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05년 고려대학교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고려대학교 박물관이 ‘백주년기념 삼성관’으로 이전함에 따라 2001-2005년까지의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103086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7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07.8
2007
한국어
서울
iv, 175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이숙자
단면인쇄임
부록수록
참고문헌 : p. 163-17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05년 고려대학교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고려대학교 박물관이 ‘백주년기념 삼성관’으로 이전함에 따라 2001-2005년까지의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본 논문은 2005년 고려대학교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고려대학교 박물관이 ‘백주년기념 삼성관’으로 이전함에 따라 2001-2005년까지의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국내 대학박물관의 효시인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현황을 살펴봄으로 대학박물관 역할과 기능을 알아보았다. 이 중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박물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분야별로 포괄적,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그리하여 분야에 따라 다른 대학박물관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활성화 방안 역시 같이 제시되었다.
제1 장에서는 대학박물관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박물관의 개념 및 변천, 대학박물관의 역사와 기능, 대학박물관의 현황 및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역사와 연혁을 알아보았다.
제 2장에서는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현황을 시설, 전시, 교육과 학술 활동, 홍보, 기증 등으로 나누어 조사 및 연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 연구를 위해 2001년부터 2005년 사이의 현황을 제시 하였으나 고려대학교 박물관 이전 전과 후가 최근 5년간의 결과를 통해 나타났다.
제 3장에서는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나누어 소통의 활성화 방안, 시설의 활성화 방안, 사업의 활성화 방안으로 크게 제시하고 각각의 방안에 연구와 분석을 바탕으로 한 일반론 적 제안과 구체적인 제안을 함께 하였다. 특히 관람객 연구의 중요성과 뮤지업 샵의 경제성을 높이는 방법을 강조하였다.
마지막 장에는 본 연구의 결론으로 마무리 하였다.
대중들에게 제공된 문화활동은 점차 그 범주가 확대되었고 대중들은 여가활동에 대한 욕구를 키워가면서 박물관에 더 쉽게 접근하길 원한다. 관람객에게 그들이 추구하는 자아개발에 대한 미적 체험과 교육적 가치를 충족시켜 주면서, 동시에 여가선용활동의 일환으로써 사회적 경험을 제공해주기 위해 편안한 전시환경을 마련해 줘야한다. 관람객이 박물관에게 기대하는 새로운 에듀테이먼트(edutainment)의 역할을 잘 수행하여 다른 여가활동과의 경쟁에서 보다 경쟁력을 갖고 더 많은 관람객을 모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박물관의 단점은 보완하고 특성과 장점을 최대 활용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