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은 보호받는 아동의 시기를 벗어나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며,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성숙 과정에 있다. 청소년 선교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02980
서울 :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 신학과 , 2009. 8
2009
한국어
서울
v, 91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청소년은 보호받는 아동의 시기를 벗어나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며,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성숙 과정에 있다. 청소년 선교는 ...
청소년은 보호받는 아동의 시기를 벗어나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며,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성숙 과정에 있다. 청소년 선교는 청소년이 안고 있는 문제, 즉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특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들을 해결해 주며, 바람직한 그리스도인이 되도록 돕는 일이다. 특별히 학원 선교는 단순히 복음을 증거하는 것 이상으로 청소년으로 하여금 그 주변 환경에 있는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전인격적인 만남을 통하여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도록 하고, 개인이 하나님을 영접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복음을 증거하는 일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서울삼육고등학교에서는 각종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선교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본 논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신앙 실태를 살펴보고 연구하였다. 학생들이 종교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시기는 중․고등학교 시절이며, 중학교보다 고등학교가 비율이 더 높다. 그러므로 학원 선교를 신앙의 정체성 유지와 신앙의 결심은 고등학교시기에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서울삼육고등학교 선교 실태와 학생들의 신앙 실태를 종합하여 서울삼육고등학교 선교를 위한 선교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신앙을 받아드릴 수 있는 프로그램과 활동들이 준비되어야 한다. 많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신앙을 선택하고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스스로 활동할 수 있는 동아리, 기도모임, 봉사활동, 선교모임 등 구체적인 장을 마련해 주고, 이를 통하여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하나님께 다가 갈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이 신앙의 강요하는 듯한 모습을 많이 가지지만, 정작 신앙적 영향력을 끼치지 못하는 교사들에 대한 선교적 교육이 필요하다. 교사들은 스스로 학생들과 인격적인 만남의 장을 만들 수 있는 노력해야 하며, 교사의 개인적인 신앙뿐만 아니라 각 이수 과목에 대한 신앙적 접목을 통한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강요의 주체로 느끼는 교사들과 목회자에 대해서, 교사와 학생, 목회자와 학생 간의 중재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다수의 학생전도사나 교육전도사, 청소년지도사, 또는 기타 인력이 충원되어야 할 것이다. 인력충원은 학생과 목회자 교사 간의 중재 역할뿐만 아니라 목회자 1인당 학생 수를 적정수준에 있도록 하고 선교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넷째, 학생 제자양육 등 인재 양성을 강화해야 한다. 청소년들은 또래집단의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같은 학년의 학생이 다른 학생에게 전도하며, 특별히 선배가 후배에게 신앙을 전수 해 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교회와 밀접한 연계를 가진 선교활동이 필요하다. 지역교회는 수동적 입장이 아닌 주체성을 가지고 학원 선교에 임하여야 하며, 학교는 지역교회가 적극성을 가지고 학원 선교에 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모든 선교적 활동과 프로그램에 학교의 행정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학교의 교사들에 대한 인사권과 행정을 총괄하고 있는 학교장의 신앙적 결심과 선택은 서울삼육고등학교의 선교의 총체적인 역할을 좌우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시된 선교방안에 대한 학교차원의 이해와 행정적 지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들은 우리와 멀리 떨어져 있는 존재들이 아니라 바로 곁에 있는 존재들이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예수님의 사랑을 나누어주어야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따라서 청소년을 지도하고 선교하기 위해서는 일선의 청소년 지도자들의 각성과 노력뿐만 아니라 재림교회의 지도자들의 정책적 지원과 장기적인 비전과 장기적인 투자, 그리고 재림교회의 기성세대의 적극적인 관심만이 청소년 선교의 힘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본 교단의 지도자들이 이러한 총괄적인 청소년 선교를 연구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청소년 전담 선교팀 또는 위원회를 구성 운영해야 한다고 보며, 이를 통한 지속적, 전문적, 효과적, 그리고 미래지향적인 청소년 선교 사업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