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학생선수의 이중경력과 스포츠 탈진 = Student-Athletes' dual career and sport burnou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0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Student-athletes in Korea are confronted with career development in both academics and sport. This paradigm change in sport policy aims at guarantee of student-athletes' learning rights and successful career transition after sport. But dual career development can be a difficult task for student-athletes, if there is a lack of social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pdated information regarding the burnout-in-sport literature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sport psychology.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reviewing the literature. In order to improve the validity of discussion, the author focused on the findings of the published research articles targeting student-athletes. The outcomes were examined and discussed based on models and measurement tools of athletes’ burnout. [Results] First,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causalities in sport burnou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korean sport burnout scale reflecting ou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o do this,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preceded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on burnout phenomenon of student-athletes. Third, the cut-off values which can allow the separation between clinical and nonclinical athletes should be developed. Fourth, due to dual career development as a new sport environment, burnout research has to pay attention both psychological variables in person and environmental variables. [Conclusions] Since the 1990s burnout research in sport psychology has been increased in its quantity as one of the remarkable topics in Korea.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번역하기

      [Purpose] Student-athletes in Korea are confronted with career development in both academics and sport. This paradigm change in sport policy aims at guarantee of student-athletes' learning rights and successful career transition after sport. But dual ...

      [Purpose] Student-athletes in Korea are confronted with career development in both academics and sport. This paradigm change in sport policy aims at guarantee of student-athletes' learning rights and successful career transition after sport. But dual career development can be a difficult task for student-athletes, if there is a lack of social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pdated information regarding the burnout-in-sport literature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sport psychology.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reviewing the literature. In order to improve the validity of discussion, the author focused on the findings of the published research articles targeting student-athletes. The outcomes were examined and discussed based on models and measurement tools of athletes’ burnout. [Results] First,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causalities in sport burnou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korean sport burnout scale reflecting ou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o do this,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preceded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on burnout phenomenon of student-athletes. Third, the cut-off values which can allow the separation between clinical and nonclinical athletes should be developed. Fourth, due to dual career development as a new sport environment, burnout research has to pay attention both psychological variables in person and environmental variables. [Conclusions] Since the 1990s burnout research in sport psychology has been increased in its quantity as one of the remarkable topics in Korea.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우리의 학생선수들은 학업과 운동의 병행이라는 새로운 스포츠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스포츠정책에 있어 패러다임의 변화는 학생선수들의 학습권을 보장하여 추후 진로전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사회적 지원이 없다면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탈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중경력 과정에서 학생선수들의 탈진 현상을 살펴보고 스포츠심리학에서 탈진연구를 위한 미래 연구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이 연구는 스포츠 탈진과 관련한 연구들을 문헌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주제에 대한 논의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을 선별하여 탈진 모델 및 측정도구들과 관련하여 논의가 진행되었다. [결과] 첫째, 스포츠 탈진의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우리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한국형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탈진의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질적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탈진 임상 대상자와 비임상 대상자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학업과 운동의 병행이라는 새로운 스포츠 환경에 직면하여 탈진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변인뿐만 아니라 환경 요인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결론] 1990년대 이후 국내 스포츠심리학에서도 스포츠 탈진에 대한 연구는 양적으로 많은 발전을 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토대로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우리의 학생선수들은 학업과 운동의 병행이라는 새로운 스포츠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스포츠정책에 있어 패러다임의 변화는 학생선수들의 학습권을 보장하여 추후 진로전환...

      [목적] 우리의 학생선수들은 학업과 운동의 병행이라는 새로운 스포츠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스포츠정책에 있어 패러다임의 변화는 학생선수들의 학습권을 보장하여 추후 진로전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사회적 지원이 없다면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탈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중경력 과정에서 학생선수들의 탈진 현상을 살펴보고 스포츠심리학에서 탈진연구를 위한 미래 연구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이 연구는 스포츠 탈진과 관련한 연구들을 문헌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주제에 대한 논의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을 선별하여 탈진 모델 및 측정도구들과 관련하여 논의가 진행되었다. [결과] 첫째, 스포츠 탈진의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우리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한국형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탈진의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질적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탈진 임상 대상자와 비임상 대상자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학업과 운동의 병행이라는 새로운 스포츠 환경에 직면하여 탈진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변인뿐만 아니라 환경 요인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결론] 1990년대 이후 국내 스포츠심리학에서도 스포츠 탈진에 대한 연구는 양적으로 많은 발전을 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토대로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궁천, "한중 수영 선수들의 정서지능, 지각된 코칭행동, 탈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59-71, 2014

      2 김언호, "학생선수의 훈련량, 과훈련 인식 및 탈진 관계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5 (25): 967-979, 2016

      3 김경원, "학생 복싱선수의 운동경력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대한운동학회 18 (18): 35-42, 2016

      4 이용식, "학교운동부 합숙훈련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10 (10): 93-107, 2012

      5 이상기, "펜싱선수의 훈련량과 과훈련 인식, 그리고 스포츠탈진의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9 (9): 243-251, 2007

      6 송기현, "통제적 코칭행동과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청소년 선수들의 운동정체성과 접근-회피동기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143-157, 2014

      7 김응준, "코치의 리더십 행동 유형과 스포츠 탈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7 (17): 439-449, 2008

      8 김영숙, "축구선수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이 수행 탈진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4 (24): 700-708, 2013

      9 김병준, "체육학 연구에서 질문지 번역과 타당도 제고를 위한 절차"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13-26, 2003

      10 소영호, "체육고등학교 선수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경쟁불안 및 탈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 (22): 77-92, 2011

      1 궁천, "한중 수영 선수들의 정서지능, 지각된 코칭행동, 탈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59-71, 2014

      2 김언호, "학생선수의 훈련량, 과훈련 인식 및 탈진 관계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5 (25): 967-979, 2016

      3 김경원, "학생 복싱선수의 운동경력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대한운동학회 18 (18): 35-42, 2016

      4 이용식, "학교운동부 합숙훈련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10 (10): 93-107, 2012

      5 이상기, "펜싱선수의 훈련량과 과훈련 인식, 그리고 스포츠탈진의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9 (9): 243-251, 2007

      6 송기현, "통제적 코칭행동과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청소년 선수들의 운동정체성과 접근-회피동기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143-157, 2014

      7 김응준, "코치의 리더십 행동 유형과 스포츠 탈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7 (17): 439-449, 2008

      8 김영숙, "축구선수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이 수행 탈진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4 (24): 700-708, 2013

      9 김병준, "체육학 연구에서 질문지 번역과 타당도 제고를 위한 절차"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13-26, 2003

      10 소영호, "체육고등학교 선수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경쟁불안 및 탈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 (22): 77-92, 2011

      11 박중길, "청소년 학생선수를 위한 운동 탈진 질문지(ABQ)의 요인 동일성과 잠재평균 검증" 한국체육학회 52 (52): 149-162, 2013

      12 최헌혁, "청소년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열정과 탈진의 관계에서 코치-선수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111-125, 2014

      13 윤상용, "청소년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열정, 기본 심리적 욕구와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12 (12): 373-384, 2017

      14 송기현,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스포츠 능력믿음과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열정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체육과학회 27 (27): 315-327, 2018

      15 송기현, "청소년 운동선수가 경험하는 운동탈진의 심리적 과정"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603-610, 2018

      16 유진영, "직업교육과 스포츠교육의 병행: 독일 스포츠교육의 최근동향 고찰" 한독교육학회 23 (23): 21-37, 2018

      17 박인경, "지각된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8 (28): 59-69, 2017

      18 백원칠, "중등학교 접촉스포츠선수에 있어서 운동스트레스 변인 및 과훈련 인식도와 운동탈진간의 인과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4 (14): 757-770, 2003

      19 정우영, "중·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 인과모형 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 (53) : 519-534, 2013

      20 권순찬, "중, 고등학교 남자 배구선수의 스트레스 요인 및 탈진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517-526, 2005

      21 홍덕기, "인권으로 바라본 학생선수: 교육적 담론"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131-154, 2007

      22 허정식, "운동선수의 팀내경쟁과 관계갈등 및 운동탈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15 (15): 595-604, 2017

      23 김경원, "운동선수의 경력개발과 진로전환을 위한 정책 방안: 독일의 이중 경력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대한운동학회 16 (16): 101-113, 2014

      24 최헌혁, "운동선수 탈진 질문지의 동일성과 잠재평균 분석" 한국웰니스학회 12 (12): 433-445, 2017

      25 주종미, "운동부내 성폭력 실태와 대응방안"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1 (11): 219-245, 2008

      26 류호상, "선수의 과훈련과 탈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6 (6): 13-22, 2004

      27 김민준, "배드민턴 선수의 완벽주의 성향과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탈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15 (15): 623-634, 2017

      28 김경원, "발달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효과적인 꿈나무선발과 육성"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 (20): 250-263, 2009

      29 장호중, "대학운동선수의 진로상담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5 (45): 149-158, 2006

      30 탁은정, "대학운동선수의 역할수행의지와 사회적응기대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6

      31 김경엽, "대학운동선수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과 운동스트레스 및 스포츠탈진과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14 (14): 325-334, 2016

      32 김범준, "대학운동선수들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운동학회 18 (18): 23-33, 2016

      33 이동현, "대학교 운동선수들의 탈진정도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123-130, 2005

      34 윤상화,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탈진과 운동포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5 (15): 593-601, 2017

      35 소영호, "대학 운동선수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 의도 및 행동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175-190, 2013

      36 심향보, "단체종목과 개인종목 운동선수들의 폭력으로 인한 탈진 비교" 한국체육학회 44 (44): 261-270, 2005

      37 최재경,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4 (14): 47-55, 2012

      38 배원호, "고등학교 레슬링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 요인이 운동탈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4 (14): 3-16, 2003

      39 조현익,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대학운동선수의 진로탐색행동 예측" 한국체육과학회 21 (21): 321-335, 2012

      40 Ärztezeitung, "Zwischen Startblock und Medizinlehrbuch"

      41 González, L., "Young athletes' perceptions of coach behaviors and their implications on their well-being and ill-being over time" 30 : 1147-1154, 2015

      42 Smith, R. E., "Toward a cognitive-affective model of athletic burnout" 8 : 36-50, 1986

      43 Kang, K. H., "The study on sports stress and burnout among adolescent athletes" 16 : 77-88, 2009

      44 Yang, J. H., "The study of stress factors on exercise burnout among university athletes" 16 : 23-31, 2010

      45 Kim, K. W., "The selection and promotion of talented children for sports as the basis of elite sports in German Democratic Republic : Search for a effective system of selection and promotion of sports-talented children in Korea" 10 : 139-156, 1998

      46 Maslach, C.,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2 : 99-113, 1981

      47 Lim, I. S., "The influence of athletic stress on burnout due to copy style" 9 (9): 83-100, 1998

      48 Schaufeli, W. B., "The handbook of work and health psychology" Wiley 383-425, 2003

      49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50 Gieck, J., "The burnout syndrome among athletic trainers" 36-41, 1982

      51 Schaufeli, W. B.,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and practice: A critical analysis" Taylor & Francis 1998

      52 Cresswell, S. L., "The athlete burnout syndrome : Possible early warning signs" 7 : 481-487, 2004

      53 Kallus, K. W., "The Recovery-Stress Questionnaires: User Manual" 2016

      54 Cho, K. M., "Survey on the human rights situation of student-athletes"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06

      55 Kim, Y. R., "Support plan for career development of national athletes in academics and sports"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2013

      56 Bäuerle, D., "Supervision in der Sozialpädagogik und Sozialarbeit"

      57 Freudenberger, H. J., "Staff burnout" 30 : 150-165, 1974

      58 Schmidt, G. W., "Sport commitment : A model integrating enjoyment, dropout and burnout" 8 : 254-265, 1991

      59 Sorkkila, M., "Sport burnout inventory-Dual career form for student-athletes: Assessing validity and reliability in a Finnish sample of adolescent athletes" xx : 1-9, 2017

      60 Kim, B. J., "Sources of stress in competitive youth sport in Korea" 9 (9): 33-50, 1998

      61 Kim, B. J., "Sources of enjoyment in competitive youth sport in Korea" 8 (8): 43-60, 1997

      62 Sum, R. K. W., "Social-ecological determinants of elite student athletes' dual career development in Hong Kong and Taiwan"

      63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 68-78, 2000

      64 Salmela-Aro, K., "School Burnout Inventory(SBI) : reliability and validity" 25 : 48-57, 2009

      65 Kim, K. W., "Righteous sports culture and Olympics in Korea" Daehanmedia 82-96, 2019

      66 Jurimae, J., "Relationships among heavy training stress, mood state, and performance for male rowers" 95 : 520-526, 2002

      67 Price, M. S., "Relationships among coach burnout, coach behaviors, and athletes' psychological responses" 14 : 391-409, 2000

      68 Kellmann, M., "Recovery-stress questionnaire for athletes: User manual" Human Kinetics 2001

      69 Stambulova, N. B., "Psychology of athletes' dual career : A state-of-the-art critical review of the European discourse" 42 : 74-88, 2019

      70 Morgan, W. P., "Psychological monitoring of overtraining and staleness" 21 : 107-114, 1987

      71 Capel, S. A., "Psychologic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related to burnout in athletic trainers" 57 : 321-328, 1986

      72 Hewitt, P. L.,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 :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69 (69): 456-470, 1991

      73 Taylor, A. H., "Perceived stress, psychological burnout and paths to turnover intentions among sport officials" 1988

      74 Vallerand, R. J., "Passion in sport : A look at determinants and affective experiences" 28 : 455-478, 2006

      75 Schellenberg, B. J. I., "Passion and coping : Relationships with changes in burnout and goal attainment in collegiate volleyball players" 35 : 270-280, 2013

      76 Curran, T., "Passion and burnout in elite junior soccer players : The mediating role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12 : 655-661, 2011

      77 Trägerverein des Olympiastützpunktes Berlin e.V., "Olympiastützpunkt Berlin: Jahresbericht 2010" 2010

      78 Cresswell, S. L., "Motivation and burnout among top amateur rugby players" 37 : 469-477, 2005

      79 Maslach, C.,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86

      80 Maslach, C.,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96

      81 Erikson, E. H., "Jugend und Krise - Die Psychodynamik im sozialen Wandel" 1988

      82 Raedeke, T. D., "Is athlete burnout more than stress? A commitment perspective" 23 : 281-306, 1997

      83 Erikson, E. H., "Identität und Lebenszyklus" 1993

      84 Stambulova, N. B., "ISSP position stand : Career development and transitions of athletes" 7 : 395-412, 2009

      85 Gustafsson, H., "Handbuch Stressregulation und Sport" Springer-Verlag 486-501, 2016

      86 Eklund, R. C., "Handbook of sport psychology" Wiley 621-641, 2007

      87 Caccese, T. M., "Gender differences in perceived burnout of college coaches" 6 : 279-288, 1984

      88 Coakley, J., "From the outside in : Burnout as an organizational issue" 2 : 35-41, 2009

      89 Tenebaum, G., "Failure adaptation : An investigation of the stress response process in sport" 34 : 27-62, 2003

      90 Wankel, L. M., "Factors underlying enjoyment of youth sports : Sport and age group comparisons" 7 : 51-64, 1985

      91 Katagami, 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athletes' psychological well-being : The correlations among received support, perceived support, and personality" 7 : 1741-1752, 2016

      92 European Commission, "EU guidelines on dual careers of athletes"

      93 Into, S., "Dual career pathway:Relationships between coaching climates and student-athletes'symptoms of burnout in school and sport" Jyväskylä university 2018

      94 Brewer, B. W., "Dimensions of athletic identity" 1993

      95 Raedeke, T. D.,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n athlete burnout measure" 23 : 281-306, 2001

      96 Burisch, M., "Das Burnout-Syndrom. Theorie der inneren Erschöpfung" Springer Verlag 1994

      97 Kim, B. J., "Cross-cultural research strategies in sport psychology" 9 (9): 63-82, 1998

      98 Raedeke, T. D., "Coping resources and athlete burnout : An examination of stress mediated and moderation hypothesis" 26 : 525-541, 2004

      99 Barcza-Renner, K.,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s and athlete burnout :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s of perfectionism and motivation" 38 : 30-44, 2016

      100 Gustafsson, H., "Conceptual confusion and potential advances in athlete burnout research" 123 : 784-791, 2016

      101 Korunka, CH., "Burnout: Definition, recognition and prevention approaches" BOIT(Burnout Intervention Training for Managers and Team Leaders, European Commission) 2010

      102 Ärztezeitung, "Burnout trifft jeden 10. Leistungssportler"

      103 Eklund, R. C., "Burnout in sport and performance"

      104 Goodger, K., "Burnout in sport : A systematic review" 21 : 127-151, 2007

      105 Dale, J., "Burnout in sport : A review and critique" 2 : 67-83, 1990

      106 Kim, K. W., "Burnout in relation to stress types in youth sports" 12 (12): 161-179, 2001

      107 Gould, D., "Burnout in competitive junior tennis player : III.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burnout experience" 11 : 257-276, 1996

      108 Gould, D., "Burnout in competitive junior tennis player : II. Qualitative analysis" 10 : 341-366, 1997

      109 Gould, D., "Burnout in competitive junior tennis player : I. Quantita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10 : 322-340, 1996

      110 Coakley, J., "Burnout among adolescent athelets: A personal failure or a social problem?" 9 : 271-285, 1992

      111 Maslach, C., "Burnout : The cost of caring" Prentice-Hall 1982

      112 Fender, L., "Athletic burnout: A sport adaptat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icroform Publications, College of Human Development and Performance, University of Oregon 1990

      113 DeFreese, J. D., "Athlete social support, negative social interactions, and psychological health across a competitive sport season" 36 : 619-630, 2014

      114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thlete career programme (ACP)"

      115 Gustafsson, H., "Athlete burnout : An integrated model and future directions" 4 : 3-24, 2011

      116 Brewer, B. W., "Atheltic identity: Hercules' muscles or Achilles heel?" 24 : 237-254, 1993

      117 Kellmann, M., "Assessing stress and recovery during preparation for the World Championships in rowing" 15 : 151-167, 2001

      118 Maslach, C.,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 397-422, 2001

      119 Seong, B. J., "An survey study on the Student-athletes'training amount in korea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abroad"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2014

      120 Scanlan, T. K., "An introduction to the Sport Commitment Model" 15 : 1-15, 1993

      121 Scanlan, T. K., "An in-depth study of former elite figure skaters: II. Sources of enjoyment" 11 : 65-83, 1989

      122 Black, J. M., "An examination of Coakley's perspective on identity, control, and burnout among adolescent athletes" 38 : 417-426, 2007

      123 Silva, J. M., "An analysis of the training stress syndrome in competitive athletics" 2 : 5-20, 1990

      124 Kim, K. W., "A theoretical review on an developmental process of identity with sport : From the aspect of pedagogy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37 (37): 131-141, 1998

      125 Song, W. Y., "A study on the causes of burnout and coping strategies of youth athletes" Sungkyunkwan university 1999

      126 Song, W. Y., "A study on burnout level and stress causes of youth athletes" 38 (38): 293-304, 1999

      127 Minghui Li, "A meta-synthesis of elite athletes’ experiences in dual career development" Informa UK Limited 1-19, 2017

      128 Shirom, A., "A comparison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two burnout measures in two groups professionals" 13 : 176-200, 2006

      129 Committee on Sport Innovation, "2019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 recommendation letter of Committee on Sport Innov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7-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체육과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4 0.781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