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의 연구 주제 분석: Latent Dirichlet Allocation을 사용한 Topic Modeling = Research topic analysis of the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 Topic modeling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00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opics of the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through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ESMQ) from 2009 to 2018. The prior topic analysis studies of the ESMQ classified topics based on the key words using NASPE-NASSM SMPS categories. Therefore they couldn't fully reflect the content of the articles. [Methods] The topic modeling of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which generates topics based on the word usage in the article. A total of 265 articles were converted from 'pdf' format to 'txt' ANSI format for topic modeling analysis. The whole topic modeling process was done using R program and the model was set to generate 10 topics from the article. [Results] The 3 sport management experts were hired to label the name of the topics and the name of the topics are as follow : (1) Impact of mega sport event, (2) Cause-related marketing, (3)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of the competition, (4) Managing sport organization, (5) European sport leagues, (6) Strategic management, (7) Sport economics, (8) Sport in communities, (9) Sport consumers, (10) Elite sports. It is not quite possible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current topic modeling results with the previous ones because of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s. However, even though the standards are different, Sport marketing topic showed the largest growth among the 10 topics extracted. [Conclusions] This study used the LDA probabilistic algorithm to analyze research topics, which made the analyses more objective and wholistic. However, the insights of the researchers were still needed to interpret and labeling the topics.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opics of the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through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ESMQ) from 2009 to 2018. The prior topic analysis studies of the ESMQ classified topics based on 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opics of the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through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ESMQ) from 2009 to 2018. The prior topic analysis studies of the ESMQ classified topics based on the key words using NASPE-NASSM SMPS categories. Therefore they couldn't fully reflect the content of the articles. [Methods] The topic modeling of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which generates topics based on the word usage in the article. A total of 265 articles were converted from 'pdf' format to 'txt' ANSI format for topic modeling analysis. The whole topic modeling process was done using R program and the model was set to generate 10 topics from the article. [Results] The 3 sport management experts were hired to label the name of the topics and the name of the topics are as follow : (1) Impact of mega sport event, (2) Cause-related marketing, (3)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of the competition, (4) Managing sport organization, (5) European sport leagues, (6) Strategic management, (7) Sport economics, (8) Sport in communities, (9) Sport consumers, (10) Elite sports. It is not quite possible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current topic modeling results with the previous ones because of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s. However, even though the standards are different, Sport marketing topic showed the largest growth among the 10 topics extracted. [Conclusions] This study used the LDA probabilistic algorithm to analyze research topics, which made the analyses more objective and wholistic. However, the insights of the researchers were still needed to interpret and labeling the top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ESMQ)에서 발간된 논문들의 주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ESMQ에 대한 주제분석이 전무했던 것은 아니지만 실제 어떠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라기보다는 NASPE-NASSM SMPS를 바탕으로 설정한 주제에 각 논문들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주제분석이 이루어졌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단어들이 어떤 단어들과 함께 사용되고 있는가를 바탕으로 주제를 추출하는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기반의 토픽모델링(topic model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PDF파일로 확보한 265개의 논문을 ANSI 형식의 Text File로 변환 시켰으며 분석은 R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이용하였고 topic 수는 10개로 설정하였다. [결과] 10개로 분류된 논문들을 Gamma 수치가 높은 순으로 재정렬하여 각각의 주제를 명명하는데 기준을 삼았는데 각각의 주제는 (1) Impact of mega sport event, (2) Cause-related marketing, (3)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of the competition, (4) Managing sport organization, (5) European sport leagues, (6) Strategic management, (7) Sport economics, (8) Sport in communities, (9) Sport consumers, (10) Elite sports로 명명되었다. 선행연구의 분류기준과 본 연구의 분류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두 개의 연구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분류기준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Sport marketing 주제 영역은 여타의 주제들에 비해 가장 큰 양적 성장이 있던 연구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객관적이고 명확한 주제분석을 위하여 LDA 확률모델 알고리즘의 토픽모델링 기법이 적용되었으나 연구자의 통찰력은 여전히 필요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토픽 수로 분석하여 비교하거나 데이터의 전처리 여부에 따른 주제 추출 결과 비교를 통해 주제분석의 객관성 확보에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ESMQ)에서 발간된 논문들의 주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ESMQ에 대한 주제분석이 전무했던 것은 아니지만 실제 어떠한 연...

      [목적]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ESMQ)에서 발간된 논문들의 주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ESMQ에 대한 주제분석이 전무했던 것은 아니지만 실제 어떠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라기보다는 NASPE-NASSM SMPS를 바탕으로 설정한 주제에 각 논문들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주제분석이 이루어졌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단어들이 어떤 단어들과 함께 사용되고 있는가를 바탕으로 주제를 추출하는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기반의 토픽모델링(topic model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PDF파일로 확보한 265개의 논문을 ANSI 형식의 Text File로 변환 시켰으며 분석은 R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이용하였고 topic 수는 10개로 설정하였다. [결과] 10개로 분류된 논문들을 Gamma 수치가 높은 순으로 재정렬하여 각각의 주제를 명명하는데 기준을 삼았는데 각각의 주제는 (1) Impact of mega sport event, (2) Cause-related marketing, (3)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of the competition, (4) Managing sport organization, (5) European sport leagues, (6) Strategic management, (7) Sport economics, (8) Sport in communities, (9) Sport consumers, (10) Elite sports로 명명되었다. 선행연구의 분류기준과 본 연구의 분류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두 개의 연구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분류기준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Sport marketing 주제 영역은 여타의 주제들에 비해 가장 큰 양적 성장이 있던 연구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객관적이고 명확한 주제분석을 위하여 LDA 확률모델 알고리즘의 토픽모델링 기법이 적용되었으나 연구자의 통찰력은 여전히 필요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토픽 수로 분석하여 비교하거나 데이터의 전처리 여부에 따른 주제 추출 결과 비교를 통해 주제분석의 객관성 확보에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형일, "토픽모델링을 사용한 Journal of Sport Management의 연구 주제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4 (24): 19-33, 2019

      2 김애랑, "스포츠경영학의 연구동향 비교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와 북미스포츠경영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8 (18): 17-28, 2013

      3 Van Doren, C. S., "Where it's at : A content analysis and appraisal of th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5 (5): 67-73, 1973

      4 권형일, "What is on the Journal of Sport Management? The most popular topics and contexts in the last decade"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2 (32): 231-241, 2008

      5 Slack, T., "Understanding sport organization: The application of organization theory" Human Kinetics 2006

      6 Parkhouse, B. L., "The management of sport: Its foundation and application" McGraw-Hill 2005

      7 Sport Management Program Review Council, "Sport management program standards and review protocol" national association for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and northern American society for sport management 2000

      8 Ciomaga, B., "Sport management : A bibliometric study on central themes and trends" 13 (13): 557-578, 2013

      9 Blei, D., "Probabilitic topic models" 55 (55): 77-84, 2012

      10 DiMaggio, P., "Exploiting affinities between topic modeling and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on culture : Application to newspaper coverage of US government arts funding" 41 (41): 570-606, 2013

      1 권형일, "토픽모델링을 사용한 Journal of Sport Management의 연구 주제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4 (24): 19-33, 2019

      2 김애랑, "스포츠경영학의 연구동향 비교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와 북미스포츠경영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8 (18): 17-28, 2013

      3 Van Doren, C. S., "Where it's at : A content analysis and appraisal of th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5 (5): 67-73, 1973

      4 권형일, "What is on the Journal of Sport Management? The most popular topics and contexts in the last decade"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2 (32): 231-241, 2008

      5 Slack, T., "Understanding sport organization: The application of organization theory" Human Kinetics 2006

      6 Parkhouse, B. L., "The management of sport: Its foundation and application" McGraw-Hill 2005

      7 Sport Management Program Review Council, "Sport management program standards and review protocol" national association for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and northern American society for sport management 2000

      8 Ciomaga, B., "Sport management : A bibliometric study on central themes and trends" 13 (13): 557-578, 2013

      9 Blei, D., "Probabilitic topic models" 55 (55): 77-84, 2012

      10 DiMaggio, P., "Exploiting affinities between topic modeling and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on culture : Application to newspaper coverage of US government arts funding" 41 (41): 570-606, 2013

      11 Pitts, B., "Examining the body of knowledge in sport management : A content analysis of the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 (2): 33-52, 2005

      12 Parks, J. B., "Contemporary Sport Management" Human Kinetics 1998

      13 "Clarivate Analytics"

      14 Shilbury, D., "Assessing sport management journals : A multi-dimensional examination" 10 : 31-44, 2007

      15 ESMQ, "Aims and scope"

      16 Chang, J., "Advances in N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88-296, 2009

      17 CABS, "Academic Journal Guide 2018"

      18 Pitts, B., "A content analysis of the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 and its predecessor the European Journal for Sport Management : 1984-2012" 10 (10): 45-72, 2014

      19 Shilbury, D., "A bibliometric analysis of four sport management journals" 14 (14): 434-45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7-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체육과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4 0.781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