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교육에 대한 하나의 정책 제안  :  불교적 지혜를 통한 선적 심성정화법 = A Proposal of Educational Policy through Seon(禪) Buddhistic Tra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20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tains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overview of the main ideas and policies currently used at the intersection of neoliberalism and competitive ideology in Korean education. The idea that neoliberalism, in the modern tradition, has something to offer to the educational motto is the time-serial succession of "a view of individuality as a congregation of self-interests that leads to the exploitation of other people and the environment." However, this paradigm sometimes puts a negative light on our education. It also pushes the dark lines of phenomenon to two effects: mapping out some terrain in connection with the malfunctions of over-competition and over-performance in education. This essay is revelatory of both Seon (禪) Buddhism, in its attempts to understand how Buddhistic meditation and the Hwadu (話頭) method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the self-cleaning system, and Seon (禪) Buddhists who want to integrate how they can use wisdom in lived experiences of everyday life.
      번역하기

      This paper contains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overview of the main ideas and policies currently used at the intersection of neoliberalism and competitive ideology in Korean education. The idea that neoliberalism, in the modern tradition, has someth...

      This paper contains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overview of the main ideas and policies currently used at the intersection of neoliberalism and competitive ideology in Korean education. The idea that neoliberalism, in the modern tradition, has something to offer to the educational motto is the time-serial succession of "a view of individuality as a congregation of self-interests that leads to the exploitation of other people and the environment." However, this paradigm sometimes puts a negative light on our education. It also pushes the dark lines of phenomenon to two effects: mapping out some terrain in connection with the malfunctions of over-competition and over-performance in education. This essay is revelatory of both Seon (禪) Buddhism, in its attempts to understand how Buddhistic meditation and the Hwadu (話頭) method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the self-cleaning system, and Seon (禪) Buddhists who want to integrate how they can use wisdom in lived experiences of everyday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현행 우리 교육이 제도적으로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이다. 본래 제도는 교육정책의 지남에 따라서 운용의 방향성이 달라진다. 이 와중에서 현행 교육정책의 핵심적인 열쇠말인 교육에서의 경쟁과 그에 따라 부수적으로 파생하는 경쟁주의와 성과주의의 적폐를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물론 이것들은 신자유주의라는 배경에 기반하고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교육정책상의 과도한 경쟁요구는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아이들에게 고도의 긴장과 심성적 피폐를 부추길 가능성이 농후하다. 실제로 요즈음 학교에서 아이들의 도를 넘는 부적절한 행동은 교육에서 심각한 문제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로 나아가는 하나의 정책 제안이 이 글의 주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여기서는 선불교의 전통을 주목하고 그 속에 녹아들어가 있는 명상법과 화두법을 교육적으로 검토했다. 이것들은 아이들의 심성을 정화하고 경쟁에 지친 그들의 마음을 내면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탁월한 교육적 장치인데, 이것을 불교적인 지혜교육의 패러다임으로 판단하고 이것에 대한 논의의 구성틀을 여기에다 세워두었다. 그러면서 앞으로 교육에서 지식과 지혜가 상호 대립하는 이분법이 아니라 둘이 조화하고 상생하는 대대법으로 보고 그렇게 하기 위한 양자 간의 상호 협력과 공존의 묘안을 교육적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정책 방향을 이 안에 제시해 놓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현행 우리 교육이 제도적으로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이다. 본래 제도는 교육정책의 지남에 따라서 운용의 방향성이 달라진다. 이 와중에서 현행 교육정책의 핵심적인 ...

      이 글은 현행 우리 교육이 제도적으로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이다. 본래 제도는 교육정책의 지남에 따라서 운용의 방향성이 달라진다. 이 와중에서 현행 교육정책의 핵심적인 열쇠말인 교육에서의 경쟁과 그에 따라 부수적으로 파생하는 경쟁주의와 성과주의의 적폐를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물론 이것들은 신자유주의라는 배경에 기반하고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교육정책상의 과도한 경쟁요구는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아이들에게 고도의 긴장과 심성적 피폐를 부추길 가능성이 농후하다. 실제로 요즈음 학교에서 아이들의 도를 넘는 부적절한 행동은 교육에서 심각한 문제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로 나아가는 하나의 정책 제안이 이 글의 주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여기서는 선불교의 전통을 주목하고 그 속에 녹아들어가 있는 명상법과 화두법을 교육적으로 검토했다. 이것들은 아이들의 심성을 정화하고 경쟁에 지친 그들의 마음을 내면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탁월한 교육적 장치인데, 이것을 불교적인 지혜교육의 패러다임으로 판단하고 이것에 대한 논의의 구성틀을 여기에다 세워두었다. 그러면서 앞으로 교육에서 지식과 지혜가 상호 대립하는 이분법이 아니라 둘이 조화하고 상생하는 대대법으로 보고 그렇게 하기 위한 양자 간의 상호 협력과 공존의 묘안을 교육적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정책 방향을 이 안에 제시해 놓았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