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양교육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 The Perception of the Satisfacti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Learning Outcomes of 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76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남녀 대학생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H 대학의 남녀 대학생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육에 대한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로 측정되었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이 대부분 낮게 나타났다. 결론부분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개선 방향과 남녀대학생의 욕구를 고려한 보다 세밀하고 정교화 된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남녀 대학생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H 대학의 남녀 대학생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남녀 대학생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H 대학의 남녀 대학생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육에 대한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로 측정되었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이 대부분 낮게 나타났다. 결론부분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개선 방향과 남녀대학생의 욕구를 고려한 보다 세밀하고 정교화 된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udents’ perceptional differences of cultural education. With regard to this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opinions of 324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hrough the survey. The perception of cultural education has been surveyed in three sections, as mentioned in the title.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on average, the cultural education program is neither received as of little practical use nor as a program adding specific value to the participants lives, The Interesting point is that female students’ satisfacti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learning outcomes of cultural education is quite low as compared to that of the male students. In conclusion, this paper finds a need for the improvement and suggests a change in direction of more detailed and sophisticated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hinting towards the real needs of the university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udents’ perceptional differences of cultural education. With regard to this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opinions of 324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hrough the survey. The percep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udents’ perceptional differences of cultural education. With regard to this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opinions of 324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hrough the survey. The perception of cultural education has been surveyed in three sections, as mentioned in the title.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on average, the cultural education program is neither received as of little practical use nor as a program adding specific value to the participants lives, The Interesting point is that female students’ satisfacti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learning outcomes of cultural education is quite low as compared to that of the male students. In conclusion, this paper finds a need for the improvement and suggests a change in direction of more detailed and sophisticated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hinting towards the real needs of the university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연구 결과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연구 결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