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진건 장편소설 연구 = A Study on Hyun Jin Gun's No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465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pularity in the novels such as "Jeokdo(적도)" and "Muyongtap(무영탑)" written by "Hyun Jin Gun" in 1930's. The peculiarity can be summarized as melodramatic principle. It comes out in the narrative structure like followings.
      First, a three-cornered relation appeared in the two novels in common. That relation caused conflicts such as love affair or money or power. Their alternative choices represented the characters' values and writer's ideology.
      Second, antagonistic dichotomy such as good and evil was clearly represented in each story.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is a easy mechanism which leads readers' sympathy.
      Third, the process which formed moral occult, which is a melodramatic principle, was studied based on the characters in the stories. Moral occult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heroic behavior of heros and through the self-sacrificed and obedient image of heroines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writer (Hyun Jin Gun)'s response to the modern society in the colonial period were ascertained in his novels in 1930's; that is the narrative structure of popular novel. Therefore, popular novel should not be criticised for its lowbrow, but should be judged to be a product on which writer's consciousness reflected regarding to the society, history and reality in the colonial period.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pularity in the novels such as "Jeokdo(적도)" and "Muyongtap(무영탑)" written by "Hyun Jin Gun" in 1930's. The peculiarity can be summarized as melodramatic principle. It comes out in the narrative structure like fo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pularity in the novels such as "Jeokdo(적도)" and "Muyongtap(무영탑)" written by "Hyun Jin Gun" in 1930's. The peculiarity can be summarized as melodramatic principle. It comes out in the narrative structure like followings.
      First, a three-cornered relation appeared in the two novels in common. That relation caused conflicts such as love affair or money or power. Their alternative choices represented the characters' values and writer's ideology.
      Second, antagonistic dichotomy such as good and evil was clearly represented in each story.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is a easy mechanism which leads readers' sympathy.
      Third, the process which formed moral occult, which is a melodramatic principle, was studied based on the characters in the stories. Moral occult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heroic behavior of heros and through the self-sacrificed and obedient image of heroines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writer (Hyun Jin Gun)'s response to the modern society in the colonial period were ascertained in his novels in 1930's; that is the narrative structure of popular novel. Therefore, popular novel should not be criticised for its lowbrow, but should be judged to be a product on which writer's consciousness reflected regarding to the society, history and reality in the colonial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 2. 대중소설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 3. 도덕적 비학의 형상화
      • 4. 나가며
      • 참고문헌
      • 1. 들어가며
      • 2. 대중소설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 3. 도덕적 비학의 형상화
      • 4.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진건전집 1 『적도』, 2 『무영탑(상)」, 3 『무영탑(하)』, 문학비평사, 1988"

      2 김상욱, "현진건의 적도 연구:계몽의 수사학" 24 : 1996

      3 장양수, "현진건 장편 무영탑의 민족주의 문학적 성격" 13 : 2000

      4 최원식, "현진건 연구" 서울대 1975

      5 김교봉, "현진건 소설의 민족문학적 성격 연구" 55 : 1994

      6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1" 민음사 2002

      7 송백헌, "한국근대역사소설연구" 삼지원 1985

      8 황종연, "한국근대소설에 나타난 신라-현진건의 무영탑과 이광수의 『원효대사』를 중심으로" 137 : 2007

      9 한상무, "한국근대소설과 이데올로기" 푸른사상 2004

      10 강영주, "한국 역사소설의 재인식" 창작과비평사 1991

      1 "현진건전집 1 『적도』, 2 『무영탑(상)」, 3 『무영탑(하)』, 문학비평사, 1988"

      2 김상욱, "현진건의 적도 연구:계몽의 수사학" 24 : 1996

      3 장양수, "현진건 장편 무영탑의 민족주의 문학적 성격" 13 : 2000

      4 최원식, "현진건 연구" 서울대 1975

      5 김교봉, "현진건 소설의 민족문학적 성격 연구" 55 : 1994

      6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1" 민음사 2002

      7 송백헌, "한국근대역사소설연구" 삼지원 1985

      8 황종연, "한국근대소설에 나타난 신라-현진건의 무영탑과 이광수의 『원효대사』를 중심으로" 137 : 2007

      9 한상무, "한국근대소설과 이데올로기" 푸른사상 2004

      10 강영주, "한국 역사소설의 재인식" 창작과비평사 1991

      11 전영태, "한국 근대소설의 대중성에 대한 고찰-멜로드라마적 성격을 중심으로" 33 : 1983

      12 조동일, "적도의 작품구조와 사회의식" 8 : 1977

      13 황국명, "적도의 구조와 이데올로기" 12 : 1991

      14 홍혜원, "재생에 나타난 멜로드라마적 양식" 10 : 2004

      15 김구중, "역사소설 무영탑 연구" 45 : 2004

      16 고명철, "식민지 자본주의의 통속성에 대한 서사적 대응-빙허 현진건의 장편 적도 읽기" 46 : 2006

      17 현길언, "문학과 사랑과 이데올로기-현진건 연구" 태학사 2000

      18 움베르코 에코, "대중의 슈퍼맨" 열린책들 1994

      19 이정옥, "대중소설의 시학적 연구-1930년대를 중심으로" 서강대 1999

      20 대중서사장르연구회,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1 멜로드라마" 이론과실천 2007

      21 리타 펠스키, "근대성과 페미니즘" 거름 1998

      22 Peter Brooks,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Columbia Univ. Press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 0.701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