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깃 없는 전통배자를 응용한 생활한복 배자 디자인 = A Study on the Design of Saenghwal Hanbok using the Traditional Collarless Baeja in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98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00년대 말 서양 문물이 들어오면서 전통한복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형하려는 시도가 지속되어 왔다. 이후 서양복이 일상화되면서 사람들이 한복을 입는 일이 많이 줄어들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생활한복’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는데, 처음 생활한복 브랜드가 만들어지던 시기에는 젊은 층의 관심은 거의 받지 못했다. 2000년대 이후 전통한복의 구조를 과감하게 변형하고 다양한 소재와 문양을 활용하는 생활한복 디자인이 한복 시장의 새로운 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과 SNS를 통한 새로운 유통채널이 생기면서 생활한복 브랜드의 신진 디자이너들의 활동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전통한복의 요소를 패션 트렌드와 결합하는 시도는 한류열풍과 더불어 전 세계의 관심을 받으며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한복 중 가장 활용도가 높은 복식의 하나인 배자를 활용하여 생활한복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의 깃이 없는 형태의 배자를 활용하여 6개의 생활한복으로 디자인하였다. 깃이 없는 배자는 받침옷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연출할 수 있다. 생활한복 배자의 주요 소재는 전통소재인 모시와 노방을 사용하였고, 린넨과 견직물을 부분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전통소재의 일부는 천연염색으로 색상을 연출하였으며 함께 사용한 소재의 색상은 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상으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생활한복 배자 디자인과 이를 다른 옷과 함게 스타일링하는 활용법을 제안하였다. 소재의 특성상 겨울에 착용이 어렵고, 부분적으로 매치한 천연염색 소재는 색상이 아름답지만 희소성있는 원단이라는 점에서 넓은 면적에 사용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의 품목을 확장하고, 다양한 활용법을 제시할 계획이다.
      번역하기

      1900년대 말 서양 문물이 들어오면서 전통한복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형하려는 시도가 지속되어 왔다. 이후 서양복이 일상화되면서 사람들이 한복을 입는 일이 많이 줄...

      1900년대 말 서양 문물이 들어오면서 전통한복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형하려는 시도가 지속되어 왔다. 이후 서양복이 일상화되면서 사람들이 한복을 입는 일이 많이 줄어들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생활한복’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는데, 처음 생활한복 브랜드가 만들어지던 시기에는 젊은 층의 관심은 거의 받지 못했다. 2000년대 이후 전통한복의 구조를 과감하게 변형하고 다양한 소재와 문양을 활용하는 생활한복 디자인이 한복 시장의 새로운 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과 SNS를 통한 새로운 유통채널이 생기면서 생활한복 브랜드의 신진 디자이너들의 활동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전통한복의 요소를 패션 트렌드와 결합하는 시도는 한류열풍과 더불어 전 세계의 관심을 받으며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한복 중 가장 활용도가 높은 복식의 하나인 배자를 활용하여 생활한복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의 깃이 없는 형태의 배자를 활용하여 6개의 생활한복으로 디자인하였다. 깃이 없는 배자는 받침옷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연출할 수 있다. 생활한복 배자의 주요 소재는 전통소재인 모시와 노방을 사용하였고, 린넨과 견직물을 부분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전통소재의 일부는 천연염색으로 색상을 연출하였으며 함께 사용한 소재의 색상은 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상으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생활한복 배자 디자인과 이를 다른 옷과 함게 스타일링하는 활용법을 제안하였다. 소재의 특성상 겨울에 착용이 어렵고, 부분적으로 매치한 천연염색 소재는 색상이 아름답지만 희소성있는 원단이라는 점에서 넓은 면적에 사용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의 품목을 확장하고, 다양한 활용법을 제시할 계획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나영, "한복개량 운동에 관한고찰 : 여성복을 중심으로" 15 : 1990

      2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의식주 생활 사전ㄱ∼ㅂ" 국립민속박물관 29-, 2017

      3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187-, 1998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이은형, "한국 전통 배자의 복식사적 고찰과 현대화 작업"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9

      6 조민숙 ; 이미석 ; 김정호, "철릭을 응용한 원피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63 (63): 51-60, 2013

      7 하지현 ; 김희은, "철릭 원피스 패턴 개발과 착의 평가" 한국의류산업학회 21 (21): 656-664, 2019

      8 문윤경, "조선시대 배자의 특징을 응용한 베스트 디자인 연구" 한복문화학회 15 (15): 115-130, 2012

      9 양숙향, "조각보와 매듭을 활용한 전통 배자 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6 (16): 189-203, 2014

      10 박지원 ; 이미석 ; 김정호, "전통보자기 기법을 응용한 배자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67 (67): 133-148, 2017

      1 홍나영, "한복개량 운동에 관한고찰 : 여성복을 중심으로" 15 : 1990

      2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의식주 생활 사전ㄱ∼ㅂ" 국립민속박물관 29-, 2017

      3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187-, 1998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이은형, "한국 전통 배자의 복식사적 고찰과 현대화 작업"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9

      6 조민숙 ; 이미석 ; 김정호, "철릭을 응용한 원피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63 (63): 51-60, 2013

      7 하지현 ; 김희은, "철릭 원피스 패턴 개발과 착의 평가" 한국의류산업학회 21 (21): 656-664, 2019

      8 문윤경, "조선시대 배자의 특징을 응용한 베스트 디자인 연구" 한복문화학회 15 (15): 115-130, 2012

      9 양숙향, "조각보와 매듭을 활용한 전통 배자 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6 (16): 189-203, 2014

      10 박지원 ; 이미석 ; 김정호, "전통보자기 기법을 응용한 배자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67 (67): 133-148, 2017

      11 김월계, "전통배자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105-115, 2011

      12 김성민 ; 홍나영, "저지를 사용한 생활한복 디자인" 한복문화학회 21 (21): 125-140, 2018

      13 고부자,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271-273, 2001

      14 경기도박물관, "심수륜 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212-, 2004

      15 안명숙 ; 허승연 ; 차수정, "신한복 저고리에 대한 인식과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23 (23): 5-16, 2020

      16 정혜경, "생활한복의 형성 배경과 그 내용적 특성에 대한 고찰" 51 (51): 27-42, 2001

      17 정경임, "생활한복의 상의 원형에 관한 소고" 6 : 41-48, 2002

      18 박영선, "생활한복 이미지를 활용한 캐주얼웨어 디자인 개발" 한국복식학회 55 (55): 25-42, 2005

      19 박두이, "배자(背子)의 양식변천(樣式變遷)에 관한 고찰(考察)"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88

      20 "배자"

      21 김월계, "방한용 전통배자의 재현과 현대적 활용을 위한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0 (10): 21-34, 2010

      22 김주희, "문화이론에 따른 근현대 한복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23 김명옥 ; 서미아 ; 이연희, "동화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이용한 어린이생활한복 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0 (10): 69-78, 2008

      24 이시현, "데님 소재와 조각보 모티프를 활용한 생활한복 디자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25 안명숙, "기성복 브랜드에 나타난 신(新)한복 저고리의 현황 및 유형 분석-9개 브랜드를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41) : 105-131, 2020

      26 조우현 ; 김미진 ; 김혜영, "근대이후 여성 생활한복의 특징 및 변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7 (7): 261-282, 2005

      27 고려대학교박물관, "고려대학교박물관 명품도록" 중앙문화인쇄 102-, 2007

      28 조오순, "褙子디자인 開發에 관한 硏究(Ⅰ) 傳統褙子의 實物製作을 中心으로" 7 (7): 137-149, 2003

      29 경기도박물관, "衣紋의 조선 : 옷" 민속원 162-, 2016

      30 홍나영, "後短方領半臂에 관한 고찰" 44 : 118-, 1999

      3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中)" 네오프린텍 147-, 2004

      32 최은영, "90년대 후반 생활한복의 혁신 특성과 채택에 관한 연구" 26 (26): 1093-1104, 2002

      33 정혜란 ; 이은진, "2010년 이후 한복의 새 패러다임 사례" 한복문화학회 21 (21): 97-108, 2018

      34 김여경, "2000년 이후 인쇄매체에 나타난 한복의 조형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5 이수연, "18세기 이후 배자의 유행과 확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36 이은주, "17세기의 무관의 옷이야기" 민속원 93-, 2004

      37 이기연, "'우리옷입기운동'에 관한 연구 : 질경이우리옷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