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은 조선의 상수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 문헌이다. 이 논문은 조선의 『역학계몽』 관련 연구들 가운데,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를 살펴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42336
2011
Korean
상수역학 ; 상수학 ; 퇴계 ; 이황 ; 역학 ; 조선시대 ; 역학계몽 ; 계몽전의 ; 퇴계학파 ; Yi Xue Qi Meng ; Qi Meng Zhuan Yi ; the Image-Number Theory ; the Shcool of Toegye ; Chosun period
KCI등재
학술저널
261-300(40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은 조선의 상수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 문헌이다. 이 논문은 조선의 『역학계몽』 관련 연구들 가운데,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를 살펴본 ...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은 조선의 상수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 문헌이다. 이 논문은 조선의 『역학계몽』 관련 연구들 가운데,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를 살펴본 것이다. 이황(李滉)의 『계몽전의(啓蒙傳疑)』는 조선의 『역학계몽』 관련 저작 가운데 최초의 본격적 연구서라 할 수 있으며, 이 저작은 특히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본고에서는 이황이 『계몽전의』를 저술한 문제의식이 무엇이며, 『계몽전의』에서 다룬 주요 쟁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그것이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밝힌다. 그리하여 퇴계학파 『역학계몽』 이해의 종합적 특징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학계몽』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도모하였던 이황의 태도는 후세의 연구자들에게도 일관된 모습으로 드러나며, 주석들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고자 하는 연구방식 역시 동일하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는 『계몽전의』를 묵수하거나 옹호하는데 있지 않으며, 『계몽전의』를 통하여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을 다시 쟁점화하고, 그에 대한 조선의 선배학자들의 견해를 검토하며 자신의 견해를 제시한다. 이렇게 『계몽전의』를 중심으로 연구사의 축적을 통해 『역학계몽』 이해의 완전성을 추구해가는 모습은 다른 학파와 구별되는 퇴계학파 『역학계몽』 연구의 특징이라 할 것이다.
『계몽전의』에 나타난 태극논의는 이황이 상수학(象數學)을 통하여서도 리(理)의 필연성과 주재력을 확보하고자 하였음을 보여주며, 이는 『계몽전의』 가상수학 저술이지만 그 안에 이학적(理學的) 관심이 내재하였음을 의미한다. 다만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서는 이학적 관심이 뚜렷한 경우와, 이학적 관심과는 별도로 도수적(度數的) 연구에 치중한 경우로 나뉨을 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19세기 저작들에서 뚜렷이 드러나며 이는 퇴계학파 안에 내재하던 하나의 흐름이 19세기에 이르러 결실을 맺은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Zhu Xi’s Yi Xue Qi Meng(『易學啓蒙』) is the core text in understanding the Image-Number(象數) Theory of Chosun Dynasty. Among the literature on Yi Xue Qi Meng during Chosun perio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work of the school of Toegye (...
Zhu Xi’s Yi Xue Qi Meng(『易學啓蒙』) is the core text in understanding the Image-Number(象數) Theory of Chosun Dynasty. Among the literature on Yi Xue Qi Meng during Chosun perio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work of the school of Toegye (退溪). Yi Hwang’s Qi Meng Zhuan Yi (『啓蒙傳疑』) is known as the first full-scale research work of Yi Xue Qi Meng written in Chosun period. It also had tremendous influence upon the subsequent research of Yi Xue Qi Meng in Chosun. This article has three aims: it (ⅰ) examines Yi Hwang’s motivation of writing Qi Meng Zhuan Yi, (ⅱ) spells out the main issues appearing in Qi Meng Zhuan Yi, and (ⅲ) investigates how it affects the subsequent study of Yi Xue Qi Meng performed by the followers of Toegye. As a result, this article will reveal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Yi Xue Qi Meng research performed by the school of Toegye.
Just as Yi Hwang, his followers sought perfect understanding of Yi Xue Qi Meng while resolving the inconsistencies among the annotations of the text. In doing so, they did not merely keep to Qi Meng Zhuan Yi. Rather, they raised questions on the unresolved issues in the text, examined the predecessors’ views on them, and developed their own solutions. Their work is distinct in that they pursued the perfection in understanding Yi Xue Qi Meng by means of accumulating research on Qi Meng Zhuan Yi.
The discussion of Tai-Ji (太極) in Qi Meng Zhuan Yi reveals that Yi Hwang intended to establish the necessity and predominance of Li (理) even in his theory of Image and Number (象數學), which suggests that Qi Meng Zhuan Yi embraces the subjects of Neo-Confucianism, though it is primarily a work of image-number theory. Later the analyses of Yi Xue Qi Meng diverged among the followers of Toegye: some took an interest in the theory of Li while others concentrated on the study of nature. In particular, the theoretical traits of the latter are conspicuous in their work in the 19th century, which suggests that one stream of Toegye School bore fruit in the 19th centu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盧景任, "「易學啓蒙說」『敬菴先生集』 권3(규장각 奎4704-v.1-3)"
2 李秉遠, "「啓蒙記疑」『所菴文集』(한국경학자료집성 27책)"
3 李震相, "「啓蒙疑義」『寒州集 』권29(한국문집총간)"
4 柳徽文, "「啓蒙攷疑」『好古窩別集』(한국경학자료집성 26책)"
5 李徽逸, "「啓蒙圖說」『存齋文集』(한국경학자료집성 6책)"
6 裵龍吉, "「啓蒙傳疑考義」 『琴易堂先生文集 』권4(한국문집총간 62책)"
7 裵相說, "「啓蒙傳疑攷疑」『槐潭遺稿』(한국경학자료집성 23책)"
8 엄연석, "퇴계학파의 의리역학적 목표와 상수역학"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규장각) 26 : 2003
9 김익수, "퇴계의 역학관:‘明蓍策’론을 중심으로" 2002
10 이윤희, "퇴계 계몽전의 역주2"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994
1 盧景任, "「易學啓蒙說」『敬菴先生集』 권3(규장각 奎4704-v.1-3)"
2 李秉遠, "「啓蒙記疑」『所菴文集』(한국경학자료집성 27책)"
3 李震相, "「啓蒙疑義」『寒州集 』권29(한국문집총간)"
4 柳徽文, "「啓蒙攷疑」『好古窩別集』(한국경학자료집성 26책)"
5 李徽逸, "「啓蒙圖說」『存齋文集』(한국경학자료집성 6책)"
6 裵龍吉, "「啓蒙傳疑考義」 『琴易堂先生文集 』권4(한국문집총간 62책)"
7 裵相說, "「啓蒙傳疑攷疑」『槐潭遺稿』(한국경학자료집성 23책)"
8 엄연석, "퇴계학파의 의리역학적 목표와 상수역학"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규장각) 26 : 2003
9 김익수, "퇴계의 역학관:‘明蓍策’론을 중심으로" 2002
10 이윤희, "퇴계 계몽전의 역주2"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994
11 이윤희, "퇴계 계몽전의 역주1"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993
12 박권수, "조선후기 象數易學의 발전과 변동" 한국사상사학회 (22) : 277-303, 2004
13 엄연석, "이황의 『啓蒙傳疑』와 상수역학" 한국사상문화학회 11 : 2001
14 김상섭, "역학계몽" 예문서원 1994
15 김진근, "역학계몽" 청계 2008
16 엄연석, "사미헌의 『역학계몽』과 그 역철학적 특징" 영남문화연구원 (16) : 331-375, 2009
17 김인철, "退溪와 芝山의 『周易』 解釋" 퇴계연구소 (36) : 5-30, 2005
18 金 楷, "『易學啓蒙覆繹』(한국경학자료집성 6책)"
19 "『性理大全』 권14-권17, In 『易學啓蒙』, 孔子文化大全" 山東友誼書社出版 1989
20 鄭經世, "『思問錄-易學啓蒙』(한국경학자료집성 5책)"
21 李 滉, "『啓蒙傳疑』, (한국경학자료집성 2책)"
22 이선경, "{역학계몽}에 나타난 주자역학의 특징 - 소강절 역학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28) : 387-415, 2010
화엄 法界觀과 주희 理氣論의 異同을 통해서 본 儒佛의 交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9 | 1.123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