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음악과교육의 최근 실태와 문제점 = A Recent Trend and Related Problems of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715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usic education tends recently to stray out of its own aim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in the curriculum as well as on-side education and to depend on its functional purposes and computers. Thus, in this paper in order to prepare an alternative for the desirable surroundings on the music education, I have reviewed the current trend of the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elementary education. The gist of the paper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is deleted in the textbook. In the formation, the graded system is adopted and in the contents the middle area is deleted.
      Second, in the 'revised curriculum', both Korean traditional songs and multi- cultural songs have drastically decreased. This is not appropriate in the multi- cultural era. In each lesson, author's name is introduced and it is systematized. In addition, integrated lessons appear in the subject of the textbook, Happy Days.
      Third, In B.A. level at many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argued, but in M.A. level at graduate schools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in the academia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elevant studies are not enough, and the contents on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but the multi-cultural songs have decreased in the textbooks.
      Fourth, as in the case of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n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is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but the Korean traditional songs have decreased in the textbooks.
      Fifthly, while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is considered in the curriculum, Western music is mostly treated in the textbooks. This goes against the trend of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Finally, in the case of teachings by ICT, generalization of the music education based on computers causes difficulties to the true aim of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In teachings by ICT, music educators should try to change their minds on computers themselves from 'the education of the computer' to 'the education by the computer'.
      번역하기

      The music education tends recently to stray out of its own aim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in the curriculum as well as on-side education and to depend on its functional purposes and computers. Thus, in this paper in order to prepare an alternat...

      The music education tends recently to stray out of its own aim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in the curriculum as well as on-side education and to depend on its functional purposes and computers. Thus, in this paper in order to prepare an alternative for the desirable surroundings on the music education, I have reviewed the current trend of the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elementary education. The gist of the paper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is deleted in the textbook. In the formation, the graded system is adopted and in the contents the middle area is deleted.
      Second, in the 'revised curriculum', both Korean traditional songs and multi- cultural songs have drastically decreased. This is not appropriate in the multi- cultural era. In each lesson, author's name is introduced and it is systematized. In addition, integrated lessons appear in the subject of the textbook, Happy Days.
      Third, In B.A. level at many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argued, but in M.A. level at graduate schools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in the academia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elevant studies are not enough, and the contents on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but the multi-cultural songs have decreased in the textbooks.
      Fourth, as in the case of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n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is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but the Korean traditional songs have decreased in the textbooks.
      Fifthly, while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is considered in the curriculum, Western music is mostly treated in the textbooks. This goes against the trend of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Finally, in the case of teachings by ICT, generalization of the music education based on computers causes difficulties to the true aim of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In teachings by ICT, music educators should try to change their minds on computers themselves from 'the education of the computer' to 'the education by the compu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요즘 우리 사회가 정보화사회를 넘어 다문화사회로 전환되면서 인성교육이 큰 타격을 받고 있고, 국악교육 또한 영향을 받고 있어 강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보고 향후인성교육과 국악교육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도움을 주기 위해 초등 국악교육을 중심으로 최근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 글이다.
      먼저 2007 교육과정에서는 ‘목적’에서 인성교육 내용이, ‘성격’에서 국악교육 관련 내용이 삭제되었고, 편제방식이 ‘학년별방식’으로 바뀌었으며, ‘중영역’이 내용체계에서 삭제되었다. 그리고 2007 교과서에서는 7차 교과서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비중이 낮아졌고, 주로 서양식음악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다문화사회와는 반대로 가고 있으며, ‘집필자 단원실명제’가 도입되었고, 『즐거운생활』에 ‘통합단원’이 등장했다.
      다음 다문화 음악교육에 있어서는 교대 학부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교대 석사과정과 초등음악교육계는 연구 연구 활동이 저조한 편이며, 2007 교육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2007 교과서는 반대로 가고 있다. 한국문화 정체성교육 또한 마찬가지로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2007 교과서에서는 반대로 가고 있고, 포괄적인 음악교육도 또한 마찬가지로 2007 교육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2007 교과서에서는 서양식음악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등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ICT 활용 수업과 관련해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음악수업의 일반화로 인성교육에 영향을 주고 있어 ‘컴퓨터의 교육’이 아니라 ‘컴퓨터에 의한 교육’이 되도록 인식변화가 요청된다.
      번역하기

      본고는 요즘 우리 사회가 정보화사회를 넘어 다문화사회로 전환되면서 인성교육이 큰 타격을 받고 있고, 국악교육 또한 영향을 받고 있어 강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보고 향후...

      본고는 요즘 우리 사회가 정보화사회를 넘어 다문화사회로 전환되면서 인성교육이 큰 타격을 받고 있고, 국악교육 또한 영향을 받고 있어 강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보고 향후인성교육과 국악교육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도움을 주기 위해 초등 국악교육을 중심으로 최근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 글이다.
      먼저 2007 교육과정에서는 ‘목적’에서 인성교육 내용이, ‘성격’에서 국악교육 관련 내용이 삭제되었고, 편제방식이 ‘학년별방식’으로 바뀌었으며, ‘중영역’이 내용체계에서 삭제되었다. 그리고 2007 교과서에서는 7차 교과서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비중이 낮아졌고, 주로 서양식음악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다문화사회와는 반대로 가고 있으며, ‘집필자 단원실명제’가 도입되었고, 『즐거운생활』에 ‘통합단원’이 등장했다.
      다음 다문화 음악교육에 있어서는 교대 학부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교대 석사과정과 초등음악교육계는 연구 연구 활동이 저조한 편이며, 2007 교육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2007 교과서는 반대로 가고 있다. 한국문화 정체성교육 또한 마찬가지로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2007 교과서에서는 반대로 가고 있고, 포괄적인 음악교육도 또한 마찬가지로 2007 교육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2007 교과서에서는 서양식음악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등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ICT 활용 수업과 관련해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음악수업의 일반화로 인성교육에 영향을 주고 있어 ‘컴퓨터의 교육’이 아니라 ‘컴퓨터에 의한 교육’이 되도록 인식변화가 요청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7) : 2007

      2 한국음악사학회 44 : 2010

      3 전우홍,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 서울교육대학교 다문화교육연구원 2009

      4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일조각 1984

      5 "초등학교교사용지도서 즐거운생활 2-1" 교육과학기술부 2009

      6 기청,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컴퓨터를 활용하는 수업에 대한 소고" 한국코다이협회 (43) : 2008

      7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v)-체육,음악,미술,외국어" 교육부 1999

      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총론,재량활동" 교육부 1999

      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10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1997

      1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7) : 2007

      2 한국음악사학회 44 : 2010

      3 전우홍,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 서울교육대학교 다문화교육연구원 2009

      4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일조각 1984

      5 "초등학교교사용지도서 즐거운생활 2-1" 교육과학기술부 2009

      6 기청,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컴퓨터를 활용하는 수업에 대한 소고" 한국코다이협회 (43) : 2008

      7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v)-체육,음악,미술,외국어" 교육부 1999

      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총론,재량활동" 교육부 1999

      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10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1997

      11 "유아 및 초.중등학교용 국악 및 동양음악교재 개발" 한국국악교육학회 1988

      12 이혜구, "세종장헌대왕실록 22 악보" 사단법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1

      13 "서울교대학보 사설. 왜 다문화인가"

      14 "5.31 교육개혁안 이렇게 달라졌다" 시간과공간사 1995

      15 장기범, "21세기 음악교육과 테크놀로지. in: 정보화를 앞서가는 교사" 경북컴퓨터음악교육연구회 2001

      16 이동남,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제 문제" 초등교육연구원 18 (18): 149-163, 2008

      17 이동남, "2007 개정 고등학교 음악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제문제" 한국초등음악교육학회 12 :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96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