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취업경로가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매년 조사하는 제6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원자료를 활용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682622
2015
Korean
336
KCI등재
학술저널
197-228(32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취업경로가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매년 조사하는 제6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원자료를 활용하...
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취업경로가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매년 조사하는 제6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고용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경제학적 접근법, 사회학적 접근법, 심리학적 접근법으로 크게 3가지 분류한 뒤 경제학적 접근법으로는 임금 및 복리후생, 사회학적 접근법으로는 사업체 규모, 종사상 지위, 작업환경, 심리학적 접근법으로는 직무만족도와 배려 등 총 7개 지표로 고용의 질 지표를 구성하여 취업경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취업경로는 공공기관을 통한 취업, 민간기관을 통한 취업, 사회연결망을 통한 취업, 직접 취업 등 4가지로 경로로 나누어 사회연결망을 통한 취업을 기준변수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기관을 통한 취업이 사회연결망을 통해 취업한 경우보다 복리후생, 사업체 규모, 작업환경, 직무만족도 등에서 더 고용의 질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간기관을 통한 취업도 사회연결망을 통해 취업한 경우보다 임금, 복리후생, 사업체 규모 등에서 고용의 질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요인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노동부 등 공공기관이 약 25년간 꾸준히 장애인 고용 정책과 장애인 고용환경개선 사업을 펼쳐왔던 점을 제시하였다. 반면 종사상 지위, 배려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아직까지 비정규직 비율이 59.1%로 높고, 장애인 고용을 위해 직무 및 근로시간 조정 배려를 한 사업체가 7.3%에 불과한 점 등이 고려되었다. 취업경로에 따라 장애인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연결망 경로보다 공식경로, 그 중에서도 공공기관을 통한 경로가 더욱 효과적이었음에도 장애인들의 사회연결망 경로를 통하여 취업하는 비중이 68.2%로 높다는 점을 들어, 공단 등 공공기관에서 장애인 고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금보다 더 많은 장애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 지금보다 더 인력을 확충하여 폭넓은 취업알선 등 직업재활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influence of employment pathway on vocational qua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t examined a secondary dataset,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influence of employment pathway on vocational qua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t examined a secondary dataset,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KEAD). The quality of employment was categorized through economical approach (salary and vocational well-being), social approach (the size of sector, job level, and work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approach (job satisfaction, and job consideration). The trajectory of getting employment was categorized public sector pathway, private sector pathway, social-networking related pathway, and directive employment pathway namely. The reference pathway was social-networking related pathway.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mployment pathway through public sector was likely to have greater quality of employment (i.e., vocational well-being, the size of sector,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compared with social-networking related pathway. The employment pathway through private sector, compared with social-networking related pathway, was also more likely to have greater employment quality (i.e., salary, vocational well-being, and the size of sector). The authors also discus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지영, "학력과 구직경로가 청년들의 첫 일자리 임금수준과 전공일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27, 2011
2 김성훈, "취업자의 사회 연결망 활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26 (26): 209-230, 2003
3 이경상, "취업시장에서의 개인적 연결망의 특성과 직업성취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4 김용탁, "취업경로가 장애인 근로자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 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1
5 김성훈, "전문직의 취업경로:사회연결망과 공식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0 (40): 137-177, 2006
6 강철희, "재취업자의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재취업 고용형태와 임금수준 예측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사회보장학회 20 (20): 83-116, 2004
7 이운식, "장애인근로자의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1 (21): 1-22, 2011
8 김용탁, "장애인 취업자의 취업경로 분석: 사회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5-26, 2011
9 김용탁, "장애인 취업자의 취업경로 분석 : 사회연결망을 중심으로" 69-88, 2010
10 유동철, "장애인 취업알선 서비스가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5-26, 2008
1 원지영, "학력과 구직경로가 청년들의 첫 일자리 임금수준과 전공일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27, 2011
2 김성훈, "취업자의 사회 연결망 활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26 (26): 209-230, 2003
3 이경상, "취업시장에서의 개인적 연결망의 특성과 직업성취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4 김용탁, "취업경로가 장애인 근로자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 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1
5 김성훈, "전문직의 취업경로:사회연결망과 공식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0 (40): 137-177, 2006
6 강철희, "재취업자의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재취업 고용형태와 임금수준 예측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사회보장학회 20 (20): 83-116, 2004
7 이운식, "장애인근로자의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1 (21): 1-22, 2011
8 김용탁, "장애인 취업자의 취업경로 분석: 사회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5-26, 2011
9 김용탁, "장애인 취업자의 취업경로 분석 : 사회연결망을 중심으로" 69-88, 2010
10 유동철, "장애인 취업알선 서비스가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5-26, 2008
11 김언아, "장애인 구직(취업)경로 영향요인과 일자리 만족도" 2009
12 이운식, "장애인 고용의 질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27-58, 2011
13 변경희,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의 질’ 개념 및 결정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189-212, 2010
14 문순영, "인증사회적기업의 고용의 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공공부문 돌봄서비스 일자리와의 비교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3) : 121-154, 2010
15 이석원, "수행기관에 따른 장애인 취업알선사업의 차별적 효과성" 한국행정연구소 49 (49): 189-215, 2011
16 강정한, "사회적 연결망의 동원이 장애인의 취업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29-51, 2013
17 김종향,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고령자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8 (8): 47-70, 2011
18 김성훈, "사회 연결망과 공식 경로를 통한 첫 취업의 개인적 결과와사회적 결과" 한국사회학회 39 (39): 53-85, 2005
19 이병훈, "노동생활 질의 양극화에 관한 연구 -정규,비정규의 분절성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0 : 129-149, 2003
20 황준욱, "글로벌 포커스 : 노동과 고용에 대한 질적인 접근" 3 (3): 1-3, 2005
21 이병훈, "구직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25 (25): 1-21, 2002
22 오성욱, "구직경로별 이용자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010
23 최옥금,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정의 및 실태파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2 (22): 227-252, 2006
24 방하남, "‘좋은 일자리’(Good job)의 개념구성 및 결정요인의 분석" 한국사회학회 40 (40): 93-126, 2006
25 Jencks, C., "What is good job? : A new measures of labor-market success" 93 (93): 1322-1357, 1988
26 Granovetter, Mark, S., "The Strength of Weak Ties: A Network Theory Revisited" 1 : 201-233, 1983
27 Granovetter, Mark, S., "The Strength of Weak Ties" 78 (78): 1360-1380, 1973
28 Staiger, D., "The Effect of Connections on the Wages and Mobility of Young Workers" MIT Press 1990
29 Clark, A. C., "Measures of Job Satisfaction. What Makes a Good Job? Evidence from OECD Countries" OECD 1998
30 Concoran, M., "Information and influence networks in labor markets"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1-37, 1980
31 Ritter, J. A., "Good jobs, bad jobs: Workers’ evaluations in five countries" 141 (141): 2002
3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EDI 2013 장애인 통계" 2013
33 이상헌, "Decent work : 무엇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3 (3): 4-11, 2005
34 Bonnet, F., "A Family of Decent Work Indexes" 142 (142): 2003
35 김호진, "2013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5-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영문명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8-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Disability & employment -> Disability & Employment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1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장애인고용 -> 장애와 고용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7 | 1.77 | 1.8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3 | 1.85 | 2.252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