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베리아 에벤족 설화에 나타난 새들의 신화적 형상 = Mythological Bird Image in the Even Folklo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793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베리아 에벤족의 설화에 나타난 새들의 형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한 민족의 설화는 그 민족이 자신의 자연과 문화 환경 속에서 살아나오면서 축척된 문화인자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원형 자산이다. 그리고 설화에는 세계의 생성과 인간의 탄생에 대한 이야기에서부터 각종 기원설화, 동물 설화 등 세계를 대하는 태도와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새는 비상의 능력이라는 그 본질적 상징의미 때문에 태양숭배사상, 천신사상과 연결된다. 이러한 새 숭배는 시베리아 제 민족으로 구성되는 알타이 제어권 문화와 한국문화간의 중요한 연결점을 찾는데 일조할 수 있다. 천계와 현세를 연결하는 중개자, 사망 후 육체를 떠난 영혼의 매개자, 세계수와 연결된 새의 모습 등은 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기 때문이다.
      그 작업의 시작으로 이 논문에서는 채집된 에벤족 설화를 통해 우리는 새의 가장 상징적인 형상들, 대지기원 신화에서의 보조자, 인간 영혼의 표상 혹은 그 영혼의 운반자, 토템 시조 그리고 토템 신화의 흔적인 변신과 관계되는 백조처녀 설화까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에벤족의 대지기원 설화에서는 물새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중에서도 아비새가 중요하며, 백조처녀 설화는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는 광포설화로 에벤족에게서도 마찬가지로 널리 퍼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시베리아 에벤족의 설화에 나타난 새들의 형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한 민족의 설화는 그 민족이 자신의 자연과 문화 환경 속에서 살아나오면서 축척된 문화인자가 고스란히 ...

      본 연구는 시베리아 에벤족의 설화에 나타난 새들의 형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한 민족의 설화는 그 민족이 자신의 자연과 문화 환경 속에서 살아나오면서 축척된 문화인자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원형 자산이다. 그리고 설화에는 세계의 생성과 인간의 탄생에 대한 이야기에서부터 각종 기원설화, 동물 설화 등 세계를 대하는 태도와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새는 비상의 능력이라는 그 본질적 상징의미 때문에 태양숭배사상, 천신사상과 연결된다. 이러한 새 숭배는 시베리아 제 민족으로 구성되는 알타이 제어권 문화와 한국문화간의 중요한 연결점을 찾는데 일조할 수 있다. 천계와 현세를 연결하는 중개자, 사망 후 육체를 떠난 영혼의 매개자, 세계수와 연결된 새의 모습 등은 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기 때문이다.
      그 작업의 시작으로 이 논문에서는 채집된 에벤족 설화를 통해 우리는 새의 가장 상징적인 형상들, 대지기원 신화에서의 보조자, 인간 영혼의 표상 혹은 그 영혼의 운반자, 토템 시조 그리고 토템 신화의 흔적인 변신과 관계되는 백조처녀 설화까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에벤족의 대지기원 설화에서는 물새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중에서도 아비새가 중요하며, 백조처녀 설화는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는 광포설화로 에벤족에게서도 마찬가지로 널리 퍼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images of birds in the folklore of the Siberian Even tribe. Folklore is prototypes of cultural elements that are accumulated as the people live in their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folklore we can see the story of the creation of the world, the birth of the human being, and we can understand the tribe’s attitudes to the world through various tales about origins of animals and habits.
      The bird is linked to the sun worship ideology, because of its symbolic meaning of the ability of flying. This bird worship can help find important connections between the Altaic culture, which is made up of Siberian peoples, and Korean culture. The mediator between the celestial world and this world, the mediator of the soul that left the body after death, and the image of birds connected with the world tree are found in common in both cultures.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most symbolic images of birds - the assistants in the myths of the earth’s origin, the representations of human souls, or the bearers of the soul, and the story of a swan-girl, that is related to transformation and the totem myths. In this way, we can make sure that water bird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ven tribe’s story of the origin of the earth, and the story of swan-girl is widespread in the Even tribe with a worldwide distribu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images of birds in the folklore of the Siberian Even tribe. Folklore is prototypes of cultural elements that are accumulated as the people live in their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folklore we can see the 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images of birds in the folklore of the Siberian Even tribe. Folklore is prototypes of cultural elements that are accumulated as the people live in their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folklore we can see the story of the creation of the world, the birth of the human being, and we can understand the tribe’s attitudes to the world through various tales about origins of animals and habits.
      The bird is linked to the sun worship ideology, because of its symbolic meaning of the ability of flying. This bird worship can help find important connections between the Altaic culture, which is made up of Siberian peoples, and Korean culture. The mediator between the celestial world and this world, the mediator of the soul that left the body after death, and the image of birds connected with the world tree are found in common in both cultures.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most symbolic images of birds - the assistants in the myths of the earth’s origin, the representations of human souls, or the bearers of the soul, and the story of a swan-girl, that is related to transformation and the totem myths. In this way, we can make sure that water bird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ven tribe’s story of the origin of the earth, and the story of swan-girl is widespread in the Even tribe with a worldwide distribu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 관념과 제의(祭儀)" 32 : 1999

      2 김현주, "토테미즘의 흔적을 찾아서: 동물에 관한 야생적 담론의 고고학" 서강대출판부 2009

      3 박원길, "유라시아 초원제국의 샤마니즘" 민속원 2001

      4 멜레틴스키, 엘리아자르, "신화시학1" 나남출판 2016

      5 송화섭, "시베리아 알타이 지역의 샤먼상 암각화" 한국무속학회 (16) : 349-389, 2008

      6 아츠히코, 요시다, "세계의 신화 전설" 혜원출판사 2010

      7 하르바, 우노, "샤머니즘의 세계. 알타이 민족들의 종교적 표상" 보고사 2014

      8 엘리아데, 미르치아, "샤마니즘. 고대적 접신술" 까치 1992

      9 색스, 보리아, "까마귀" 가람기획 2005

      10 Новикова, К.А., "Эвенский фольклор. Сказки. Предания и легенды. Песни. Загадки" Магаданс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78

      1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 관념과 제의(祭儀)" 32 : 1999

      2 김현주, "토테미즘의 흔적을 찾아서: 동물에 관한 야생적 담론의 고고학" 서강대출판부 2009

      3 박원길, "유라시아 초원제국의 샤마니즘" 민속원 2001

      4 멜레틴스키, 엘리아자르, "신화시학1" 나남출판 2016

      5 송화섭, "시베리아 알타이 지역의 샤먼상 암각화" 한국무속학회 (16) : 349-389, 2008

      6 아츠히코, 요시다, "세계의 신화 전설" 혜원출판사 2010

      7 하르바, 우노, "샤머니즘의 세계. 알타이 민족들의 종교적 표상" 보고사 2014

      8 엘리아데, 미르치아, "샤마니즘. 고대적 접신술" 까치 1992

      9 색스, 보리아, "까마귀" 가람기획 2005

      10 Новикова, К.А., "Эвенский фольклор. Сказки. Предания и легенды. Песни. Загадки" Магаданс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78

      11 Роббек, В.А., "Фольклор эвенов Березовки (образцы шедевров)" Изд-во ИПМНС СО РАН 2005

      12 Мазин, А.И., "Традиционные верования и обряды эвенков-орочонов (конец XIX - начало XX в.)" Наука 1984

      13 Бычков, Ю.А., "Птица как символ религиозно-мифологической системыв традиционной культуре этносов Сибири" (3) : 2012

      14 Дьяконова, М.П., "Образ антиподов демиургов в мифах творения эвенков и эвенов" 1 (1): 2016

      15 Бронштейн, М.М. и др., "Народы России. Праздники, обычаи, обряды:энциклопедия" РОСМЭН-ПРЕСС 2008

      16 Кузьмина, Р.П., "Мифологические образы птиц в эвенском фольклоре" 10 (10): 2013

      17 Бурыкин, А.А., "Малые жанры эвенского фольклора. Загадки, пословицыи поговорки, запреты-обереги, обычаи и предписания, приметы(исследование и тексты)" Петербургское востоковедение 2001

      18 Соколова, З.П., "Культ животных в религиях" Наука 1972

      19 Тураев, В.А., "История и культура Эвенов. Историко-этнографические очерки" Наука 1997

      20 Holmberg, Uno, "The Mythology of All Races, Vol. IV, Finno-Ugric, Siberian" 192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9-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9-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84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