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고령 자가거주가구의 주택다운사이징 요인 = Determinants of Housing Downsizing among the Older Homeow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49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혼인 상태, 교육 수준 등 인구학적 특성과 소득, 소득 변화, 주택자산, 금융자산 등 경제적 특성, 상속 관련 특성 등이 중고령 자가거주가구의 주택다운사이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를 하기 시작함에 따라 한국에서 중고령가구의 주거 선택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Ando and Modigliani(1963)의 생애주기가설은 중고령가구가 은퇴 이후의 소득 감소를 보충하기 위하여 축적한 주택지분을 현금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후에 진행된 다른 학자들의 연구는 중고령 가구가 주택자산이 많고 소득이 적을 때조차도 주택자산을 그대로 보유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주택자산가치의 감소로 정의되는 주택다운사이징의 결정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단데이터인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lS)를 활용하였다. 생애주기가설의 예측과는 대조적으로, 프로빗 및 네스티드 로짓 모형의 실증분석에서 소득 관련 변수는 주택다운사이징을 결정함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주택자산은 주택다운사이징 확률을 낮추는 것으로 추정되어 유산상속동기가 작동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배우자 사망 또는 이혼 등 인구학적 변화는 주택다운사이징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생애주기가설보다는 상속동기 등 대안가설들을 오히려 더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혼인 상태, 교육 수준 등 인구학적 특성과 소득, 소득 변화, 주택자산, 금융자산 등 경제적 특성, 상속 관련 특성 등이 중고령 자가거주가구의 주택다운사이징에 미치는 영향을 분...

      본 연구는 혼인 상태, 교육 수준 등 인구학적 특성과 소득, 소득 변화, 주택자산, 금융자산 등 경제적 특성, 상속 관련 특성 등이 중고령 자가거주가구의 주택다운사이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를 하기 시작함에 따라 한국에서 중고령가구의 주거 선택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Ando and Modigliani(1963)의 생애주기가설은 중고령가구가 은퇴 이후의 소득 감소를 보충하기 위하여 축적한 주택지분을 현금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후에 진행된 다른 학자들의 연구는 중고령 가구가 주택자산이 많고 소득이 적을 때조차도 주택자산을 그대로 보유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주택자산가치의 감소로 정의되는 주택다운사이징의 결정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단데이터인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lS)를 활용하였다. 생애주기가설의 예측과는 대조적으로, 프로빗 및 네스티드 로짓 모형의 실증분석에서 소득 관련 변수는 주택다운사이징을 결정함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주택자산은 주택다운사이징 확률을 낮추는 것으로 추정되어 유산상속동기가 작동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배우자 사망 또는 이혼 등 인구학적 변화는 주택다운사이징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생애주기가설보다는 상속동기 등 대안가설들을 오히려 더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standing the housing choice of the older homeowners is important in Korea as the baby boom generation begins to retire en masse. The life-cycle hypothesis proposed by Ando and Modigliani(1963) implies that the older household would draw from the accumulated housing equity to supplement decreased income. However, later studies found a tendency among the older households to hold onto their houses even when they are house-rich and income-poor. This study utilizes a longitudinal data set(KRel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the housing downsizing defined as the decreased housing equity. Contrary to the prediction of the life-cycle hypothesis, our analyses show that income variabl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housing downsizing. However, housing wealth reduces the probability of downsizing, implying the bequest motive. Demographic changes such as death of spouse or divorce increase the likelihood of housing downsizing. Overall, our analyses supports the alternative hypotheses rather than the life-cycle hypothesis.
      번역하기

      Understanding the housing choice of the older homeowners is important in Korea as the baby boom generation begins to retire en masse. The life-cycle hypothesis proposed by Ando and Modigliani(1963) implies that the older household would draw from the ...

      Understanding the housing choice of the older homeowners is important in Korea as the baby boom generation begins to retire en masse. The life-cycle hypothesis proposed by Ando and Modigliani(1963) implies that the older household would draw from the accumulated housing equity to supplement decreased income. However, later studies found a tendency among the older households to hold onto their houses even when they are house-rich and income-poor. This study utilizes a longitudinal data set(KRel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the housing downsizing defined as the decreased housing equity. Contrary to the prediction of the life-cycle hypothesis, our analyses show that income variabl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housing downsizing. However, housing wealth reduces the probability of downsizing, implying the bequest motive. Demographic changes such as death of spouse or divorce increase the likelihood of housing downsizing. Overall, our analyses supports the alternative hypotheses rather than the life-cycle hypothe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 Ⅲ. 주택다운사이징 모형 및 가설
      • Ⅳ. 실증분석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 Ⅲ. 주택다운사이징 모형 및 가설
      • Ⅳ. 실증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호, "환경친화적 산지이용을 위한 환경생태적 계획 연구- 양평군 한화리조트 및 주변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105-120, 2006

      2 조주현,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부동산 시장구조 변화" 한국부동산연구원 21 (21): 5-26, 2011

      3 김용진, "유산상속 의향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한국주택학회 21 (21): 83-103, 2013

      4 이창무, "아파트임대시장의 전월세전환율 결정구조" 한국주택학회 17 (17): 213-229, 2009

      5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베이비붐세대 은퇴에 따른 주택시장변화" 2011

      6 홍공숙, "미국노인의 유산상속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13 (13): 45-55, 1995

      7 고진수, "노년가구의 주거소비 특성 - 연령, 건강, 독거효과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35-247, 2012

      8 정의철, "고연령 소유가구의 주거이동 및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한국주택학회 21 (21): 37-60, 2013

      9 정의철, "고연령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변화 결정요인 분석: 55세 이상 자가점유 가구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77 : 119-136, 2013

      10 김준형, "고령화와 주택시장: 은퇴 전후 주택소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7 (17): 59-71, 2011

      1 김정호, "환경친화적 산지이용을 위한 환경생태적 계획 연구- 양평군 한화리조트 및 주변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105-120, 2006

      2 조주현,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부동산 시장구조 변화" 한국부동산연구원 21 (21): 5-26, 2011

      3 김용진, "유산상속 의향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한국주택학회 21 (21): 83-103, 2013

      4 이창무, "아파트임대시장의 전월세전환율 결정구조" 한국주택학회 17 (17): 213-229, 2009

      5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베이비붐세대 은퇴에 따른 주택시장변화" 2011

      6 홍공숙, "미국노인의 유산상속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13 (13): 45-55, 1995

      7 고진수, "노년가구의 주거소비 특성 - 연령, 건강, 독거효과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35-247, 2012

      8 정의철, "고연령 소유가구의 주거이동 및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한국주택학회 21 (21): 37-60, 2013

      9 정의철, "고연령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변화 결정요인 분석: 55세 이상 자가점유 가구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77 : 119-136, 2013

      10 김준형, "고령화와 주택시장: 은퇴 전후 주택소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7 (17): 59-71, 2011

      11 윤희숙, "가구 유형과 공적연금 수급 여부를 고려한 고령층 빈곤과 자산 분포 현황" (254) : 2013

      12 통계청, "가계금융ㆍ복지조사" 2012

      13 Yaari, M.E, "Uncertain Lifetime, Life Insurance and the Theory of the Consumer" 32 : 137-150, 1965

      14 Jones, L, "The Tenure Transition Decision For Elderly Homeowners" 41 : 243-263, 1997

      15 Kotlikoff, I.T,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Transfers in Aggregate Capital Accumulation" 706-732, 1981

      16 Faulkner, D, "The Older Population and Changing Housing Careers: Implications for Housing Provision" 26 (26): 152-156, 2007

      17 Ando, A, "The Life-Cycle Hypothesis of Saving: Aggregate Implications and Tests" 53 (53): 55-84, 1963

      18 Sheiner, L, "The Housing Wealth of the Aged"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93

      19 Banks, J, "The Economics of Aging" University of Chicago 2010

      20 Feinstein, J, "The Economics of Aging" University of Chicago 9-48, 1989

      21 Venti, S.F, "The Economics of Aging" University of Chicago 9-48, 1989

      22 Thorns, D, "The Creation and Transfer of Housing Wealth: the Experience of Elderly New Zealanders" 12 (12): 242-252, 1994

      23 McMullen, P, "Retirement Villages: Will the Current Product Satisfy Baby Boomer Needs" 1 (1): 28-32, 2007

      24 Tastiramos, K, "Residential Mobility and Housing Adjustment of Older Household in Europe" IZA 2006

      25 Hurd, M.D, "Research on the Elderly: Economic Status, Retirement, and Consumption and Saving" 28 (28): 565-637, 1990

      26 Luborsky, M, "Refashioning One's Place in Time: Stories of Household Downsizing in Later Life" 25 (25): 243-252, 2011

      27 Megbolugbe, I, "Oh, Yes, the Elderly Will Reduce Equity under the Right Circumstances" 8 (8): 53-74, 1997

      28 Canner, G, "Mortgage Refinancing in 2001 and early 2002" Federal Reserve Bulletin Desember 469-481, 2002

      29 Artle, R, "Life Cycle Consumption and Homeownership" 18 : 38-58, 1978

      30 Berheim, B.D, "How Strong Are Bequest Motives" 99 (99): 899-927, 1991

      31 Lehnert, A, "Housing, Consumption, and Credit Constraints" Federal Reserve Board 2004

      32 Bostic, R, "Housing Wealth, Financial Wealth, and Consumption: New Evidence from Micro Data" 39 : 79-89, 2009

      33 Costa-Font, J, "Housing Wealth and Housing Decisions in Old Age: Sale and Reversion" 25 (25): 375-395, 2010

      34 Painter, G, "Housing Tenure Transitions of Older Household: Life Cycle Demographic, and Familial Factors" 39 : 749-760, 2009

      35 McFadden, D, "Frontiers in Econometrics" Academic Press 1974

      36 Judd, B, "Downsizing amongst Older Australians" Australian Housing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2012

      37 Chiuri, M.C, "Do the Elderly Reduce Housing Equity? An international comparison" 23 (23): 643-663, 2010

      38 Munnell, A, "Do People Plan to Tap Their Home Equity in Retirement" Center for Retirement Research: Boston College 2007

      39 Bradbury, B, "Asset Rich, but Income Poor: Australian Housing Wealth and Retirement in an International Context"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Families, Housing, Community Services and Indigenous Affairs 2010

      40 Barro, R.J, "Are Government Bonds Net Wealth" 82 : 1095-1120, 1974

      41 Levin, L, "Are Assets Fungible? Testing the Behavioral Theory of Life-Cycle Savings" 36 : 59-83, 1998

      42 Thaler, R.H, "Anomalies Savings, Fungibility, and Mental Accounts" 4 (4): 193-205, 1990

      43 신승우, "An Empirical Study on the Choice of Residential Mortgage Lender by Korean Households" 한국주거환경학회 6 (6): 241-251, 2008

      44 Olsberg, D, "Ageing in Place: Intergenerational and Intrafamilial Housing Transfers and Shifts in Later Life" AHURI 2005

      45 Skinner, J.S, "Advances in the Economics of Aging" University of Chicago 241-272, 1996

      46 VanderHart, P.G, "A Binomial Probit Analysis of the Home Equity Decisions of Elderly Homeowners" 15 : 299-323, 1993

      47 한국주택금융공사, "2012년도 주택연금 수요실태 조사"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4-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For Housing Policy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5 2.12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