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대 식민지 戶籍의 주소 양식은 戶의 순번에서 垈地의 지번으로 변화한다. 일부 호구만 선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된 주소로 모든 주민을 파악하는 방식이다. 나아가 개개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85520
2020
-
식민지호적 ; 농촌가족 ; 거주이동 ; 동성촌락 ; 계층 ; 혈연 ; colonial-era household register ; rural family ; residence migration ; same family-name village ; social class ; blood ties
KCI등재
학술저널
409-449(4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10년대 식민지 戶籍의 주소 양식은 戶의 순번에서 垈地의 지번으로 변화한다. 일부 호구만 선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된 주소로 모든 주민을 파악하는 방식이다. 나아가 개개인...
1910년대 식민지 戶籍의 주소 양식은 戶의 순번에서 垈地의 지번으로 변화한다. 일부 호구만 선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된 주소로 모든 주민을 파악하는 방식이다. 나아가 개개인의 ‘出身’을 本籍地라는 지리적 연원에서만이 아니라 가족의 혈연적 연원에서 파악하는 호적 등재방식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주민의 빈번한 거주이동은 소위 ‘동성촌락’이라는 혈연적 지역공동체의 형성을 방해하는 요소였다.
거주이동은 대지를 소유하지 못한 가족들 가운데 높은 비율로 일어났다. 거주의 불안정성이 그 원인일 것이다. 이들은 주로 여러 군소 성씨들이지만, 주민의 다수를 차지하는 성씨의 가족들도 포함된다. 거주의 안정성을 보장할 정도로 同姓이라는 혈연적 연대가 강고하지는 않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넓은 대지를 소유하는 가족 가운데에서도 거주이동이 발생했다. 사회경제적 안정성을 갖추어도 정착하지 않는 부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주로 군소 성씨의 가족 가운데 나타난다. 다수파 성씨인 경우는 世居地에 근거를 두고 도시에서 활동하려는 가족인 반면, 이들 군소 성씨의 거주이동은 다수파 성씨들의 배타성이 그 하나의 원인이 아닐까 여겨진다.
‘동성촌락’에는 다수파 성씨 가족들이 부계혈연적인 결집을 강조하며 마을의 주도적 세력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거기에는 주민의 계층성과 혈연성의 역학관계가 다양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lonial-era household register address system in the 1910s was changed from the order of households to the lot number of the building sites. Previously, only a few households and members of households were optionally identified, but they were cha...
The colonial-era household register address system in the 1910s was changed from the order of households to the lot number of the building sites. Previously, only a few households and members of households were optionally identified, but they were changed to take a census of all residents living in fixed addresses. Furthermore, in the new household register format, the 'origin' of individuals was changed from the method of recording only geographical origin, called domicile of origin, to the method of additional identification of family blood ties. However, the frequent movement of residents was an obstacle to the formation of a kindred community called 'Same family-name Villages'.
Residence migrations occurred in a high rate among families who did not own land. The instability of the residence may be the cause. These were mainly minority family-names, but they also include the members of the same family-name, which accounts for a large number of residents. It can be said that the blood ties of the same family-name was not strong enough to guarantee the stability of the residence. Meanwhile, residence migration occurred even among families with large land. In other words, there existed a class that does not settle down even with socioeconomic stability. This was mainly seen among the families of the minority family-name.
In the case of majority family-names, they were family members who wanted to work in the city based on the family residence. On the other hand, it is believed that the migration of minority family-names were caused by exclusivity from the majority family-names in the same area. In Same family-name Villages, the majority family-names came to be the leading force of the village as emphasizing the cohesion of the paternal kindred group. But there were various dynamics between the social class and blood ties of the resid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慶尙南道丹城郡面洞疆界略圖」, 1914년 1월 臨時土地調査局 작성"
2 손병규, "한말?일제초 제주 하모리의 호구파악―光武戶籍과 民籍簿의 비교 분석―" 대동문화연구원 (54) : 2-39, 2006
3 권내현, "조선후기 평민 동성촌락의 성장" 민족문화연구원 (52) : 1-34, 2010
4 김건태, "조선후기 마을 위상과 전세량의 관계" 서울大學校 國史學科 65 : 2019
5 손병규, "조선후기 거주이동과 혈연적 연대의 관계 -단성지역 합천이씨 가계들의 호적과 족보 분석을 통해-" 고려사학회 (79) : 191-224, 2020
6 손병규, "식민지시대의 호구조사와 민의 대응, 그 전통성의 관점에서" 수선사학회 (40) : 23-49, 2011
7 박희진, "식민지기 언양지역 延安宋氏 가계의 토지상속" 대동문화연구원 (92) : 357-378, 2015
8 손병규, "식민지 시대 除籍簿의 인구정보 ― 경상도 산청군 신등면 제적부의 자료적 성격 ―" 수선사학회 (30) : 173-200, 2008
9 "산청군 신등면 제적부"
10 정진영, "대구지역 한 양반가의 호적자료 검토 - 戶의 移居와 혈연결합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98) : 231-272, 2010
1 "「慶尙南道丹城郡面洞疆界略圖」, 1914년 1월 臨時土地調査局 작성"
2 손병규, "한말?일제초 제주 하모리의 호구파악―光武戶籍과 民籍簿의 비교 분석―" 대동문화연구원 (54) : 2-39, 2006
3 권내현, "조선후기 평민 동성촌락의 성장" 민족문화연구원 (52) : 1-34, 2010
4 김건태, "조선후기 마을 위상과 전세량의 관계" 서울大學校 國史學科 65 : 2019
5 손병규, "조선후기 거주이동과 혈연적 연대의 관계 -단성지역 합천이씨 가계들의 호적과 족보 분석을 통해-" 고려사학회 (79) : 191-224, 2020
6 손병규, "식민지시대의 호구조사와 민의 대응, 그 전통성의 관점에서" 수선사학회 (40) : 23-49, 2011
7 박희진, "식민지기 언양지역 延安宋氏 가계의 토지상속" 대동문화연구원 (92) : 357-378, 2015
8 손병규, "식민지 시대 除籍簿의 인구정보 ― 경상도 산청군 신등면 제적부의 자료적 성격 ―" 수선사학회 (30) : 173-200, 2008
9 "산청군 신등면 제적부"
10 정진영, "대구지역 한 양반가의 호적자료 검토 - 戶의 移居와 혈연결합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98) : 231-272, 2010
11 김건태, "광무양전의 토지파악 방식과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84) : 287-346, 2013
12 "順天朴氏判尹公派譜"
13 손병규, "民籍法의 ‘戶’ 규정과 변화―일본의 明治戶籍法 시행경험과 ‘朝鮮慣習’에 대한 이해로부터" 대동문화연구원 1 (1): 81-115, 2007
14 "朝鮮五萬分一地形圖"
15 善生永助, "朝鮮の聚落(後篇)" 조선총독부 1933
16 백승민, "日帝時代 在村中小地主家의 土地相續-丹溪里 安東權氏 및 順天朴氏의 사례분석" 성균관대 2018
17 박희진, "日帝下 彦陽地域 寄留家口의 分居* - 『居住登錄簿』의 分析 -" 한국고문서학회 34 : 61-82, 2009
18 손병규, "戶籍과 族譜의 자료적 특성과 연구방법 ― 17C~20C 초 丹城地域 培養洞 陜川李氏들을 추적하며" 대동문화연구원 (102) : 41-80, 2018
19 김건태, "戶口出入을 통해 본 18세기 戶籍大帳의 編制方式 - 丹城戶籍大帳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44 : 171-207, 2003
20 "慶尙道 山淸郡 新等面 丹溪里 토지대장"
21 "安東權氏派譜(東溪公派)"
22 "丹城郡新等面丹溪里原圖(1914년11월15일 측도완성)"
23 손병규, "20세기 초 한국의 族譜 편찬과‘同族集團’ 구상 - 경상도 丹城地域 安東權氏 몇 가계의 사례" 대동문화연구원 (91) : 65-92, 2015
24 김건태, "20세기 전반 동성촌락의 경제적 변화 ―장흥군 용산면 칠리안속 마을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7) : 7-36, 2009
25 박이택, "20세기 언양지역의 가족구성의 변천 ― 언양읍 제적부와 재제부의 분석" 대동문화연구원 (83) : 347-386, 2013
26 박이택, "20세기 언양지역에서의 집성촌의 추이와 인구동학" 대동문화연구원 (102) : 379-408, 2018
27 정진영, "19세기후반-20세기전반 在村 兩班地主家의 농업경영(2) - 경상도 단성 김인섭가의 병작지 경영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67) : 139-185, 2008
28 정진영, "19세기 중반∼20세기 초반 在村 兩班地主家의 농업경영―경상도 단성 金麟燮家의 家作地 경영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2) : 105-148, 2008
29 崔允榛, "1930년대 朝鮮의 同族部落과 同族集團; 丹城地域 同族部落의 形成過程을 통해서 본 朝鮮後期 鄕村社會의 단면" 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 5 : 1992
30 송양섭, "18~19세기 동래부 동하면의 ‘면중(面中)'과 잡역운영" 한국역사연구회 (112) : 237-274, 2019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사’ 연구와 새로운 역사상의 모색 ― 근대중심주의(moderno-centrism) 비판과 트랜스히스토리칼(trans-historical)한 접근
‘자료(資料)’ 연구로 본 동아시아학술원 20년 ― 호적(戶籍)과 간독(簡牘) 자료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8-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DAEDONG MUNHWA YEON'GU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6-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astern Studies ->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9 | 1.09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5 | 1.776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