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Place Marketing on Making A Sports Event Space : Case Study of Namhae County Sports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95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장소마케팅이란 일반적으로는 한 장소, 즉 도시나 지역이 가진 차별성을 찾아내거나 새롭게 개발해 이를 기반으로 그 지역을 광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관광객 및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다. 장소마케팅은 추구하는 목표와 공간적 계
      획에 따른 구분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장소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과정, 즉 장소의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진행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구체적인 공간적 사례를 통해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장소마케팅을 해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은 무엇보다도 지방도시들에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특히 최근에 대구광역시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인천광역시가 아시안게임을 유치하는 데 성공하는 등 여러 도시가 스포츠 관련 행사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해군의 사례는 지역을 살리고 외부에 알리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준다.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장소마케팅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는 이무용(2006a, 2006b)이 사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의 유형 분류와 전략 수립 과정 분류, 그리고 연구자가 주장하는 공간계획의 정도에 따른 장소마케팅 전략 구분방법을 이용했다.
      남해군 스포츠마케팅은 지역경제 추구형(경제적 장소마케팅)이자 공간계획 중심적 장소마케팅으로 구분된다. 장소 전략 과정에서는 잔디운동장 시범사업, 서상매립지 잔디포 조성 및 유채꽃 축제, 그리고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을 실시했으며, 마케팅 전략 과정에서는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호텔, 정부지원, 월드컵유치캠프 및 각종 스포츠 경기 유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를 가져왔다. 이러한 성공 뒤에는 비록 스포츠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공간계획을 가지고 주민들을 설득해 지역을 변화 시킨 리더십이 있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민관의 협력을 통해 지역문화 및 정체성 확립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개발이익의 재분배를 통해 단순한 장소의 번영(place’s prosperity)을 넘어 주민의 번영(people’s prosperity)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장소마케팅의 모범적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번역하기

      장소마케팅이란 일반적으로는 한 장소, 즉 도시나 지역이 가진 차별성을 찾아내거나 새롭게 개발해 이를 기반으로 그 지역을 광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관광객 및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

      장소마케팅이란 일반적으로는 한 장소, 즉 도시나 지역이 가진 차별성을 찾아내거나 새롭게 개발해 이를 기반으로 그 지역을 광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관광객 및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다. 장소마케팅은 추구하는 목표와 공간적 계
      획에 따른 구분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장소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과정, 즉 장소의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진행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구체적인 공간적 사례를 통해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장소마케팅을 해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은 무엇보다도 지방도시들에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특히 최근에 대구광역시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인천광역시가 아시안게임을 유치하는 데 성공하는 등 여러 도시가 스포츠 관련 행사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해군의 사례는 지역을 살리고 외부에 알리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준다.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장소마케팅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는 이무용(2006a, 2006b)이 사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의 유형 분류와 전략 수립 과정 분류, 그리고 연구자가 주장하는 공간계획의 정도에 따른 장소마케팅 전략 구분방법을 이용했다.
      남해군 스포츠마케팅은 지역경제 추구형(경제적 장소마케팅)이자 공간계획 중심적 장소마케팅으로 구분된다. 장소 전략 과정에서는 잔디운동장 시범사업, 서상매립지 잔디포 조성 및 유채꽃 축제, 그리고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을 실시했으며, 마케팅 전략 과정에서는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호텔, 정부지원, 월드컵유치캠프 및 각종 스포츠 경기 유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를 가져왔다. 이러한 성공 뒤에는 비록 스포츠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공간계획을 가지고 주민들을 설득해 지역을 변화 시킨 리더십이 있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민관의 협력을 통해 지역문화 및 정체성 확립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개발이익의 재분배를 통해 단순한 장소의 번영(place’s prosperity)을 넘어 주민의 번영(people’s prosperity)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장소마케팅의 모범적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lace marketing through making a sports event space in the example of ‘Namhae Sports Park’. The Namhae Sports Park is an exemplary case of place marketing, especially to local cities and counties that are trying various efforts in marketing their places. Recently, sports marketing becomes popular in Korea cities since Incheon and Daegu have succeeded in place marketing with hosting major international sports event.
      Place marketing is generally referred a city’s strategy to attract tourists, companies, and residents by digging and developing the city’s identity or specialties and advertizing them. Place marketing is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the degree of space planning and its major target. Existent local human capital, new local image slogan and place brand, local cultural event, new local landscape, new local land use, new local industry and sports event are effective sources for place marketing, although some are overlapping in their outcomes. This study adopt Lee(2006a, 2006b)’s place marketing classification and author’s space planning framework to analyze Namhae sports marketing process.
      Namhae sports marketing, characterizing regional economy-seeking and space planning-centered, has been successful so far with its (1) place strategy that includes the school lawn soccer ground project, Seo-Sang land reclamation lawn ground, the rape flower festival, and the Namhae Sports Park project, and (2) marketing strategy that comprises hosting the 2002 Worldcup camp and other sports events. Namhae county’s place marketing ultimately triggers regional economic vitality and residents’ income growth. Local leade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Namhae sports marketing because they build a long-term comprehensive space planning for this project, persuaded local residents, and went through all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project. Namhae’s space marketing is an excellent example of place marketing in terms of local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 and eventual people’s prosperity beyond place’s prosperit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lace marketing through making a sports event space in the example of ‘Namhae Sports Park’. The Namhae Sports Park is an exemplary case of place marketing, especially to local cities and counties that are try...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lace marketing through making a sports event space in the example of ‘Namhae Sports Park’. The Namhae Sports Park is an exemplary case of place marketing, especially to local cities and counties that are trying various efforts in marketing their places. Recently, sports marketing becomes popular in Korea cities since Incheon and Daegu have succeeded in place marketing with hosting major international sports event.
      Place marketing is generally referred a city’s strategy to attract tourists, companies, and residents by digging and developing the city’s identity or specialties and advertizing them. Place marketing is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the degree of space planning and its major target. Existent local human capital, new local image slogan and place brand, local cultural event, new local landscape, new local land use, new local industry and sports event are effective sources for place marketing, although some are overlapping in their outcomes. This study adopt Lee(2006a, 2006b)’s place marketing classification and author’s space planning framework to analyze Namhae sports marketing process.
      Namhae sports marketing, characterizing regional economy-seeking and space planning-centered, has been successful so far with its (1) place strategy that includes the school lawn soccer ground project, Seo-Sang land reclamation lawn ground, the rape flower festival, and the Namhae Sports Park project, and (2) marketing strategy that comprises hosting the 2002 Worldcup camp and other sports events. Namhae county’s place marketing ultimately triggers regional economic vitality and residents’ income growth. Local leade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Namhae sports marketing because they build a long-term comprehensive space planning for this project, persuaded local residents, and went through all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project. Namhae’s space marketing is an excellent example of place marketing in terms of local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 and eventual people’s prosperity beyond place’s prosper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문헌연구
      • 3. 연구 분석틀
      • 4. 장소마케팅으로써의 남해군 스포츠 이벤트 공간
      •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1. 머리말
      • 2. 문헌연구
      • 3. 연구 분석틀
      • 4. 장소마케팅으로써의 남해군 스포츠 이벤트 공간
      •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