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개화기 교과서에 나타난 서사에 관한 고찰이다. 소설과 역사 서술의 차이에 대한 인식의 심화 과정을『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1907)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소설과 역사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52433
2017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34(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개화기 교과서에 나타난 서사에 관한 고찰이다. 소설과 역사 서술의 차이에 대한 인식의 심화 과정을『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1907)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소설과 역사에서 ...
이 논문은 개화기 교과서에 나타난 서사에 관한 고찰이다. 소설과 역사 서술의 차이에 대한 인식의 심화 과정을『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1907)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소설과 역사에서 진실의 의미는 각기 다르다. 소설 작가는 역사와는 다른 형태로 사건, 인물, 감정, 진실을 창조한다. 근대 소설은 이 허위 진술이 실록과는 다른 가치와 의미를 갖는다는 인식이 확립되면서 자리 잡기 시작한다.『국민소학독본』이나『신정심상소학』에서 허구 서사뿐만 아니라 실제 인물 서사가 중요하게 활용되었다면,『국어독본』에서는 인물 서사보다는 다양한 종류의 허구 서사가 활용된다.『국어독본』에 수록된 경험적 서사의 대부분은 이전 교과서와는 달리 일화 하나를 서술한 단형서사이다.「명군의 영단」,「세종대왕 인덕」,「문덕대승」,「김속명의 탄식」등은 제목처럼 주인공의 주요 일화를 간략하게 서술했는데, 이는 일대기가 아니라 교육적 의도에 부합하는 일화를 선정해서 예시한 것으로, 서술자의 현실적 필요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또한,『국어독본』에는 허구적 서사가 40개를 상회할 정도로 많다. 이들 서사에는 전통적인 전(傳)에서 배제되었던 동물이나 무생물, 초자연적인 존재들이 서사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기존의 전기들이 훌륭한 관리나 대신, 신뢰할 만한 친구, 절개 있는 여성 등 특별한 인간 유형을 다루었다면, 여기서는 말이나 개와 같은 동물, 물(水), 아동과 어머니 등이 등장해서 서사에 대한 정형화된 인식에서 벗어나 있다. 이들 서사는 앞의 단형서사처럼 논편이 없이 서사만이 제시되어 한층 완성도 높은 모습을 보여준다.「馬」와「엽부와 원숭이」처럼 이들 서사는 한편의 짧은 이야기를 보는 듯하다. 그리고 일부 서사에서는 화자가 명기되어 마치 연극 대사와도 같은 모습니다.「나자 1, 2」에서 목격되듯이, 이는 서술자가 대상 인물과 거리를 둠으로써 서사를 객관화하고 내용에 신빙성을 부여한 것이다. 더구나 여기에 등장하는 인물과 사건은 지극히 일상적인 것들이다. 그 일상을 근거로 서사가 전개되는 까닭에 서사는 실록과도 같은 사실성과 함께 역사 기술도 같은 신뢰를 확보하게 된다.『국어독본』에는 이와 같이 허구적 서사가 서사의 대부분을 차지해서 허구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고 교육적으로 널리 인정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근대 독본은 근대 소설이 형성되고 탄생하는 문화적 토대였다. 근대 독본은 교육용 매체일 뿐 아니라 근대 양식의 형성과 전개를 보여주는 형성의 장이기도 했던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대동문화연구소, 성대출판부 1983
2 김영민,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정" 소명출판 2005
3 김찬기,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전(傳)" 소명출판 2004
4 김영민, "한국 근대소설사" 솔 1997
5 "학부령 제20호, 사범학교령 시행규칙"
6 류사오펑, "역사에서 허구로―중국의서사학" 길 79-, 2001
7 이언 와트(Ian Watt), "소설의 발생" 강 89-92, 2009
8 웰무트 본하임, "서사 양식" 예림기획 59-66, 1998
9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146-, 2002
10 강진호, "근대계몽기의 ‘독본’과 서사 양식 - 紀事, 話, 이기, 이솝우화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67) : 9-46, 2016
1 "論語" 대동문화연구소, 성대출판부 1983
2 김영민,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정" 소명출판 2005
3 김찬기,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전(傳)" 소명출판 2004
4 김영민, "한국 근대소설사" 솔 1997
5 "학부령 제20호, 사범학교령 시행규칙"
6 류사오펑, "역사에서 허구로―중국의서사학" 길 79-, 2001
7 이언 와트(Ian Watt), "소설의 발생" 강 89-92, 2009
8 웰무트 본하임, "서사 양식" 예림기획 59-66, 1998
9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146-, 2002
10 강진호, "근대계몽기의 ‘독본’과 서사 양식 - 紀事, 話, 이기, 이솝우화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67) : 9-46, 2016
11 윤승준, "근대계몽기 단형서사문학과 우언" 동양학연구원 (38) : 1-28, 2005
12 연세대 근대한국학연구소,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 연구" 소명출판 2005
13 전용호, "고종ㆍ순종시대 국어교과서의 서사유형 연구" 민족어문학회 0 (0): 211-238, 2006
14 정선태, "개화기 신문논설의 서사 수용 양상" 소명출판 1999
15 김영민, "개화기 신문 논설의 서사 수용 양상" 소명출판 22-27, 1999
16 송명진, "개화기 독본과 근대 서사의 형성" 국어국문학회 (160) : 489-518, 2012
17 김윤규, "개화기 단형서사문학의 이해" 국학자료원 2000
18 조문제, "개화기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교재에 관한 연구(1)" 국어연구소 (4) : 90-, 1986
19 學部編纂, "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券四)" 韓國政府印刷局印刷 61-69, 1907
20 學部編纂, "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券二)" 韓國政府印刷局印刷 11-, 1907
21 學部編纂, "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 韓國政府印刷局印刷 1907
22 강진호, "‘국어’ 교과서의 형성과 일제 식민주의 -『국어독본』(1907)과 『조선어독본』(1911)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46) : 65-100, 201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7-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 | 0.8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 | 1.44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