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연구의 다양한 비평들은 워즈워스의 1800년 『서정 담시집』「서문」을 고전주의의 문학 취향에 반대하는 선언문으로 보면서 문학 작품으로서만 해석해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문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73455
1998
-
700
KCI등재
학술저널
389-402(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문학 연구의 다양한 비평들은 워즈워스의 1800년 『서정 담시집』「서문」을 고전주의의 문학 취향에 반대하는 선언문으로 보면서 문학 작품으로서만 해석해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문학...
문학 연구의 다양한 비평들은 워즈워스의 1800년 『서정 담시집』「서문」을 고전주의의 문학 취향에 반대하는 선언문으로 보면서 문학 작품으로서만 해석해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문학성의 강조는「서문」이 태동되고 수용되었던 문화적 맥락에 대한 탐구를 소홀히 한다. 「서문」은 문학 논의의 형태로 워즈워스의 사회관과 정치관을 내보이면서 문화 비평적 접근을 위한 담론적 공간을 제공한다.
「서문」이 지닌 문화적 특징은 환치의 정치성이다. 워즈워스는 프랑스 대혁명에 의해 야기된 사회 변혁의 의지를 휴머니스트 정신성으로 바꾼다. 영국 대중의 시적 기호에 대한 그의 평가는 사회 모순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없이 일반적인 인도주의적 입장으로 변형된다. 시의 대상에 대한 워즈워스의 재평가는 서민의 삶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것이지만, 자연의 아름답고도 영구한 형태들 에 대한 그의 강조는 역사성보다는 초월성에 그가 경도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는 시골 서민의 일상 언어가 새로운 시의 언어가 돼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그가 서민의 언어 속에서 영구한 그리고 철학적인 것을 선호함에 따라, 그의 주장은 언어의 영구성을 강조하는 기독교적 언어 이데올로기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다. 워즈워스는 시인을 우주의 정신을 읽는 해석자로 간주한다. 이 문구의 시적 표현에도 불구하고, 이 견해는 시인이 사회와 역사를 초월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평정성에 대한 워즈워스의 강조는 프랑스 대혁명의 영향으로 인한 당대의 사회 모습과 괴리를 보이며 기존 질서의 존속을 희구하는 보수적인 이데올로기 한 모습을 드러낸다.
워즈워스는「서문」에서 당대의 사회 변혁의 의지를 추상성에 대한 믿음으로 전화시키고, 사회적 갈등을 조화의 시학으로 변형시킨다. 한 문화가 전일적인 믿음의 체계로 구성돼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믿음과 생각들로 구성된다는 것이 문화 비평이 추구하는 주요 논점 중의 하나라면, 「서문」을 이와 같은 문화 비평적 시각으로 읽음으로써 해석적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문화적 미래를 건설하기 위한 비평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클리언스 브룩스와 현대 비평 - 뉴 크리티시즘과 관련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