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소가치 개념에서의 플레이스 브랜딩 평가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36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플레이스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보다는 확장된 의미이다. 따라서 장소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활동들은 이와 같이 다양한 관계 구조를 지닌 장소의 특성을 이해하고 핵심적으로 반영해야 한...

      플레이스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보다는 확장된 의미이다. 따라서 장소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활동들은 이와 같이 다양한 관계 구조를 지닌 장소의 특성을 이해하고 핵심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플레이스 브랜딩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장소와 가치라는 차원에서 재검토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새로운 평가체계의 구축은 다음과 같은 문제 제기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을 충족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장소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새롭게 정의하여 플레이스 브랜딩 시스템의 정확성과 보편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작게는 역동적인 플레이스 브랜딩 활동에 일익하고, 크게는 도시디자인 관련 평가 모델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lements of place branding and correspondent evaluation indicators for place brand strategy making, analysis and its evaluation. First, I criticise that previous research employed unclear and limited evaluati...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lements of place branding and correspondent evaluation indicators for place brand strategy making, analysis and its evaluation. First, I criticise that previous research employed unclear and limited evaluation elements. I then suggest an plausible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a theoretical proof for place branding under the concept of place-based value. Interviews with specialists for case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in an effort to approve the plausibility of this suggested evaluation system. As an extension, a direction is suggested for a general and effective place branding that would satisfy a diversity of places, which could hopefully contribute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city brand and marketing evaluation criteria. Creating a specialized place brand requires precis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n the place characteristics that should directly contribute to the strategy making based on the situatedness suggested by the place which meets an appropriate place branding category. In addition, a successful place branding requires activ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the participating members of interest and sustainable maintenance syst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장소가치와 플레이스 브랜딩
      • Ⅲ. 플레이스 브랜딩 평가항목 개발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장소가치와 플레이스 브랜딩
      • Ⅲ. 플레이스 브랜딩 평가항목 개발
      • Ⅳ. 플레이스 브랜딩 사례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피에르 마이스, "형태로부터 장소" 시공문화사 2000

      2 노베르크 슐츠,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1996

      3 이석환, "장소의 이해와 해석" 레인보우북스 2007

      4 랠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출판사 1996

      5 백선혜,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6 이진희, "장소마케팅" 대왕사 2006

      7 어정연, "장소개념에서의 장소가치에 대한 논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1-34, 2010

      8 홍성용, "스페이스 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 2007

      9 김막중, "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36 (36): 2001

      10 이현식, "문화도시로 가는 길" 다인아트 2004

      1 피에르 마이스, "형태로부터 장소" 시공문화사 2000

      2 노베르크 슐츠,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1996

      3 이석환, "장소의 이해와 해석" 레인보우북스 2007

      4 랠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출판사 1996

      5 백선혜,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6 이진희, "장소마케팅" 대왕사 2006

      7 어정연, "장소개념에서의 장소가치에 대한 논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1-34, 2010

      8 홍성용, "스페이스 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 2007

      9 김막중, "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36 (36): 2001

      10 이현식, "문화도시로 가는 길" 다인아트 2004

      11 김신혜, "레이스 브랜딩을 위한 웨이파인딩 적용연구" 45 (45): 57-, 2010

      12 서구원, "도시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3 장동련, "도시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플레이스 브랜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3 (23): 351-366, 2010

      14 이지혜, "공공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플레이스 브랜딩 사례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315-326, 2011

      15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16 장성주, "건축적 장소의 체험에 관한 분석연구 : 대학로의 마로니에 공원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17 A. Breen, "Waterfonts: Cities Reclaim Their Edge" Mc Hill 1994

      18 A. Light, "The production of public spac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998

      19 D. Stokols, "People in Place" Lawrence E. Associates 1981

      20 F. Lukermann, "Geography as a Formal Intellectual Discipline and way, In Canadian Geographer" 1964

      21 Kevin Lane Keller,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thecustomer-based brand eauity" 1993

      22 D. A. Aaker, "Building Strong Brands" Free Press 1996

      23 Simon Anholt, "Brand new justice-the upside of Global Brand" 2003

      24 장동련, "(홍대앞에서 런던까지) 장소의 재탄생" 디자인하우스 3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