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남 지역 <춘향전>(23종)에 대한 필사자의 성별과 신분계층을 분석하여 지역별 문학적 대응을 살펴보았다. 필사본 <춘향전>은 1754-1944년까지 유통되었는데 <별춘향전> 계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74651
김재웅 (경북대학교)
2022
Korean
Chunhyangjeon ; transcription ; Yeongnam ; Honam ; scribe ; Literary Response ; Gender ; Class of Status ; 춘향전 ; 필사 ; 전통 ; 영남 ; 호남 ; 필사자 ; 문학적 대응 ; 성별 ; 신분계층
KCI등재
학술저널
27-60(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영・호남 지역 <춘향전>(23종)에 대한 필사자의 성별과 신분계층을 분석하여 지역별 문학적 대응을 살펴보았다. 필사본 <춘향전>은 1754-1944년까지 유통되었는데 <별춘향전> 계열(...
영・호남 지역 <춘향전>(23종)에 대한 필사자의 성별과 신분계층을 분석하여 지역별 문학적 대응을 살펴보았다. 필사본 <춘향전>은 1754-1944년까지 유통되었는데 <별춘향전> 계열(21종)이 가장 풍부한 실정이다. <춘향전> 필사자의 성별은 지역별 편차를 보여준다. 영남에서는 여성이 필사의 전통에 참여했다면 호남에서는 남성이 필사의 전통에 참여하고 있다. 영남 여성은 언문 학습을 통한 유교윤리를 체득했다면, 호남 남성은 탐관오리 비판과 공동체적 민중의식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춘향전>(8종)은 몰락한 선비집안의 사람들이 필사했다. 이들 작품에는 춘향의 절개와 여성의 욕망이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목태림의 <춘향신설>, 유진한의 <춘향가>는 선비집안 남성이 필사했다. 농사주기를 살펴보면 <춘향전>(13종)은 농한기에 필사되었다. 농한기에는 몰락한 선비집안 사람들과 농민들도 작품을 필사할 시간적 여유가 있었다.
영・호남 <춘향전> 필사자의 텍스트 분석을 통한 문학적 대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남에는 독서물적 성격, 호남에는 판소리 창본의 성격이 풍부한 지역별 텍스트의 개별성을 보여준다. 영남에는 이야기의 전개에 초점을 맞춘 독서물적 성격을 보여준다. 호남에는 판소리 공연에 활용된 장단 표시와 욕설이 첨가된 창본의 성격이 강화되어 있다.
둘째, <춘향전> 서두는 ‘절대가인’보다 ‘숙종대왕’이 풍부하다. 영남에는 이도령 중심의 초기본의 성격을 보여준다면, 호남에는 춘향 중심의 후대본의 성격을 보여준다. 작품의 결말은 이도령과 춘향이 부귀영화를 누리는 유교적 보상이 첨가된 보편성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영남에는 사랑가의 축약과 이별가의 확장이 풍부하게 나타난다. 호남에는 사랑가와 이별가 대목이 확장되어 있다. 영남에는 사랑가 대목이 축소된 반면에 호남에는 사랑가 대목이 확장된 지역별 특성을 보여준다.
넷째, 봉사의 성적 욕망은 신분계층에 의해서 구분된다. 영남 <춘향전>①,②,⑪ 등에는 몰락한 선비집안에서 봉사의 욕망을 생략한 반면에 <춘향전>⑤-⑨ 등에는 봉사가 춘향의 신체를 더듬는 장면이 첨가되어 있다. 봉사의 성적 욕망이 첨가된 작품은 필사자의 신분계층이 낮았을 것이다. 호남에는 봉사가 춘향의 몸을 더듬는 봉사의 성적 욕망이 생략된 작품이 좀 더 풍부하다.
다섯째, 과거급제와 암행어사의 행동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영남 <춘향전>에는 이몽룡의 과거급제와 암행어사의 관직수행에 공감하고 있다. 호남 <춘향전>(7종)에는 이몽룡의 과거급제보다 암행어사의 직무 수행에 관심을 보인다. 호남에는 암행어사가 신관을 처벌하는 공동체적 민중의식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호남 <춘향전>(23종)에 대한 필사자의 성별과 신분계층을 분석하여 작품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웅, "호남 지역에 유통된 필사본 고소설의 종류와 향유층에 대한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28) : 269-301, 2009
2 김재웅, "호남 지역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 택민국학연구원 (28) : 181-217, 2021
3 이윤석, "향목동 세책 춘향전 연구" 경인문화사 339-411, 2011
4 류준경, "한문본 <춘향전>의 작품 세계와 문학사적 위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5 박순호, "한글필사본고소설자료총서, 47권" 월촌문헌연구소 505-806, 1986
6 박순호, "한글필사본고소설자료총서 18권" 월촌문헌연구소 191-387, 1986
7 윤용식,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495-519, 1990
8 신재홍, "한국 고소설 연구의 쟁점과 전망" 보고사 488-515, 2011
9 김광순,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13권·42권" 경인문화사 1993
10 이문성, "필사본 춘향전 연구" 한국학술정보 8-212, 2008
1 김재웅, "호남 지역에 유통된 필사본 고소설의 종류와 향유층에 대한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28) : 269-301, 2009
2 김재웅, "호남 지역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 택민국학연구원 (28) : 181-217, 2021
3 이윤석, "향목동 세책 춘향전 연구" 경인문화사 339-411, 2011
4 류준경, "한문본 <춘향전>의 작품 세계와 문학사적 위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5 박순호, "한글필사본고소설자료총서, 47권" 월촌문헌연구소 505-806, 1986
6 박순호, "한글필사본고소설자료총서 18권" 월촌문헌연구소 191-387, 1986
7 윤용식,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495-519, 1990
8 신재홍, "한국 고소설 연구의 쟁점과 전망" 보고사 488-515, 2011
9 김광순,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13권·42권" 경인문화사 1993
10 이문성, "필사본 춘향전 연구" 한국학술정보 8-212, 2008
11 김재웅, "필사본 고소설의 지역별 유통양상과 향유층에 대한 실증적 연구" 역락 11-285, 2015
12 신동흔, "평민 독자의 입장에서 본 춘향전의 주제" 판소리학회 6 : 161-218, 1995
13 설성경, "춘향전의 통시적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7-523, 1994
14 김석배, "춘향전의 지평과 미학" 박이정 13-337, 2010
15 한국고소설연구회,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문화사 3-338, 1991
16 이수봉,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문화사 469-504, 1991
17 황혜진, "춘향전의 수용문화" 월인 11-334, 2007
18 이지영, "춘향전의 가치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고전문학회 (44) : 271-298, 2013
19 오수창, "춘향전, 역사학자의 토론과 해석" 그물 5-429, 2020
20 김진영, "춘향전 전집, 1권" 11-482, 1997
21 김진영, "춘향전 전집, 1∼13권" 박이정 2004
22 사성구, "춘향전 연구의 과제와 방향" 국학자료원 129-192, 2003
23 김영희, "춘향전 연구의 과제와 방향" 국학자료원 19-88, 2003
24 설성경, "춘향전 연구의 과제와 방향" 국학자료원 2003
25 김병국,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광학술자료사 10-474, 1994
26 김동욱, "춘향전 비교연구" 삼영사 13-494, 1979
27 李勛相, "조선후기 사회 규범들간의 갈등과 향리사회의 문화적 대응 - 판소리 흥보전과 중재 문화의 발전 -" 판소리학회 16 : 139-180, 2003
28 정노식, "조선창극사" 민속원 7-256, 1989
29 정병설,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4-325, 2016
30 "이부영 소장본, 춘향전"
31 김재웅, "영남 지역 필사본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향유층의 욕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6) : 5-37, 2008
32 김재웅, "영남 지역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 택민국학연구원 (26) : 203-234, 2020
33 최기숙, "언문소설의 문화적 위치와 문자적 근대의 역설 - 근대초기 ‘춘향전’의 매체 변이와 표기문자ㆍ독자층의 상호관련성 -" 민족문화연구원 (60) : 405-444, 2013
34 조동일, "소설의 사회사 비교론, 2권" 지식산업사 117-246, 2001
35 전상욱, "세책 고소설 연구" 혜안 147-205, 2003
36 구사회 ; 이수진 ; 양지욱, "새로 발굴한 가사체 <춘향전>에 대하여" 동양고전학회 (34) : 387-414, 2009
37 뿌리깊은나무박물관, "별춘향전"
38 전상욱, "방각본 춘향전의 성립과 변모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39 박영희, "문학과 사회집단" 문학과 사회집단 319-361, 1995
40 김진영, "명창 장자백 창본 춘향가" 박이정 1-19, 1996
41 "남원향토박물관본, 행열사라"
42 "남원향토박물관 소장본, 행열사라"
43 이윤석, "남원고사 19세기 베스트셀러, 서울의 춘향전" 서해문집 5-397, 2008
44 차충환, "국문필사본 <춘향전>의 계열과 성격" 판소리학회 (18) : 221-279, 2004
45 김일렬,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296-387, 1991
46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목록" 집문당 1999
47 조희웅, "고전소설 연구보정, 하권" 박이정 1070-, 2006
48 임성래, "고문헌 자료의 가치와인식" 보고사 118-136, 2014
49 이창헌, "경판방각소설 춘향전과 필사본 남원고사의 독자층에 대한 연구" 보고사 7-525, 2004
50 김재웅, "경북 지역에 유통된 필사본 고소설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24) : 219-252, 2007
51 金奭培, "春香傳 異本의 生成과 變貌 樣相 연구"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3
52 서보영, "<춘향전> 이본 파생에서 ‘옥중 꿈’의 양상과 역할"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0) : 209-241, 2015
53 성현경, "<춘향신설>과 <광한루기> 비교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8 : 229-257, 1999
54 전신재, "<춘향가>와 죽음의 미학" 한국구비문학회 (17) : 503-530, 2003
20세기 전반기 전남지역 풍류의 전개양상과 경향 ―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
소비자 의식 분석을 통한 광주지역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3-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 ![]() |
2019-06-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 -> 호남학외국어명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The Journal of Honam Studies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2009-06-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8-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41 | 0.508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