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혼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 갈등(WFC)과 가정-일 갈등(FWC) 수준이 실제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직무만족이 일-가정 양립과 우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여성가족패널 7차 년도(2018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3,247명의 유자녀 기혼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기혼여성 근로자의 일-가정 갈등(WFC)과 가정-일 갈등(FWC)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무만족은 일-가정 갈등(WFC) 및 가정-일 갈등(FWC)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일-가정 갈등(WFC)과 가정-일 갈등(FWC)의 양방향성을 반영하지 않은 한계를 지적하고, 세부적으로 일-가정 갈등(WFC)과 가정-일 갈등(FWC)를 구분하여 우울과의 관계성을 보다 명확히 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는 두 가지 갈등을 구분한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공하였으며, 향후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혼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 갈등(WFC)과 가정-일 갈등(FWC) 수준이 실제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직무만족이 일-가정 양립과 우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

      본 연구는 기혼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 갈등(WFC)과 가정-일 갈등(FWC) 수준이 실제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직무만족이 일-가정 양립과 우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여성가족패널 7차 년도(2018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3,247명의 유자녀 기혼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기혼여성 근로자의 일-가정 갈등(WFC)과 가정-일 갈등(FWC)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무만족은 일-가정 갈등(WFC) 및 가정-일 갈등(FWC)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일-가정 갈등(WFC)과 가정-일 갈등(FWC)의 양방향성을 반영하지 않은 한계를 지적하고, 세부적으로 일-가정 갈등(WFC)과 가정-일 갈등(FWC)를 구분하여 우울과의 관계성을 보다 명확히 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는 두 가지 갈등을 구분한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공하였으며, 향후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the levels of work-family conflict (WFC) and family-work conflict (FWC) of married female workers affect actual depression, and whether job 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depression. Data from the 7th year (2018)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condu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and a total of 3,247 married female workers with children were stud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ork-family conflict (WFC) and family-work conflict (FWC) of married female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was a work-family conflict (WFC) and family-work conflict (FWC).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epression. This study points out the limitations that did not reflect the bidirectionality of work-family conflict (WFC) and family-work conflict (FWC) in previous studies, and differentiate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WFC) and family-work conflict (FWC). In detail, th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was more clarified.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provided the need for policy intervention to differentiate the two conflicts, and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for married women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how the levels of work-family conflict (WFC) and family-work conflict (FWC) of married female workers affect actual depression, and whether job 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depression. Data...

      This study examined how the levels of work-family conflict (WFC) and family-work conflict (FWC) of married female workers affect actual depression, and whether job 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depression. Data from the 7th year (2018)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condu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and a total of 3,247 married female workers with children were stud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ork-family conflict (WFC) and family-work conflict (FWC) of married female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was a work-family conflict (WFC) and family-work conflict (FWC).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epression. This study points out the limitations that did not reflect the bidirectionality of work-family conflict (WFC) and family-work conflict (FWC) in previous studies, and differentiate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WFC) and family-work conflict (FWC). In detail, th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was more clarified.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provided the need for policy intervention to differentiate the two conflicts, and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for married women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성숙,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365-395, 2012

      2 박경숙,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회 26 (26): 63-90, 2003

      3 박재규,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29) : 99-128, 2011

      4 손영미,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03-215, 2015

      5 최은영,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97-110, 2012

      6 권희경, "퇴원교육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역할 자신감,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13 (13): 58-65, 2007

      7 조옥선, "취업 여성의 미혼 성인자녀 돌봄 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부의사소통과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8 (8): 293-303, 2018

      8 박정민, "차별적 경험과 성역할 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양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9 (29): 21-38, 2018

      9 장재윤,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23-42, 2003

      10 김성국,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67-275, 2017

      1 노성숙,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365-395, 2012

      2 박경숙,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회 26 (26): 63-90, 2003

      3 박재규,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29) : 99-128, 2011

      4 손영미,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03-215, 2015

      5 최은영,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97-110, 2012

      6 권희경, "퇴원교육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역할 자신감,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13 (13): 58-65, 2007

      7 조옥선, "취업 여성의 미혼 성인자녀 돌봄 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부의사소통과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8 (8): 293-303, 2018

      8 박정민, "차별적 경험과 성역할 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양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9 (29): 21-38, 2018

      9 장재윤,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23-42, 2003

      10 김성국,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67-275, 2017

      11 이병남, "지역 여성의 경제 현실과 정부 정책의 지역성: 강원도 춘천 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4 (54): 43-88, 2015

      12 엄태순, "지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34) : 135-158, 2013

      13 최수찬, "중소기업 기혼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WFC)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71-279, 2015

      14 이명선, "작업환경과 근로조건이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17 (17): 101-110, 1991

      15 최기동, "일과 삶의 균형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웰빙과 자아실현적 웰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1 (21): 649-661, 2021

      16 이정희,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6 (86): 281-324, 2014

      17 박정민, "일·가정 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가족친화문화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0 (20): 262-273, 2020

      18 최정숙, "일-가족 역할갈등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학령기 자녀를 둔 전문직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9) : 214-247, 2011

      19 엄혜경, "일-가정 갈등 그리고 가정-일 갈등이 기혼여성관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양립 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3 (93): 35-70, 2017

      20 이종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객실승무원의 일-가정 갈등 (가정-일 갈등) 및 일-가정 균형 (가정-일 균형) 에 대한 연구" 77-97, 2018

      21 계봉오, "인구 고령화, 사회경제적 발전, 사회불평등의 관계" 비판사회학회 (106) : 41-72, 2015

      22 안소희, "유자녀 건강가정사의 일·가족 양립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5) : 65-94, 2014

      23 최효식, "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심리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긍정적 양육태도 간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5-30, 2014

      24 임인숙, "유급노동과 무급 가사노동의 질이 성인 남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회 46 (46): 176-202, 2012

      25 이소진, "워킹맘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22 (22): 767-782, 2017

      26 박은주, "워킹맘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탈중심화,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21 (21): 67-85, 2020

      27 박경, "우울한 중년여성의 부부관계 및 의사소통" 3 (3): 19-32, 2002

      28 김라윤, "외식기업 종사원의 일-가정 갈등, 가정-일 갈등, 일-가정 균형요인이 내재적 직무동기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항관계 분석: 내재적 직무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관광연구학회 32 (32): 241-256, 2018

      29 이숙정, "여성친화적 조직문화,조직유효성,직장 및 가정생활 갈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아시아여성연구원 49 (49): 7-40, 2010

      30 원숙연, "여성이 인식하는 직무만족의 차원과 그 영향요인: 차별인식과 일-가정양립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3 (53): 57-81, 2015

      31 한인영, "여성의 성역할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477-498, 2011

      32 백승대, "여성의 사회진출에 대한 태도가 여성혐오 의식에 미치는 영향 - 남자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원 56 (56): 205-235, 2017

      33 성준모,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09-132, 2010

      34 정은숙,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1 (11): 822-831, 2011

      35 고상백,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업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6 (16): 103-113, 2004

      36 최수찬, "비동거가족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성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18 (18): 157-182, 2006

      37 김정호, "보육서비스와 육아휴직 지원의 효과 비교: 출산 및 모의 노동공급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43 (43): 1-29, 2020

      38 신혜종,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50 (50): 115-141, 2011

      39 이숙현, "남성과 여성의 일/가족 갈등" 3 : 173-194, 1998

      40 최은주, "기혼직장여성의 일상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 학력수준에 따른 차이 검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2 (92): 85-111, 2017

      41 장유나, "기혼여성근로자의 성역할인식이 일-가정양립에 미치는 영향 -일만족도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아시아여성연구원 59 (59): 115-155, 2020

      42 강혜련,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6 (6): 23-42, 2001

      43 최보라, "기혼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WFC)과 문제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3 (23): 53-74, 2010

      44 이재경,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생활 변화와 한계: 계층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2 (22): 41-79, 2006

      45 임효창, "기혼 직장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경력계획과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18 (18): 421-442, 2005

      46 김재엽, "기혼 직장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의 관계 - TSL 대처방식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사회복지연구소 22 : 275-308, 2009

      47 권순원, "기혼 여성의 직장-가정 갈등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299-329, 2013

      48 박경환, "기혼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관계가 관리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5 (25): 879-905, 2012

      49 문선희, "기업복지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의 효과"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119-141, 2013

      50 김의종,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이 가정, 조직 및 개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33 (33): 267-296, 2020

      51 김화연, "공공 및 민간 조직의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도구적 지지와 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7 (27): 483-511, 2015

      52 한의진,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항공 객실승무원들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대한관광경영학회 28 (28): 117-135, 2013

      53 유계숙,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26 (26): 27-38, 2008

      54 김영미, "가정친화적 여성정책의 현황과 적용-공공기관에 적용된 정책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13-21, 2020

      55 김명자, "가정관리 분야 : 주부의 직업유무에 따른 가정내 역할수행에 관한 비교연구" 19 (19): 69-81, 1981

      56 Ernst Kossek, E., "Work–family conflict, policies, and the job–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A review and direc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human resources research" 83 (83): 139-149, 1998

      57 Frone, M. R., "Work–family conflict, gender, and health-related outcomes: A study of employed parents in two community samples" 1 (1): 57-69, 1996

      58 Judge, T. A., "Work–family conflict and emotions: Effects at work and at home" 59 (59): 779-814, 2006

      59 Wang, Y.,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in Chinese professional women:The mediating roles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15 (15): 394-406, 2017

      60 Bacharach, S. B., "Work‐home conflict among nurses and engineers: Mediating the impact of role stress on burnout and satisfaction at work" 12 (12): 39-53, 1991

      61 Higgins, C. A., "Work-family conflict in the dual-career family" 51 (51): 51-75, 1992

      62 Power, J., "Work-Family Conflict, Multiple Roles, and Gender Effects" ASAC 21 (21): 1-10, 2000

      63 O'brien, K. M., "Work,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Employed mothers in Israel, Korea, and the United States" 61 (61): 461-472, 2014

      64 Grzywacz, J. G., "Work, family, and mental health: Testing different models of work‐family fit" 65 (65): 248-261, 2003

      65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29, 1996

      66 Huang, Y. H.,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to-family conflict and family-to-work conflict: A longitudinal study" 25 (25): 79-100, 2004

      67 Hammer, L. B., "The longitudinal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positive spillover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dual-earner couples" 10 (10): 138-154, 2005

      68 Conti, D. J., "The economic impact of depression in a workplace" 36 (36): 983-988, 1994

      69 Bradley, D. E., "Self‐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investigating the role of self‐efficacy, depression, and seniority" 42 (42): 37-58, 2004

      70 Gutek, B. A.,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76 (76): 560-568, 1991

      71 Stansfeld, S.,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a meta-analytic review" 32 (32): 443-462, 2006

      72 Frone, M. R., "Predictors of overall and on-the-job substance use among young workers" 8 (8): 39-54, 2003

      73 OECD, "LFS by sex and age"

      74 Griffin, M. L., "Job involvemen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burnout of correctional staff" 37 (37): 239-255, 2010

      75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2018

      76 Teng, L., "Healthcare worker’s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 by immigrant women with postpartum depression: an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10 (10): 93-, 2007

      77 Allen, T. D.,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s" 58 (58): 414-435, 2001

      78 Behrman, D. L., "Family and/or Career: Plans of First-Time Mothers" UMI Research Press 1982

      79 Fujimoto, T.,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ial Responses to Health Issues"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135-162, 2014

      80 Kalliath, P., "Does job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strain? A study of Australian social workers" 23 (23): 91-105, 2013

      81 Mesmer-Magnus, J. R., "Convergence between measures of work-to-family and family-to-work conflict: A meta-analytic examination" 67 (67): 215-232, 2005

      82 Tourigny, L., "Burnout and depression among nurses in Japan and China: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absence" 21 (21): 2741-2761, 2010

      83 A Grandey, A., "A longitudinal and multi‐source test of the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78 (78): 305-323,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Social Sci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23 1.7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