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민지 의학교육과 헤게모니 경쟁  :  경성제대 의학부의 설립과정과 제도적 특징을 중심으로 = Medical education and Hegemony Competition in colonial Korea : the Making of Kyongsung Imperial University Medical School(KIU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19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경성제대 의학부가 식민지의 의학교육 및 연구에 미친 영향을 검토한다. 경성제대 의학부의 설립과정은 대학 설립을 둘러싸고 식민당국과 제국정부, 서양인선교사들과 조선인들이 벌인 ‘헤게모니 경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세브란스의전을 중심으로 기독교 종합대학을 설립하려 했던 서양인 선교사들의 시도는 경성제대 설립의 직접적인 촉진제의 하나가 되었다. 총독부는 이러한 ‘헤게모니 경쟁’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본토의 제국대학체제를 식민지에 그대로 도입했다. 당시 제국대학은 일본 내에서도 최고학부였기 때문에, 식민당국은 이를 통해 ‘동화’ 정책에 대한 식민당국의 정치적 의지를 과시하고자 했으며, 또한 제국대학은 지식생산에 있어서도 독점적인 기관이었기 때문에, 식민당국은 이를 통해 식민통치에 필요한 지식을 ‘과학적 권위’의 이름으로 축적하여 활용하고자 했던 것이다. 설립 이후, 경성제대 의학부가 한편으로는 식민지의료 및 의육체제의 연속성과 경험을 기반으로 식민지적 이해관계에 충실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제국의 최고 대학에 걸맞은 교육 및 연구기반을 갖추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적 권위를 확립하는데 주력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적 성격은 의학부 교수진 구성과 강좌구성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교수진의 구성은 한편으로 ‘식민지의 경험’이 강조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본토의 제국대학에 뒤지지 않는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오히려 동경제대 중심의 학벌구조를 타파하고자 하는 ‘실험적’ 성격을 가질 수 있었다. 강좌구성과 학문 활동에서는 실지조사를 통해 확보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실증 과학적 분석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이런 방대한 실지조사 자체가 권력의 개입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식민지적 상황의 산물이다. 결과적으로 경성제대 의학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와 교육은 거기에서 파생된 식민주의적의도 · 효과와 결코 명백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런 ‘뒤얽힘’이야말로 식민지근대성의 특징적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경성제대 의학부가 식민지의 의학교육 및 연구에 미친 영향을 검토한다. 경성제대 의학부의 설립과정은 대학 설립을 둘러싸고 식민당국과 제국정부, 서양인선교사들과 조선인들이 ...

      이 글은 경성제대 의학부가 식민지의 의학교육 및 연구에 미친 영향을 검토한다. 경성제대 의학부의 설립과정은 대학 설립을 둘러싸고 식민당국과 제국정부, 서양인선교사들과 조선인들이 벌인 ‘헤게모니 경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세브란스의전을 중심으로 기독교 종합대학을 설립하려 했던 서양인 선교사들의 시도는 경성제대 설립의 직접적인 촉진제의 하나가 되었다. 총독부는 이러한 ‘헤게모니 경쟁’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본토의 제국대학체제를 식민지에 그대로 도입했다. 당시 제국대학은 일본 내에서도 최고학부였기 때문에, 식민당국은 이를 통해 ‘동화’ 정책에 대한 식민당국의 정치적 의지를 과시하고자 했으며, 또한 제국대학은 지식생산에 있어서도 독점적인 기관이었기 때문에, 식민당국은 이를 통해 식민통치에 필요한 지식을 ‘과학적 권위’의 이름으로 축적하여 활용하고자 했던 것이다. 설립 이후, 경성제대 의학부가 한편으로는 식민지의료 및 의육체제의 연속성과 경험을 기반으로 식민지적 이해관계에 충실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제국의 최고 대학에 걸맞은 교육 및 연구기반을 갖추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적 권위를 확립하는데 주력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적 성격은 의학부 교수진 구성과 강좌구성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교수진의 구성은 한편으로 ‘식민지의 경험’이 강조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본토의 제국대학에 뒤지지 않는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오히려 동경제대 중심의 학벌구조를 타파하고자 하는 ‘실험적’ 성격을 가질 수 있었다. 강좌구성과 학문 활동에서는 실지조사를 통해 확보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실증 과학적 분석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이런 방대한 실지조사 자체가 권력의 개입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식민지적 상황의 산물이다. 결과적으로 경성제대 의학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와 교육은 거기에서 파생된 식민주의적의도 · 효과와 결코 명백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런 ‘뒤얽힘’이야말로 식민지근대성의 특징적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and reveal meanings of the making of KIUMS and it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colonial korea through analysing hegemony competition concerning medical education. As medical school, KIUMS overwhelmed other medical colleges( Senmongakko, 專門學校) in terms of periods of education, financial assistance, privileges for the graduated, and so on. What is distinct about KIMUS compared to other medical colleges was that this was established as the highest level of Japanese educational system, that is, imperial university(deikoku daigaku, 帝國大學). In Japan, the imperial universities was the privileged state apparatus which was established for the education of 'national elite' and the monopoly of 'modern' knowledge-production for national strength and wealth. As a imperial university, KIUMS was differentiated with other higher educations for the colonized which was founded by the western imperialism, in that the colonial university gained the same status with metropole's universities of the highest level. And then, why did the Japanese colonial power established KIMUS as a imperial university?
      I argued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result of hegemony competition concerning medical education in the colonial society. While Chosun Government-General(CGG) oppressed higher education for the colonized in the 1910's,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y, supported by Koreans, act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christian college. The both continued competing in building schools of higher education level. Especially in Medical education, what was at issue is whether the medical school was chartered as medical college or university medical school, for the privilege of medical license has been conceded to the graduates of chartered medical schools. And therefore, Severance Union Medical School, founded by foreign protestant missionaries, pushed ahead with building the chartered medical college(醫學專門學校) and even a christian university. In order to seize the initiative of medical education, CGG had no choice but to build the university which overwhelmed this movement. KIMUS, established in 1926, was the outcome of this hegemonic competition.
      Furthermor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KIMUS were reflected in the outcome of such conflicts, too. For solidification of hegemony in colony, CGG built colonial university as a imperial university, which led to the acquisition of elements of the imperial university which the colonial rule did not intend. The vision of university for colonial rule and the universal vision of modern university were inherently conflicting. In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KIMUS, many controversial element existed together and exacerbated the disrupture of the universit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and reveal meanings of the making of KIUMS and it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colonial korea through analysing hegemony competition concerning medical education. As medical school, KIUMS overwhelmed other medical ...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and reveal meanings of the making of KIUMS and it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colonial korea through analysing hegemony competition concerning medical education. As medical school, KIUMS overwhelmed other medical colleges( Senmongakko, 專門學校) in terms of periods of education, financial assistance, privileges for the graduated, and so on. What is distinct about KIMUS compared to other medical colleges was that this was established as the highest level of Japanese educational system, that is, imperial university(deikoku daigaku, 帝國大學). In Japan, the imperial universities was the privileged state apparatus which was established for the education of 'national elite' and the monopoly of 'modern' knowledge-production for national strength and wealth. As a imperial university, KIUMS was differentiated with other higher educations for the colonized which was founded by the western imperialism, in that the colonial university gained the same status with metropole's universities of the highest level. And then, why did the Japanese colonial power established KIMUS as a imperial university?
      I argued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result of hegemony competition concerning medical education in the colonial society. While Chosun Government-General(CGG) oppressed higher education for the colonized in the 1910's,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y, supported by Koreans, act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christian college. The both continued competing in building schools of higher education level. Especially in Medical education, what was at issue is whether the medical school was chartered as medical college or university medical school, for the privilege of medical license has been conceded to the graduates of chartered medical schools. And therefore, Severance Union Medical School, founded by foreign protestant missionaries, pushed ahead with building the chartered medical college(醫學專門學校) and even a christian university. In order to seize the initiative of medical education, CGG had no choice but to build the university which overwhelmed this movement. KIMUS, established in 1926, was the outcome of this hegemonic competition.
      Furthermor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KIMUS were reflected in the outcome of such conflicts, too. For solidification of hegemony in colony, CGG built colonial university as a imperial university, which led to the acquisition of elements of the imperial university which the colonial rule did not intend. The vision of university for colonial rule and the universal vision of modern university were inherently conflicting. In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KIMUS, many controversial element existed together and exacerbated the disrupture of the univers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 식민지 의학교육의 두 가지 형태: 의학전문학교와 제국대학 의학부
      • 3. 의학교육을 둘러싼 경쟁: 경성제대 의학부의 등장
      • 4. 제국적 권위와 식민지적 이해의 길항: 경성제대 의학부의 제도적 특징
      • 국문요약
      • 1. 서론
      • 2. 식민지 의학교육의 두 가지 형태: 의학전문학교와 제국대학 의학부
      • 3. 의학교육을 둘러싼 경쟁: 경성제대 의학부의 등장
      • 4. 제국적 권위와 식민지적 이해의 길항: 경성제대 의학부의 제도적 특징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