생일탈행동이 많을수록 여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이 남교사보다 더 낮았다. 학교 교육활동에 교사들의 의견이 잘 반영될수록 동료교사와 소통을 많이 하는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이 높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증진을 위한 학교 환경 조성에 초점을 두고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dividual and school factors affecting student guidance efficacy of Korean high school teachers. The mu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2012 data from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a homeroom class, had mor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communicated with colleagues more actively, showed higher student guidance efficacy. Furthermore, female teachers showed lower student guidance efficacy than male teachers. Second, while teachers who perceived more frequent student behavioral problems in school showed lower student guidance efficacy, teachers tended to show higher student guidance efficacy when they actively engaged in school's decision-making process. Third,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among individual and school factors. The more student behavioral problems were, the lower the female teachers' student guidance efficacy. The more actively teachers could participate in school's decision making process, the higher the student guidance efficacy of teachers who communicated with fellow teachers more often.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reating a school environment to enhance teachers' student guidance efficac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dividual and school factors affecting student guidance efficacy of Korean high school teachers. The mu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2012 data from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y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dividual and school factors affecting student guidance efficacy of Korean high school teachers. The mu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2012 data from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a homeroom class, had mor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communicated with colleagues more actively, showed higher student guidance efficacy. Furthermore, female teachers showed lower student guidance efficacy than male teachers. Second, while teachers who perceived more frequent student behavioral problems in school showed lower student guidance efficacy, teachers tended to show higher student guidance efficacy when they actively engaged in school's decision-making process. Third,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among individual and school factors. The more student behavioral problems were, the lower the female teachers' student guidance efficacy. The more actively teachers could participate in school's decision making process, the higher the student guidance efficacy of teachers who communicated with fellow teachers more often.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reating a school environment to enhance teachers' student guidance effica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승근,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국가 정책의 비판적 고찰: 보건복지가족부의 정책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21, 2009

      2 홍석기,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121-142, 2011

      3 곽세영, "초등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0 (30): 559-583, 2016

      4 김효정,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직업 정체성, 회복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21 (21): 245-267, 2019

      5 신종호,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문화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47-56, 2007

      6 김아영,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5-29, 2002

      7 김성기, "초․중등 교원의 명예퇴직 사유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09-127, 2012

      8 박정주,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개인 및 학교 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21-41, 2010

      9 홍성훈, "중등교원의 의사결정 참여 수준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원 8 (8): 131-150, 2010

      10 구본용,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75-306, 2014

      1 오승근,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국가 정책의 비판적 고찰: 보건복지가족부의 정책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21, 2009

      2 홍석기,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121-142, 2011

      3 곽세영, "초등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0 (30): 559-583, 2016

      4 김효정,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직업 정체성, 회복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21 (21): 245-267, 2019

      5 신종호,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문화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47-56, 2007

      6 김아영,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5-29, 2002

      7 김성기, "초․중등 교원의 명예퇴직 사유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09-127, 2012

      8 박정주,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개인 및 학교 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21-41, 2010

      9 홍성훈, "중등교원의 의사결정 참여 수준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원 8 (8): 131-150, 2010

      10 구본용,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75-306, 2014

      11 이현주, "중등교사의 배경변인과 사회심리적 변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교육연구소 12 (12): 95-124, 2011

      12 홍혜정, "유아교육기관의 조직건강 및 의사결정참여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255-274, 2004

      13 김사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2 (22): 511-524, 2013

      14 서민희, "영아교사 성인애착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22 (22): 157-176, 2020

      15 전용관, "국공립과 사립 중학교 교사의 직무만족 구조 비교: 학교장의 지도성과 교사 효능감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2 (62): 31-60, 2014

      16 임지윤, "교사의 정서노동이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97-220, 2014

      17 김종백, "교사와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의 변화가 학생의 학교행복과 수업참여를 매개로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85-315, 2014

      18 권순구,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30 (30): 469-496, 2016

      19 주동범, "교사 효능감 관련 변인의 분석: 직무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0 (40): 12-270, 2002

      20 Y. Ozdemir, "The role of classroom management efficacy in predicting teacher burnout" 2 (2): 257-263, 2007

      21 Megan Tschannen-Moran,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Elsevier BV 17 (17): 783-805, 2001

      22 Sherri Gibson,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76 (76): 569-582, 1984

      23 Megan Tschannen-Moran,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ERA) 68 (68): 202-248, 2016

      24 Patricia Ashton,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SAGE Publications 35 (35): 28-32, 2016

      25 Edmund T. Emmer, "Teacher 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and Discipline" SAGE Publications 51 (51): 755-765, 1991

      26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27 Albert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84 (84): 191-215, 1977

      28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orth Publishers 1997

      29 A. Bandura,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Informa tion Age 307-337, 2006

      30 K. H. Kim, "School Counseling and Personal Guidance" Hakjisa 2000

      31 KEDI, "Primary & Secondary Educational Statistics"

      32 J. Meyer, "Moral education in Taiwan" 32 (32): 20-38, 1988

      33 P. T. Ashton,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Longman 1986

      34 S. W. Raudenbush,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Vol. 1)" Sage 2002

      35 Huey-Ling Lin, "Exploratory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 efficacy in Taiwan" Elsevier BV 17 (17): 623-635, 2001

      36 Dianne L. Taylor, "Decision Participation and School Climate as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forma UK Limited 63 (63): 217-230, 1995

      37 Stephen W. Raudenbush, "Contextual Effects on the Self-perceived Efficacy of High School Teachers" JSTOR 65 (65): 150-167, 1992

      38 Anita Woolfolk Hoy, "Changes in teacher efficacy during the early years of teaching: A comparison of four measures" Elsevier BV 21 (21): 343-356, 2005

      39 Irene T Ho, "Australian and Chinese teacher efficac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ersonal instruction, discipline, guidance efficacy and beliefs in external determinants" Elsevier BV 20 (20): 313-323, 2004

      40 André Brouwers, "A longitudinal study of teacher burnout and perceived self-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Elsevier BV 16 (16): 239-253, 2000

      41 허주, "1수업 2교사제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통한 교사협력 방안 탐색: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21 (21): 57-79,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