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효 교육을 통한 인성함양에 관한 연구 : 육군 학·군제휴대학교 부사관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uilding personality through Hyo(filial piety) education : focusing on department of non-commissioned officer in college with academy-military agre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01609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192.7 판사항(6)

      • DDC

        17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인천

      • 형태사항

        viii, 115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 육군 학·군 제휴 대학 부사관과 현황
        지도교수: 박영희
        참고문헌: p. 105-10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성산효대학원 대학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즘 대학(大學)에서는 학교의 건립이념과 교육목표(敎育目標) 아래 학생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수업(授業)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전문대학교(專門大學校)들은 ‘기업 연계형 대학’ 육성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아래 산학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저마다 취업률 경쟁과 대학 구조조정에서 살아 남기위해 안간 힘을 쓰고 있다.
      그에 반하여 정부통계(政府統計)와 대학에서 설문조사(設問調査)한 내용을 보면 “부사관 및 산업체에서의 신규 채용시 중요한 요건”으로 인성(人性)과 성실성(誠實性)을 가장 중요시 한다는 결과는 요즘 우리사회가 인간성(人間性)을 상실하는 현상들이 자주 일어난다는 반증이 아닌가 싶다. 따라서 미래의 군(軍) 초급간부(初級幹部)로 성장 할 육군 학·군제휴대학부사관과 학생들에 대한 인성교육(人性敎育)은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정신적 가치인 효(孝, HYO)를 현대에 맞게 재해석하여 가르치고 이를 바탕으로 무형전력으로 승화시켜 충무공 이순신의 효충정신(孝忠精神)과 같은 심성(心性)을 기르는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대학 부사관과(副士官科) 학생들은 국가안보(國家安保)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군(軍) 초급간부를 양성(養成) 한다는 차원에서 올바른 인성을 갖추게 하는 것은 학·군제휴의 주된 목적(目的)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제Ⅰ장에서는 서론(序論) 부분으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방향과 제한점을 제시하였으며 제Ⅱ장에서는 ‘대학 부사관과에 대한 제도적 배경’과 ‘효 교육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인성과 대학 인성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대학 부사관과(副士官科)의 인성교육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육군 학·군제휴부사관과 각 대학의 건학이념(建學理念)과 교육목적, 교육목표를 분석하여 대학에서 추구하는 교육철학(敎育哲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 부사관과에서는 교양과목으로 인성교육이 어느 정도 실시되고 있는지와 타(他)전공계열과의 인성교육 교과편성을 상호 비교 분석하였으며, 선행 연구로서 4년제 대학(교육대학 및 사범대학) 인성교육 교과편성과 군(軍) 및 산업체 채용기준 변화에 따른 만족도 설문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 2015년도에는 “대학 구조개혁 평가”였으나 2018년도는 “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로 바뀌었음.
      에 따른 진단지표와 현재 법률(法律)로 제정된『인성교육진흥법』과 『효행장려및지원에관한법률』그리고 「2018년 부사관 모집선발 공고문」등을 함께 검토하면서 부사관과(副士官科) 학생들을 비롯한 대학생들에 대한 인성교육의 실태와 문제점(問題點)을 고찰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 부사관과(副士官科) 인성교육의 현상분석을 통해 얻은 내용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효(孝,HYO)를 통한 인성교육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提示)하였다
      첫째, 각 대학의 교육철학과 교육부의『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에 따른 진단지표와 대학 교양과목 교과편성이 서로 상충(相沖)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화(調和)를 이루도록『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에는 전공 및 교양교육과정에 인성교육의 교육과정을 포함시켜 대학 평가 진단지표로 삼도록 <표Ⅳ-1>와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육군 학·군제휴부사관과는 군(軍) 간부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으로 효(孝,HYO)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으로 나라를 사랑하는 충(忠)으로 까지 승화(昇華)시킬 수 있는 교과목을 편성하고 실천 가능한 교육방법 등으로 실질적으로 전공분야와 연관된 실천교육으로 거듭나야하기에 <표Ⅳ-2>와 같이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인성교육은 전생애(全生涯)에 걸쳐 실시함이 마땅하기에 이러한 인성교육을 법률적으로 어떤 특정 교육대상을 배제하거나 애매(曖昧)한 내용은 올바른 교육지침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인성교육진흥법』과 『효행장려및지원에관한법률』에 명시된 교육에 대상을 『고등교육법』에 해당하는 ‘대학교’도 포함시키고, 『효행장려 지원에 관한 법률』제5조 효 교육의 장려에 있어서 ‘효행교육을 실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가 아니라 ‘효행교육을 해야 한다.’로 <표Ⅳ-3>, <표Ⅳ-4>처럼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육군에서도 학·군제휴대학부사관과 교양 필수과목에 인성교육 과목을 육군 지정과목으로 추가하고 그에 따라 부사관 선발시 직무수행능력 평가내용과 배점기준을 <표Ⅳ-5>, <표Ⅳ-6>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들 특히, 부사관과(副士官科) 학생들에게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정신적 가치인 효(孝,HYO)를 인성교육과 잘 융합(融合)시켜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8대 핵심가치(核心價値) 덕목과 함께 대학생들에게 맞는 인성교육 교과목을 편성하고 교육함으로서 올바른 인성을 지닌 지성인을 양성하는데 심혈을 기울려야 함이 교육자가 할 일이다. 왜냐하면 부사관과(副士官科) 학생들은 미래(未來)의 군(軍)을 선도할 주역(主役)들이며 효(孝,HYO)교육을 통하여 나라사랑인 충(忠)으로 까지 승화(昇華)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요즘 대학(大學)에서는 학교의 건립이념과 교육목표(敎育目標) 아래 학생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수업(授業)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전문대학교(專門大學校)들은 ‘기업 연계형 대학’ 육성을...

      요즘 대학(大學)에서는 학교의 건립이념과 교육목표(敎育目標) 아래 학생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수업(授業)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전문대학교(專門大學校)들은 ‘기업 연계형 대학’ 육성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아래 산학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저마다 취업률 경쟁과 대학 구조조정에서 살아 남기위해 안간 힘을 쓰고 있다.
      그에 반하여 정부통계(政府統計)와 대학에서 설문조사(設問調査)한 내용을 보면 “부사관 및 산업체에서의 신규 채용시 중요한 요건”으로 인성(人性)과 성실성(誠實性)을 가장 중요시 한다는 결과는 요즘 우리사회가 인간성(人間性)을 상실하는 현상들이 자주 일어난다는 반증이 아닌가 싶다. 따라서 미래의 군(軍) 초급간부(初級幹部)로 성장 할 육군 학·군제휴대학부사관과 학생들에 대한 인성교육(人性敎育)은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정신적 가치인 효(孝, HYO)를 현대에 맞게 재해석하여 가르치고 이를 바탕으로 무형전력으로 승화시켜 충무공 이순신의 효충정신(孝忠精神)과 같은 심성(心性)을 기르는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대학 부사관과(副士官科) 학생들은 국가안보(國家安保)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군(軍) 초급간부를 양성(養成) 한다는 차원에서 올바른 인성을 갖추게 하는 것은 학·군제휴의 주된 목적(目的)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제Ⅰ장에서는 서론(序論) 부분으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방향과 제한점을 제시하였으며 제Ⅱ장에서는 ‘대학 부사관과에 대한 제도적 배경’과 ‘효 교육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인성과 대학 인성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대학 부사관과(副士官科)의 인성교육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육군 학·군제휴부사관과 각 대학의 건학이념(建學理念)과 교육목적, 교육목표를 분석하여 대학에서 추구하는 교육철학(敎育哲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 부사관과에서는 교양과목으로 인성교육이 어느 정도 실시되고 있는지와 타(他)전공계열과의 인성교육 교과편성을 상호 비교 분석하였으며, 선행 연구로서 4년제 대학(교육대학 및 사범대학) 인성교육 교과편성과 군(軍) 및 산업체 채용기준 변화에 따른 만족도 설문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 2015년도에는 “대학 구조개혁 평가”였으나 2018년도는 “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로 바뀌었음.
      에 따른 진단지표와 현재 법률(法律)로 제정된『인성교육진흥법』과 『효행장려및지원에관한법률』그리고 「2018년 부사관 모집선발 공고문」등을 함께 검토하면서 부사관과(副士官科) 학생들을 비롯한 대학생들에 대한 인성교육의 실태와 문제점(問題點)을 고찰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 부사관과(副士官科) 인성교육의 현상분석을 통해 얻은 내용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효(孝,HYO)를 통한 인성교육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提示)하였다
      첫째, 각 대학의 교육철학과 교육부의『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에 따른 진단지표와 대학 교양과목 교과편성이 서로 상충(相沖)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화(調和)를 이루도록『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에는 전공 및 교양교육과정에 인성교육의 교육과정을 포함시켜 대학 평가 진단지표로 삼도록 <표Ⅳ-1>와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육군 학·군제휴부사관과는 군(軍) 간부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으로 효(孝,HYO)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으로 나라를 사랑하는 충(忠)으로 까지 승화(昇華)시킬 수 있는 교과목을 편성하고 실천 가능한 교육방법 등으로 실질적으로 전공분야와 연관된 실천교육으로 거듭나야하기에 <표Ⅳ-2>와 같이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인성교육은 전생애(全生涯)에 걸쳐 실시함이 마땅하기에 이러한 인성교육을 법률적으로 어떤 특정 교육대상을 배제하거나 애매(曖昧)한 내용은 올바른 교육지침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인성교육진흥법』과 『효행장려및지원에관한법률』에 명시된 교육에 대상을 『고등교육법』에 해당하는 ‘대학교’도 포함시키고, 『효행장려 지원에 관한 법률』제5조 효 교육의 장려에 있어서 ‘효행교육을 실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가 아니라 ‘효행교육을 해야 한다.’로 <표Ⅳ-3>, <표Ⅳ-4>처럼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육군에서도 학·군제휴대학부사관과 교양 필수과목에 인성교육 과목을 육군 지정과목으로 추가하고 그에 따라 부사관 선발시 직무수행능력 평가내용과 배점기준을 <표Ⅳ-5>, <표Ⅳ-6>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들 특히, 부사관과(副士官科) 학생들에게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정신적 가치인 효(孝,HYO)를 인성교육과 잘 융합(融合)시켜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8대 핵심가치(核心價値) 덕목과 함께 대학생들에게 맞는 인성교육 교과목을 편성하고 교육함으로서 올바른 인성을 지닌 지성인을 양성하는데 심혈을 기울려야 함이 교육자가 할 일이다. 왜냐하면 부사관과(副士官科) 학생들은 미래(未來)의 군(軍)을 선도할 주역(主役)들이며 효(孝,HYO)교육을 통하여 나라사랑인 충(忠)으로 까지 승화(昇華)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 5
      • 국문초록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 5
      • Ⅱ. 이론적 고찰
      • 1. 부사관과(副士官科)에 대한 제도적 배경 7
      • 가. 학·군 제휴 대학 제도 연혁 7
      • 나. 육군 부사관 획득절차 9
      • 다. 군 장학생 선발과정 10
      • 라. 부사관의 역할과 책임 13
      • 마. 육군 기술부사관의 역할 14
      • 2. 효(孝) 교육에 대한 이해 16
      • 가. 효(孝)와 교육(敎育)의 관계 16
      • 1) ‘교육의 글자(어원)’로 본 교육과 효의 관계 17
      • 2) ‘교육의 세 마당’으로 본 교육과 효의 관계 19
      • 나. 효의 의미 26
      • 1) 문자(文字)에 나타난 효(孝, HYO)의 의미 27
      • 2) 효의 개념적 의미 29
      • 다. 효의 패러다임 전환 및 전통적 효교육 고찰 32
      • 1) 효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이해 34
      • 2) 우리의 전통적 효사상 36
      • 3) 전통적 효사상 및 사례에 대한 비판과 반성 39
      • 3. 인성(人性)과 대학(大學) 인성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43
      • 가. 인성에 대한 이해 43
      • 1) 인성의 개념과 정의 44
      • 2) 인성의 작용과 효의 연관성 46
      • 나. 대학 인성교육에 대한 이해 49
      • 1) 인성교육에 대한 견해와 정의 49
      • 2) 인성교육의 효과 52
      • 3) 인성교육의 교육방향 56
      • 4) 대학 인성교육의 필요성 58
      • Ⅲ. 대학 부사관과(副士官科)의 인성교육 현상분석
      • 1. 인성교육 현실태와 산업체 채용 만족도 분석 62
      • 가. 부사관과(副士官科) 대학의 교육철학 분석 63
      • 나. 부사관과(副士官科) 대학의 인성교육 교과편성 분석 67
      • 다. 타(他) 전공계열과(專攻系列科)의 인성교육 교과편성 비교분석 69
      • 라. 4년제 대학 인성교육 교과편성 및 과목명 분석 71
      • 마. 군(軍) 및 산업체 채용기준 변화와 만족도 설문 분석 74
      • 2. 부사관과(副士官科)의 인성교육 문제점 79
      • 가. 대학 교육철학과 교육부 평가 및 대학 교양과목 편성의 부적절 79
      • 나. 대학은 군(軍) 및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성교육 부재 현상 82
      • 다. 인성교육 대상(對象) 제한과 법률의 모호성 85
      • Ⅳ. 효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효과성 제고 방안
      • 1. 대학 부사관과(副士官科) 효를 통한 인성교육 발전방안 87
      • 가. 교육부에서 시행하는 ‘전문 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 개선방안 87
      • 나. 부사관과(副士官科) 인성교육 교과편성 전반적인 개선방안 90
      • 다. ‘인성교육진흥법’과 ‘효행장려및지원에관한법률’ 개정방안 94
      • 2. 인성교육에 따른 부사관 선발기준 개선방안 96
      • 가. 육군지정 교육과목 개선방안 96
      • 나. 직무수행능력 평가배점 개선방안 97
      • Ⅴ. 결 론
      • 1. 연구결과 종합 100
      • 2. 제언 103
      • ■ 참 고 문 헌 105
      • ■ ABSTRACT 109
      • ■ 부 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