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의 성장과 더불어 시민단체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한편,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가 관찰되고 있다. 시민단체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정작 시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시민사회의 성장과 더불어 시민단체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한편,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가 관찰되고 있다. 시민단체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정작 시민...
시민사회의 성장과 더불어 시민단체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한편,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가 관찰되고 있다. 시민단체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정작 시민들이 시민단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전국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시민들이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얼마나 신뢰하는지, 그러한 인식과 신뢰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시민단체가 정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공공갈등에 개입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수준은 낮은 편이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시민단체의 역할 인식은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시민단체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에 대한 기초적이고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가지며, 이러한 결과는 시민단체가 신뢰회복을 모색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ng with the growth of civil society, the importance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CSO) is increasing, while public trust in CSO has been continuously declining.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CSO, but little is known about how people perceive it. Ana...
Along with the growth of civil society, the importance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CSO) is increasing, while public trust in CSO has been continuously declining.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CSO, but little is known about how people perceive it. Analyzing the data from nation-wide survey, this study examines how people perceive and to what degree they trust CSO, and how these factors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The results show that people acknowledge the roles of CSO in influencing government policy and intervening in public conflicts while they have a low level of trust in CSO. Also, regression analyses reveal that public trust in CSO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its perceived roles regardless of demographical variables.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public perception on CSO and these findings may help CSO to find ways to restore public trus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행정학회, "행정학전자사전"
2 박희봉, "한국인의 신뢰 수준 및 영향 요인: 단체참여 및 개인의 사회? 경제적 배경과 대인신뢰, 단체신뢰, 대중매체신뢰" 한국정책학회 12 (12): 199-226, 2003
3 윤성석, "한국의 시민사회운동과 민주주의 발전" 한국동북아학회 7 (7): 183-218, 2002
4 임재형, "한국의 시민단체가 공공갈등에 미치는 영향: 기간과 강도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7 (17): 75-105, 2019
5 김경필, "한국의 사회운동과 민주주의: 왜 한국사회는 운동으로 문제를 해결할까?" 사회과학연구원 56 (56): 293-319, 2017
6 안순철, "한국의 공공분쟁해결에 있어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현실" 분쟁해결연구센터 7 (7): 49-75, 2009
7 임재형, "한국의 공공분쟁에 있어서 시민단체의 개입이 분쟁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219-235, 2007
8 박재창, "한국의 거버넌스" 아르케 2010
9 전홍기혜, "한국에서 ‘가장 힘있는 집단’은 NGO" 시사저널
10 정한울, "한국사회 시민단체 신뢰위기의 진단과 대안 모색: 정부-시민단체에 대한 인식변화와 정치적 시민단체의 위축" 29 : 85-123, 2016
1 한국행정학회, "행정학전자사전"
2 박희봉, "한국인의 신뢰 수준 및 영향 요인: 단체참여 및 개인의 사회? 경제적 배경과 대인신뢰, 단체신뢰, 대중매체신뢰" 한국정책학회 12 (12): 199-226, 2003
3 윤성석, "한국의 시민사회운동과 민주주의 발전" 한국동북아학회 7 (7): 183-218, 2002
4 임재형, "한국의 시민단체가 공공갈등에 미치는 영향: 기간과 강도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7 (17): 75-105, 2019
5 김경필, "한국의 사회운동과 민주주의: 왜 한국사회는 운동으로 문제를 해결할까?" 사회과학연구원 56 (56): 293-319, 2017
6 안순철, "한국의 공공분쟁해결에 있어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현실" 분쟁해결연구센터 7 (7): 49-75, 2009
7 임재형, "한국의 공공분쟁에 있어서 시민단체의 개입이 분쟁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219-235, 2007
8 박재창, "한국의 거버넌스" 아르케 2010
9 전홍기혜, "한국에서 ‘가장 힘있는 집단’은 NGO" 시사저널
10 정한울, "한국사회 시민단체 신뢰위기의 진단과 대안 모색: 정부-시민단체에 대한 인식변화와 정치적 시민단체의 위축" 29 : 85-123, 2016
11 박상필, "한국 시민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역할" 10 (10): 35-68, 2015
12 박병옥, "한국 시민단체가 나아갈 방향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성" 16 : 196-217, 2007
13 가상준, "한국 공공분쟁의 현황 및 특징: 1990-2007" 한국정치학회 43 (43): 51-87, 2009
14 윤종석, "촛불 든 1천842개 단체名 정부통보" 연합뉴스
15 김호기, "참여민주주의와 한국사회" 창작과 비평사 1997
16 박동서, "정부와 NGO" 법문사 2000
17 신상준, "정부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부성과 만족도의 매개효과에 대한 다중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0 (50): 1-37, 2016
18 박종민, "정부신뢰의 원인: 정책결과, 과정 및 산출" 정부학연구소 17 (17): 117-142, 2011
19 김재신, "일반화된 타자, 정부,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공공갈등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1-16, 2011
20 강상욱, "우리나라 NGO의 성장에 관한 연구 :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1 김강민, "신뢰가 갈등의 민주주의 측면에 미치는 영향: 국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37 (37): 1-25, 2011
22 권혁철, "시장경제질서와 우리나라 시민단체 활동의 문제점" 1 (1): 209-245, 2002
23 김동철, "시민참여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춘천시 주민자치회 전환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60 (60): 3-29, 2021
24 이진백, "시민사회의 역할은 무엇이고, 어떻게 활성화 되는가? 2019 강한시민사회포럼:시민사회의 역할과 활성화전략"
25 손호철,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2" 한울 2001
26 김성국,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2" 한울 2001
27 박상필, "시민사회론의 한국적 적용과 변용" 2 (2): 99-139, 2004
28 김소연, "시민사회 활성화를 둘러싼 현장의 목소리와 제언, 시민사회의 역할과 활성화전략:시민사회의 역할은 무엇이고 어떻게 활성화되는가?" 2019
29 오현순, "시민사회 활성화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서울시 시민사회단체 현황 및 수요를 중심으로, 시민사회의 역할과 활성화전략: 시민사회의 역할은 무엇이고 어떻게 활성화되는가?" 2019
30 김지영, "시민들의 정부정책과 역할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회 32 (32): 405-425, 2018
31 이승종, "시민단체의 신뢰와 책임성 과제" 126-, 2009
32 윤태범,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와 불신" 126-, 2009
33 김강민, "시민단체갈등역량이정부의 갈등역량에 미치는 영향:문재인정부를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33 (33): 33-61, 2021
34 안수찬, "시민단체, 소통의 권위로 가라" 한겨레21
35 김강민, "시민단체 및 정부에 대한 역량평가와 갈등지각의 관계" 사회과학연구원 38 (38): 145-169, 2012
36 김소연, "서울시 시민사회(활성화) 정책 제언: 시민사회 현장의 평가와 수요를 중심으로" 서울시 NPO지원센터, 서울연구원 2018
37 주창범, "비영리조직의 사회적 연결망이 정치적 주창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 19 (19): 67-82, 2014
38 김서린, "공공조직 특성이 조직구성원의 리더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7 (57): 167-204, 2018
39 김재신, "공공갈등의 심각성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2010~2019년 10년 동안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평화연구소 8 (8): 101-124, 2021
40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갈등과 분쟁에 관한 시민인식 조사(2010-2020)" 2020
41 손우정, "‘공동의 적’된 민주당...6개의 그래프에 담긴 진실" 오마이뉴스
42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09년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사업 시행"
43 Dunn, J.,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Basil Blackwell 1988
44 Yang, K., "The performance-trust Link implications for performance measurement" 66 (66): 114-126, 2006
45 Chanley, V. A., "The origins and consequences of public trust in government : A time series analysis" 64 : 239-256, 2000
46 김강민, "The Roles of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Public Conflict Resolution: Focused on Lee Myung-bak Administration" 한국정부학회 30 (30): 465-484, 2018
47 Dukes, E. F., "Resolving Public Conflict: Transforming Community and Governance" Manchester School University Press 2006
48 Hibbing, J. R., "Process preferences and American politics : What the people want government to be" 95 (95): 145-153, 2001
49 Rudolph, T. J., "Political trust, ideology, and public support for government spending" 49 (49): 660-671, 2005
50 Hetherington, M. J., "Political trust and racial policy preferences" 46 (46): 253-275, 2002
51 O’Connell, B., "People Power: Service, Advocacy, Empowerment" Foundation Center 1994
52 Frumkin, P., "On Being Nonprofit: A Conceptual and Policy Primer"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53 Diaz-Albertini, A., "Nonprofit advocacy in weakly institutionally political system : The case of NGDOs in Lima, Peru" 22 (22): 317-337, 1993
54 Salamon, L., "Global Civil Society:Dimensions of the Nonprofit Sector" The Johns Hopkins Center for Civil Society Studies 1999
55 Ely, J. H., "Democracy and Distrust: A Theory of Judicial Review"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56 Boris, E. T., "Customers Who Viewed Nonprofits and Government:Collaboration and Conflict" The Urban Institute Press 2006
57 윤성이, "2013 대통령의 성공조건" 동아시아연구원 2013
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거부민감성, 적대적 귀인 편향 및 전위된 공격성 간의 관계: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
왜 그들은 ‘술방’을 보는가?: 소셜미디어 음주 일인방송 시청동기와 콘텐츠 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자원 변수 중심으로 살펴 본 고령인구 삶의 만족 결정요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6-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Social Scienc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1 | 1.31 | 1.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23 | 1.772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