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부생 대상 교양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항목 분석 연구 = Analysis of the cultural items on the college Korean textbooks for foreign undergradu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8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이 교양 한국어 교재 텍스트에서 어떠한 문화 항목을 접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반영할 수 있는 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이 교양 한국어 교재 텍스트에서 어떠한 문화 항목을 접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반영할 수 있는 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대상은 외국인 학부생들이 수강하는 교양 한국어 강의에서 사용되는 4종의 교재였다. 문화 항목 분석의 기준은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에서 제시된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의 문화 범주를 변형한 것이었다. 분석 결과 4종의 교양 한국어 교재에서는 한국 사회, 한국의 예술과 문학, 한국인의 생활, 한국인의 가치관, 한국의 문화유산, 한국의 역사, 외국인의 한국생활의 순으로 문화 항목이 비중을 두고 다루어지고 있었다. 교양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항목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서 학교생활에 대한 문화 항목이 보다 중점을 두고 다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범주의 문화 내용이 다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인의 입장에서 본 문화만이 아니라 외국인의 입장에서 본 문화 항목 또한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 전통 문화의 경우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비계 역시 제시되어야 함을 밝혔다. 아울러 교재에서는 문화 항목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문화를 향유함에 있어 비판적 사고를 키우며, 상호문화주의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활동이 제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Korean learners through analyzing cultural items in the college Korean textbooks. And so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ultural education for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Korean learners through analyzing cultural items in the college Korean textbooks. And so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Korean textbooks. The objects of the analysis are four types of textbooks that are used by academic Korean learners in the College Korean courses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modification of the cultural categori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presented in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ized model for international availabi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ultural items in the textbooks were dealt with in the order of Korean society, Korean art and literature, Korean life, Korean values, Korean cultural heritage, Korean history and foreigner`s life in Korea.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cultural items about school life need to be treated more sufficiently in academic Korean textbooks and various categories of cultural contents should be addressed. In addition, it emphasized that cultural items should be presented not only from local people`s viewpoint but also from foreigners` viewpoint. And that it needs to include traditional cultural items along with the scaffolding to aid the learner`s understanding. It also suggested that the textbook should not only provide information on cultural items but also provide activities which can raise critical thinking in enjoyment of the culture and enhance intercultural compet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배, "호주 대학의 한국어 교재 개선 방향: 초급단계의 문화내용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67-284, 2007

      2 이해영,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 사회문화 교재 개발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09-230, 2006

      3 이정희,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환경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 Byram(1997)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64) : 121-156, 2016

      4 김서형, "한국어 수행 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 연구 - 학부 유학생을 위한 교양 과목 개설 요구 조사 -" 한국어학회 44 : 83-109, 2009

      5 강승혜,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9 (9): 1-38, 2012

      6 강승혜, "한국문화 교육론" 형설출판사 2010

      7 황설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항목 선정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253-273, 2013

      8 란천우, "중국유학생을 위한 초급 한국어 문화 교재 구성 방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9 박춘연,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문화 교육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75-195, 2010

      10 이광재, "중국 내 대학생용 한국문학교재 개발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1 : 191-206, 2006

      1 이동배, "호주 대학의 한국어 교재 개선 방향: 초급단계의 문화내용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67-284, 2007

      2 이해영,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 사회문화 교재 개발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09-230, 2006

      3 이정희,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환경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 Byram(1997)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64) : 121-156, 2016

      4 김서형, "한국어 수행 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 연구 - 학부 유학생을 위한 교양 과목 개설 요구 조사 -" 한국어학회 44 : 83-109, 2009

      5 강승혜,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9 (9): 1-38, 2012

      6 강승혜, "한국문화 교육론" 형설출판사 2010

      7 황설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항목 선정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253-273, 2013

      8 란천우, "중국유학생을 위한 초급 한국어 문화 교재 구성 방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9 박춘연,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문화 교육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75-195, 2010

      10 이광재, "중국 내 대학생용 한국문학교재 개발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1 : 191-206, 2006

      11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외국인을 위한 글쓰기 교재편찬위원회, "유학생을 위한 대학 글쓰기" 역락 2013

      12 한양대학교 교양국어교육위원회, "외국인을 위한 말하기" 한양대학교출판부 2013

      13 한양대학교 교양국어교육위원회, "외국인을 위한 글쓰기" 한양대학교출판부 2013

      14 이유경,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155-188, 2016

      15 Brown, H. D,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 Pearson Education Korea 2007

      16 강현화, "문화교수의 쟁점을 통해서 본 문화교수의 방향성 모색"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7 (7): 1-30, 2010

      17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외국인을 위한 글쓰기 교재편찬위원회, "나를 위한 글쓰기" 에쎄 2012

      18 김중섭,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 0.71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